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제산
  • 조회 수 80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9년 7월 15일 17시 26분 등록

독서의 목적을 ‘성적 향상’이나 ‘대학 진학’에 두는 것을 현실에서 자주 목도합니다. 책을 많이 읽으면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생기므로 학교 성적이 좋아지고 결과적으로 원하는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는 논리가 학부모 사이에 확고하게 자리 잡았습니다. 자녀 학년에 맞춰 어린이 문학과 청소년 지식 도서를 제시하고 단계적으로 수준을 높혀 수능 언어영역 시험을 무리 없이 치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교육 기관에 자녀의 독서를 맡기기도 합니다.  

  

자녀에게 가장 좋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싶어 하는 부모의 마음을 모를 리 없지만, 아이들의 독서 시간마저 대학 진학과 연관 지어 입시에 유리한 로드맵을 따라 책을 읽게끔 강요하는 현실이 갑갑하게 느껴집니다. 독서를 통해 지식과 정보를 쌓아 높은 성적을 얻는 것보다 더욱 중요한 것이 자기 자신을 깊이 있게 통찰하고 삶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독서, 특히 인문고전 읽기를 통해 책 속에 녹아 있는 다양한 삶의 방향을 따라가 보는 것이 진짜 독서라고 생각합니다.


중학교 1학년 때 큰아이가 읽은 <소크라테스의 변명, 진리를 위해 죽다>(안광복, 사계절)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소크라테스가 아테네 법정의 권세에 고개 숙이고 입을 다물고 살겠다고 거짓 맹세라도 했다면 그는 죽지 않을 수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그러지 않고 기어이 죽음의 독배를 마셨습니다. <소크라테스의 변명, 진리를 위해 죽다>를 공들여 읽은 큰아이는 자신이 옳다고 여기는 진리를 향해 삶을 통째로 내던지는 그의 삶의 태도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성서를 읽으면서 예수의 삶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예수는 목수 일을 하면서 홀로 남은 어머니를 모시며 조용히 살 수도 있었습니다. 친척 형님인 세례자 요한이 썩은 권력에 저항하다 참수형을 당하자, 예수는 하느님 나라가 이미 다가왔다고 선포를 하며 소외당한 사람들과 어울립니다. 로마제국과 타협한 종교 권력이 장악한 예루살렘 한복판까지 들어가 희년을 선포하다 결국 정치범으로 몰려 십자가형에 처해집니다.

 

인문고전을 읽으면 가족이나 학교, 직장이라는 공간의 틀과 현재라는 시간의 틀 안에 한정되어 있던 자아가 정체성을 찾고 사회 시스템과 역사적 맥락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읽어내며 궁극적으로 우주적 차원에서 자신을 돌아보게 됩니다.   

 

단 한번 뿐인 우리 삶에서 인문고전은 분명 좋은 길잡이가 되어 줄 겁니다. 시인 박노해는 ‘삶에서 진실로 고귀한 것들은 쉬이 가 닿을 수 없는 저 높고 깊고 험한 곳에 숨겨져 있다’고 했습니다. 인문고전을 읽으며 자신을 돌아보고 배우려는 자세를 익힌다면, 일상에서 그동안 보지 못했던 숨겨진 보석들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유형선 김정은 드림

IP *.224.128.19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96 쓸모라는 농담 장재용 2020.08.18 1036
3295 우리가 ‘흙수저’라고? - 첫번째 이야기 [6] 제산 2017.02.26 1037
3294 [월요편지 10] 응, 괜찮아, 월급 받잖아 file 습관의 완성 2020.05.31 1037
3293 여성 리포트 - 봄의 길목에 서다 書元 2017.02.04 1038
3292 마지막 출근을 마쳤습니다 [6] 차칸양 2017.12.12 1038
3291 [화요편지_어른의 공부] 경험의 재구성, 실패의 재구성 [2] 삶을 담은 하루 2023.04.11 1038
3290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5편) 차칸양 2017.08.01 1039
3289 [화요편지]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 in YOGA [4] 아난다 2021.03.16 1039
3288 [월요편지 128] 회사 다니며 부업으로 쌀국수 매장 2년 해보니 깨달은 것 [3] 습관의 완성 2022.11.20 1039
3287 그림으로 말해요 – 두 번째 이야기 제산 2017.07.17 1040
3286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세상의 필요와 나의 꿈이 만나는 곳 file 알로하 2020.09.27 1040
3285 32년간 편지를 쓴 사나이의 이야기 [1] 제산 2017.07.03 1041
3284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3편) 차칸양(양재우) 2017.07.18 1041
3283 삶을 맑게 사유한 날들 연지원 2017.01.09 1042
3282 ‘강사를 가르치는 강사’ 유형선의 <강의 잘 하는 법>(상편) 차칸양 2018.02.20 1042
3281 여성 리포트 - 생존기술 [1] 書元 2017.03.18 1043
3280 '도시퇴사'를 꿈꾸는 이들에게 옹박 2017.05.15 1043
3279 월급쟁이 탁월함에 관하여 장재용 2020.06.09 1043
3278 화요편지 - 오늘도 틀리고 내일도 [1] 종종 2022.09.20 1043
3277 [월요편지 134] 은퇴 후에도 손 벌리는 자녀 등쌀에 벌벌 떠는 부모가 늘고 있는 이유 습관의 완성 2023.01.08 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