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산
  • 조회 수 3370
  • 댓글 수 9
  • 추천 수 0
2008년 5월 4일 23시 38분 등록

아버님이 돌아가신 건 내가 중학교 2학년 때다. 간암으로 1년 반 가까이 투병 생활을 하신 때문에 암과 싸워야 했던 당신은 물론이거니와 집안 식구들도 많은 고생을 했다.

이렇게 오랫동안 병치레를 하신 아버님이 우리 식구들에게 주신 가장 큰 교훈은 “건강”이었다. “건강하지 못하면 세상 모든 일이 다 부질없는 것이다”는 가르침을 난 어린 나이에 경험을 통해 알게 됐다. 그런 때문인지 난 운동을 좋아했고 또 꾸준히 해왔다. 중년에 접어든 지금까지 몸이 아파 병원에 가거나 약을 먹는 일이 거의 없는 건강 체질을 갖게 된 것은 아버님으로부터 받은 이런 가르침 덕인 것 같다.

그런데 내가 그렇게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강 중에 한 가지 잘 챙기지 못한 부분이 있었으니, 그게 바로 오복의 하나라는 ‘치아’건강이다. 이빨도 유전 성향이 있는 건지 몰라도 난 어렸을 때부터 이빨이 잘 썩는 편이었다. 그런데 중학교 2학년 때 앞니 2개가 상했다. 그 때 이 앞니를 잘 치료하지 못한 것이 고생의 시작이었다.

인근 친척 되는 치과의사 분에게 치료를 받았는데 그 분의 치료 기술상에 문제가 좀 있었던 듯싶다. 처음 2개가 상했던 것이 옆의 이까지 번져 4개가 되고, 그게 다시 6개로 늘어났다. 과자, 사탕 등 이빨에 좋지 않은 간식을 무분별하게 많이 먹고 이빨을 잘 닦지 않은 것이 제일 큰 이유겠지만, 문제 있는 치과의사를 만난 것도 큰 불행 중 하나였다. 여하튼 고등학교 1학년 때쯤 앞니 6개를 발췌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에 이르렀다.

앞니를 발췌하고 브리지(Bridge : 고정식 틀니)를 하게 되었을 때 만난 치과의사는 다행스럽게도 나와 운(運) 때가 맞는 분이었다. (치과를 여러 곳 다녀 본 후 갖게 된 느낌인데, 환자와 궁합이 맞는 의사가 있다는 걸 나는 이제 운명처럼 믿는다. 잘한다고 소문난 치과라도 뭔가 불편하고 나와 잘 안 맞는 의사가 있는가 하면, 동네 조그만 병원의 그저 그런 치과의사인데 잘 맞는 의사가 있기도 하다.) 의사 선생님은 훌륭하게 시술을 하셨고, 난 그때 해 넣은 브리지를 30년 이상 사용했다. 영구치가 나고 10년 정도 있다가 발췌를 한 후 브리지를 끼고 30년 이상을 살았으니, 어느 게 내 진짜 이빨인지 구분이 가지 않을 정도로 그 때 브리지는 잘 만들어 졌고, 오랫동안 내 진짜 이빨인 것처럼 불편 없이 사용했다. 그런데 작년 말 이 브리지의 기둥부분에 조그만 구멍이 생겼다. 수명이 다한 것이었다. 그래서 지난주에 30년 이상 내 이빨 노릇을 하며 정들었던 브리지를 떼어내고 임플란트 시술을 하게 됐다.

요즘은 임플란트를 많이 하므로 전혀 어려울 게 없을 줄 알았는데, 내 경우는 좀 달랐다. 발췌한지 30년이 지나서 잇몸 뼈가 많이 쪼그라든 상태이므로 뼈이식이 필요했고, 위쪽 앞니 부분이라서 더구나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임플란트는 윗니가 그리고 앞니 쪽이 더 어렵다고 한다) 그리고 또 다른 걱정이 있었다. 임플란트를 완성하기까지는 수개월이 걸린다. 이 기간 동안 임시치아를 사용하는데, 브리지를 떼어내고 나서 임시치아를 하기 전까지 한동안을 앞니가 없는 상태로 지내야 한다는 점이었다.

치과의사는 잇몸의 붓기가 가라앉을 때까지 적어도 열흘 이상, 가능하면 오랜 기간 동안 임시치아 없이 지내는 게 좋다고 했다. 회사 출근도 해야 하니 가능한 한 빨리 임시치아를 했으면 좋겠다고 했더니,‘20년 이상 사용할 임플란트인데 모양을 고려해서 잇몸에 무리를 주어 가면서 까지 임시치아를 빨리 해 넣는 것은 권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한마디로 앞니빨이 왕창 빠진 ‘영구’가 된 상태에서 열흘 이상을 보내야 한다는 말이었다.

