- 이은미
- 조회 수 3287
- 댓글 수 2
- 추천 수 0
그리스 신화의 프로메테우스는 티탄 신족의 하나로 신들에게 반항하여 신들의 적의로부터 인간을 지킨 신이다. 그의 이름은 ‘미리 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티탄족은 인간을 만드는 일과 인간과 동물에게 그들의 종족보존에 필요한 능력을 부여하는 직무가 주어졌다. 프로메테우스는 혼돈으로부터 방금 분리된 흙을 물과 반죽하여 인간을 신의 형상과 같이 만들었다.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직립(直立)자세를 주었으므로, 다른 동물은 다 얼굴을 땅을 향하고 지상을 바라보는데, 인간만은 얼굴을 하늘로 향하고 별을 보게 되었다.
그의 동생 에피메테우스는 동물들에게 용기, 힘, 속도, 지혜등 여러가지 선물을 주었다. 어떤 자에게는 날개를 주고, 다른 자에게는 손톱과 발톱을 주고 또 다른 자에게는 몸을 덮는 조가비를 주었다. 그러나 만물의 영장이 될 인간의 차례가 오자, 에피메테우스는 자신의 자원을 다 써버려 인간에게 줄 것이 남아있지 않았다.그는 어찌할바를 몰라 형 프로메테우스에게 도움을 청했다. 프로메테우스는 여신 아테네의 도움을 받아 하늘로 올라가서 태양의 이륜차에서 제우스의 불을 훔쳐 인간에게 주었다.
이 선물로 인하여 인간은 다른 동물보다 우월하게 되었다. 이 불을 가지고 인간은 다른 동물들을 정복할 무기를 만들 수 있었으며, 토지를 경작할 도구를 만들 수 있었고 거처를 따뜻하게 하여 기후가 다소 추운곳에서도 살 수 있게 되었고 사나운 짐승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여러 기술을 발명함은 물론 상업의 수단인 화폐를 만들 수 있었다.
하지만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의 분노를 샀다. 제우스는 그를 카우소스산 바위에 쇠사슬로 메 놓게 했다. 독수리가 와서 그의 간을 파 먹었는데, 먹으면 바로 또 생겨났다.
이것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불’에 대한 신화 중 하나이다. 프로메테우스에게 불을 얻게 된 인간은 신체적인 열세를 극복하고 자연을 정복할 수 있었으며, 문명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실제로 인류 문명은 불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불'을 ‘태양의 수레’로 부터 옮겨왔다는 신화적 내용은 인류문명의 시발이 ‘불의 발견’으로 부터 시작되었음을 상징한다고 한다. '불’의 상징적 의미는 ‘문명’으로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것은 곧 도구의 사용과 자연의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 결국 인간은 ‘불’의 사용으로 기술 문명의 첫 단추를 채운 것이다.
잠시 눈을 감고 생각해보자. 인류에게 ‘불’이란 존재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오늘날 인류는 어떻게 되었을까?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이 세상은 탄생될 수 없었을 것이다. 우리는 몇 만년 전의 선사시대의 조상들이 그랬듯이 원시인의 모습으로 살았을 것이다. 몸은 나뭇잎으로 가리고, 날 생선과 날 고기등 날것들을 먹었을 것이며, ‘도구’라는 것이 존재할리 없으니 맨손을 물고기를 잡고 맨손으로 짐승을 때려 잡았을 것이다. 어디 이것뿐이겠는가 불이 없다고 상상해 보는 일은 불가능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모두 문명의 사회에서 태어나고 자라고 먹고 마시고 교육받았으니 문명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는 삶에 대해 어찌 예측이 가능하겠는가.
불은 선사시대 사람들이 최초로 신성하게 생각했던 신이었을 것이다. 불은 반으로 나누어도 줄어들지않는다. 오히려 더 늘어난다. 불은 지상에서 유일하게 태양이나 번개처럼 빛을 낸다. 불은 살아있다. 불꽃이 타오르는 것을 보라. 그 이글이글 거리는 불꽃에는 생명이 있다. 제우스로부터 불을 훔쳐 인간에게 주고 참혹한 형벌을 받아야만 했던 프로메테우스의 혼령이 살아있는 듯 하다. 불은 뜨겁다. 뜨겁다는 것은 살아있다는 것이다. 우리의 몸에서 온기가 사라지면 생명은 사라지는 것이다. 그것은 곧 죽음이다.
불꽃처럼 살자. 불의 속성을 우리의 삶 으로 끌어들여 오자.
나누면 나눌수록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더 늘어나는 불의 속성은 우리의 삶을 조금씩 나누는 것으로 배울 수 있다. 나눔을 통해 우리의 삶이 풍요로움으로 채울 수 있을 것이며, 그저 주어진 대로 사는 삶이 아닌, 살아있는 삶,타오르는 삶, 이글거리는 불꽃같은 삶을 살게 될때, 지상에서 가장 아름답게 빛나는 인생의 주인공은 바로 나 자신이 되리라 확신한다.
IP *.128.30.50
그의 동생 에피메테우스는 동물들에게 용기, 힘, 속도, 지혜등 여러가지 선물을 주었다. 어떤 자에게는 날개를 주고, 다른 자에게는 손톱과 발톱을 주고 또 다른 자에게는 몸을 덮는 조가비를 주었다. 그러나 만물의 영장이 될 인간의 차례가 오자, 에피메테우스는 자신의 자원을 다 써버려 인간에게 줄 것이 남아있지 않았다.그는 어찌할바를 몰라 형 프로메테우스에게 도움을 청했다. 프로메테우스는 여신 아테네의 도움을 받아 하늘로 올라가서 태양의 이륜차에서 제우스의 불을 훔쳐 인간에게 주었다.