아니 어떻게 앞니빨을 휑하니 뚫어 놓고 직장생활을 하란 말이냐? 그게 시방 말이 되는 소리냐? 회의도 해야 하고, 사람들도 만나야 한다. 가끔은 불만에 가득 찬 고객을 만나서 달래야 할 일도 있는데... 앞니빨 없이 어떻게 사람들을 만나서 얘기를 하란 말이냐? 하기야 불만 고객을 상대 할 때는 이빨 없는 게 도움이 좀 될지도 모른다. 아무리 화가 난 고객이라도 이빨을 드러내며 살며시 웃어주면..... 화가 좀 풀어지지 않을라나?

걱정스러웠다. 브리지를 떼어내면 발음은 제대로 할 수 있을까? 바람이 많이 새지 않을까? 팥죽 할아범 같아 보이지 않을까? 별 생각이 다 들었다. 치과의사는 30년 이상 사용하고 있었으니 브리지를 떼어내는 게 내 이빨을 뽑는 것과 비슷한 기분일 거라는 얘기를 해 주었다. 그러면서도 어떻게 하면 좋으냐는 내 물음에는 “글쎄요? 어쩔까요? 마음의 준비를 하는 게 좋겠지요.” 하는 말이 전부였다.

마음의 준비? 어떤 게 마음의 준비인가? 이빨 빠진 영구 모습을 자꾸 상상해보고 그 모습에 익숙해지라는 얘기인가?

지난 수요일 드디어 시술에 들어갔다. 먼저 마취를 한 상태에서 브리지를 떼어냈다. 마취 때문에 얼얼한 가운데에서도 앞니 부분이 허전한 게 느껴진다. 그리고는 본격적으로 임플란트를 심는 작업이 시작 됐다. 6개의 이빨 부위에 임플란트 4개를 심는 공사다. 잇몸을 가르고, 끌을 댄 채 망치로 두드리고, 드릴로 뚫고, 끌로 깍아내고... 난 채석장의 돌덩어리가 된 느낌이었고 치과의사는 석공 같았다. 그런데 이놈의 석공이 중간 중간에 알아듣지 못할 말들을 해댄다. “야! 이거 심각하네... 김간호사, 이거 (#%^*&^*@) 되겠어? (^*&#%^*@) 해야 되는 거 아닐까? 야! 이거 정말 힘들겠는데!” 간호사와 자기들끼리의 용어를 써가면서 뭔 말을 해 대는데, 안 그래도 바짝 긴장하고 있는 터에 의사의 한마디 한마디에 신경이 써진다. 이거 잘 되고 있는 건가? 뭔가 심각한 문제가 있는 건 아닌가?
2시간 40분에 걸친 난공사였다. 하지만 공사는 비교적 잘 마무리 됐다.

이제 몇일 지나고 나니 붓기는 많이 가라앉았다. 헌데 뼈이식 한 부분은 꿰맨 곳이 터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고 해서 크게 웃지도, 말을 많이 하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그래도 입을 놀리는 데는 큰 지장이 없다. 말할 때 보면 앞니빨을 이용하는 발음(치음)이 잘 안 된다. 발음이 새기도 하거니와, 그런 발음을 하려면 입술에 힘이 들어가면서 입술이 위로 올라가서 앞니 부분이 여지없이 드러나 버린다. 바로 앞니 빠진 영구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버리는 거다. 아이고!!

시술을 하고나서 난 정말 이빨 여섯 개를 뽑아버린 상실감 같은 것을 느꼈다. 기분이 우울해지고, 이제 내 몸의 일부분을 자연에게 반납하기 시작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곤 죽음을 생각하게 됐다. 지금은 이빨 여섯 개지만 30년 뒤에는 이 몸 전체를 반납해야할 상황이 올 거야. 이제 얼마 남지 않은 거야. 그것도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기간은 정말 오래 남지 않은 거야. 그럼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지?

지금 읽고 있는 “인생으로의 두 번째 여행”에서 난 정말 마음에 드는 한 구절을 건졌다. 「집과 가족에게로 돌아가거라. 너의 몫에 만족하거라. 신이 너에게 지혜의 책을 내리셨다. 그 충고를 따르도록 해라. 성실히 일해라. 아이들을 잘 길러 미래를 준비시켜라. 그리고 너의 이웃을 도와라. 그리하면 더 이상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제 한동안은 다른 사람들의 시각적 즐거움을 고려해서 마스크를 쓰고 다녀야 할까보다.
IP *.5.98.140

프로필 이미지
양재우
2008.05.04 23:48:49 *.178.33.220
전 이야기에서 마스크(가면)를 벗으라고 했는데
정산형아는 마스크를 써야겠다고 말하는군여. -__-;;

한수기누나한테 심각한 사정이 있어 이번 오프수업에 빠질 수 있다고
얘기했다는데 혹시 이 대공사 때문인가여?