이 선물로 인하여 인간은 다른 동물보다 우월하게 되었다. 이 불을 가지고 인간은 다른 동물들을 정복할 무기를 만들 수 있었으며, 토지를 경작할 도구를 만들 수 있었고 거처를 따뜻하게 하여 기후가 다소 추운곳에서도 살 수 있게 되었고 사나운 짐승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여러 기술을 발명함은 물론 상업의 수단인 화폐를 만들 수 있었다.
하지만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의 분노를 샀다. 제우스는 그를 카우소스산 바위에 쇠사슬로 메 놓게 했다. 독수리가 와서 그의 간을 파 먹었는데, 먹으면 바로 또 생겨났다.
이것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불’에 대한 신화 중 하나이다. 프로메테우스에게 불을 얻게 된 인간은 신체적인 열세를 극복하고 자연을 정복할 수 있었으며, 문명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실제로 인류 문명은 불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불'을 ‘태양의 수레’로 부터 옮겨왔다는 신화적 내용은 인류문명의 시발이 ‘불의 발견’으로 부터 시작되었음을 상징한다고 한다. '불’의 상징적 의미는 ‘문명’으로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것은 곧 도구의 사용과 자연의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 결국 인간은 ‘불’의 사용으로 기술 문명의 첫 단추를 채운 것이다.
잠시 눈을 감고 생각해보자. 인류에게 ‘불’이란 존재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오늘날 인류는 어떻게 되었을까?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이 세상은 탄생될 수 없었을 것이다. 우리는 몇 만년 전의 선사시대의 조상들이 그랬듯이 원시인의 모습으로 살았을 것이다. 몸은 나뭇잎으로 가리고, 날 생선과 날 고기등 날것들을 먹었을 것이며, ‘도구’라는 것이 존재할리 없으니 맨손을 물고기를 잡고 맨손으로 짐승을 때려 잡았을 것이다. 어디 이것뿐이겠는가 불이 없다고 상상해 보는 일은 불가능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모두 문명의 사회에서 태어나고 자라고 먹고 마시고 교육받았으니 문명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는 삶에 대해 어찌 예측이 가능하겠는가.
불은 선사시대 사람들이 최초로 신성하게 생각했던 신이었을 것이다. 불은 반으로 나누어도 줄어들지않는다. 오히려 더 늘어난다. 불은 지상에서 유일하게 태양이나 번개처럼 빛을 낸다. 불은 살아있다. 불꽃이 타오르는 것을 보라. 그 이글이글 거리는 불꽃에는 생명이 있다. 제우스로부터 불을 훔쳐 인간에게 주고 참혹한 형벌을 받아야만 했던 프로메테우스의 혼령이 살아있는 듯 하다. 불은 뜨겁다. 뜨겁다는 것은 살아있다는 것이다. 우리의 몸에서 온기가 사라지면 생명은 사라지는 것이다. 그것은 곧 죽음이다.
불꽃처럼 살자. 불의 속성을 우리의 삶 으로 끌어들여 오자.
나누면 나눌수록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더 늘어나는 불의 속성은 우리의 삶을 조금씩 나누는 것으로 배울 수 있다. 나눔을 통해 우리의 삶이 풍요로움으로 채울 수 있을 것이며, 그저 주어진 대로 사는 삶이 아닌, 살아있는 삶,타오르는 삶, 이글거리는 불꽃같은 삶을 살게 될때, 지상에서 가장 아름답게 빛나는 인생의 주인공은 바로 나 자신이 되리라 확신한다.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32 | [03] 신앙 고백 [7] | 정산 | 2008.04.21 | 3153 |
631 | [홍스컬럼 6] 나이지리아 [7] | 홍스 | 2008.04.21 | 2878 |
630 | [03] 다시 캠벨로 돌아가자 [7] | 거암 | 2008.04.21 | 2812 |
» | (03) 불꽃같은 삶, 불꽃같은 인생 [2] | 이은미 | 2008.04.21 | 3287 |
628 | (03)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진다 [7] | 이한숙 | 2008.04.21 | 2806 |
627 | [03] 전 소중하니까요~ [5] | 손지혜 | 2008.04.21 | 2988 |
626 | [03]도전적 실험 - ”네가 바로 그것이다”체험해 보기 그리고 말로 표현해 보기 [5] | 오현정 | 2008.04.21 | 3474 |
625 | [03]아름다운 눈물 [9] | 양재우 | 2008.04.21 | 3728 |
624 | 우주정거장과 신화 [6] | 유인창 | 2008.04.20 | 2965 |
623 | [03] 인연의 끈을 잡고 [9] | 최지환 | 2008.04.20 | 3177 |
622 | [50] 남덕(南德) [5] | 교정 한정화 | 2008.04.17 | 2902 |
621 | [02]「매트릭스」에서 신화 찾기 [5] | 정산 최현 | 2008.04.14 | 3499 |
620 | (06) 강을 지나 바다에 닿은 그들 [8] | 지희 | 2008.04.14 | 2938 |
619 | [02]황금손 미다스왕의 실수 [10] | 양재우 | 2008.04.14 | 3760 |
618 | 아버지 [17] | 홍스 | 2008.04.14 | 3089 |
617 | (02) 기독교에만 구원이 있는가 2 [15] | 이한숙 | 2008.04.14 | 3211 |
616 | [02]파괴, 그 새로운 창조의 시작 [6] | 오현정 | 2008.04.14 | 2928 |
615 | <컬럼5>매트릭스, 기독교 그리고 믿음 [7] | 거암 | 2008.04.13 | 4320 |
614 | [02] 스스로 구르는 바퀴 [6] | 손지혜 | 2008.04.13 | 2827 |
613 | [02] 나에게 빨간날은... [12] | 최지환 | 2008.04.13 | 28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