그렇다면 마스크 없이 와도 무방하니까 암 걱정말고 오시길..
우리끼리 한번 웃어버리고, 수업하면 되자나여~~!! ㅋ
프로필 이미지
홍스
2008.05.05 07:32:12 *.39.173.162
큰형
고생하셨습니다.

내 이가 다 얼얼합니다.

조금만 더 고생하면 된다니 그래도 다행스럽습니다.
앞으로 20년은 거뜬한거죠.

항상 건승하시길 기원할께요....^)^
프로필 이미지
빨간모자
2008.05.05 18:52:44 *.160.33.149
고생 많았네.
한 50년 써야할테니 천천히 꼼꼼하게 잘 하라하시게.
썩은 이 버리고 새 이들을 얻었으니 맛있는 것 마음대로 먹을 수 있는 인생으로의 두 번째 출발인 셈이네. 축하하네.

이는 빠졌지만 수업에는 빠지지 않길 바라네.

수업 면제 받으려면 두가지 서류를 올려야 하네. 잘 보고 착오 없도록 하시게.

1. 앞니 빠진 얼굴 정면 사진 올리게. 입을 크게 벌려 차아가 있던 자리를 보이고,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도록 얼굴이 명료하게 보이게 찍게. 눈을 감지 말게.

2. 치음을 열개 발음해서 녹음해 올리시게. 바람이 쉬~쉬하고 많이 새야하네. 촛불이 꺼져야 하네.
프로필 이미지
前 연구원
2008.05.05 23:49:02 *.250.10.50
부디 사부의 명령대로 행하시어 수업을 면제 받기를 바랍니다. 혹여 이글을 채찍으로 알고 무리하게 수업에 참석하는 일이 없기를 바라옵고 또 바라옵니다.
오매불망 그대의 UCC동영상이 올라오길 기다리는 팬으로부터..
프로필 이미지
소은
2008.05.06 11:52:50 *.51.218.151
푸하하하아아아아----
사부님, 그거 별나라 유머입니까? 갈수록 멋지십니다. 감동 짱 먹었슴다...


"이는 빠졌지만 수업은 빠지지 않길 바라네."

넵, 조교의 직권으로 결석하는 사람,
없도록 하겠습니다.

그는 마스크를 쓰고라도 나와야 할 것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정산
2008.05.06 13:45:54 *.97.37.242
ㅎㅎㅎㅎ, 사부님 유머에 찌뿌둥했던 잇몸이 개운해지는 느낌입니다.
사부님, 이는 빠졌지만 수업은 빠지지 않겠습니다! (이빨 앙!~ 물고)
제자는 스승 따라간다고...
사부님도 좀 빠진게 있지만 수업은 빠지지 않으시쟎아요? ㅋㅋ (죄송^^)

前 연구원님, 누구신지 모르겠지만 정말 제 건강을 염려해 주시는 것 같아 눈물납니다. 빨간모자 사부님이나 소은 조교님과는 근본이 다른 따뜻한 마음을 가지신 분이군요. 오늘 같이 화창하고 따뜻한 날엔 햇살 같이 비춰주던 선배님이 더 그리워져요. 연구원 수료 축하드립니다.
글구, 선배님 동영상보다 더 좋은거 보여드릴께 그날 오세요. 왕창 빠진 실물로 보심이... ㅎㅎㅎ

재우, 홍스야 걱정해줘 고맙다. 여러분들 염려 덕분에 상태가 좋은 편이야. 토욜날 보자~~ ^)^
프로필 이미지
2008.05.06 21:48:06 *.41.62.236

어쩐지 구여운 영구 오라버님이 기대 만발 됩니당. 므훗. ^!~
프로필 이미지
광현
2008.05.06 23:17:23 *.239.140.223
많이 부으실텐데...다들 경험이 없어 그저 치아만 없다고 생각하시는 모양입니다. 힘내십시요...아자!!!!!
프로필 이미지
거암
2008.05.07 07:28:35 *.244.220.254
소년(?) 같은 솔직함과 순수성을 저희들이 좋아하는거 아시죠?
뒤따라가는 젊은(?) 친구들에게 계속해서 맑은 모습 보여주세요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7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51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1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90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8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800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6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