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제산
  • 조회 수 162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9년 12월 23일 15시 27분 등록
“선생님은 ‘마음산책’이시네요!”

초고를 보내고 처음 만난 자리에서 편집자가 말했습니다. 원고를 보면 특정 출판사가 떠오르기도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소망하던 시 쓰기를 포기하고, 시가 아니라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글을 써 보자며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글을 쓴 것이었는데, ‘마음산책’이라니. 애 써 뒤집어 쓴 강철 페르소나가 확 벗겨지는 느낌이었습니다. 

“언젠가 시 같은 에세이를 한 번 써 보세요. 잘 어울릴 것 같아요.”

‘마음산책’은 고유한 결이 있는 출판사로 제가 참 좋아하는 출판사입니다. 책 한 권 한 권에 정성을 다 하는 마음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마음산책’의 책이라면, 한 권의 책이 하나의 아름다운 예술 작품 같고, 책을 여러 권 모아놓으면 또 다른 새로운 예술 작품 같았습니다. 책의 내용뿐만 아니라 책의 물성이 주는 감동이 있었습니다. 글이 잘 써지지 않을 때면, 편집자가 해 준 말을 떠올렸습니다. 제가 쓴 글은 비록 마음에 안 들었지만, ‘마음산책’과 어울린다는 말에 은근한 자부심이 들곤 했습니다. 

올해 초, ‘마음산책북클럽’ 모집 공고를 보고 용기를 내어 지원했더랬습니다. 경쟁이 치열했지만 다행히 북클럽 회원이 되었습니다. 한 해 동안 프리뷰에디션을 포함하여 여섯 권의 새 책을 받았습니다. 귀여운 굿즈도 많이 받았습니다. 그리고 네 번의 만남이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소중한 한 해를 선물 받았습니다.

여느 해보다 바빴던 2019년, 저는 실용서 한 권과 인문서(공저) 한 권을 출간했고, 외서 두 권을 번역했습니다. 찾는 이가 많아서 감사했지만, 시 쓰기를 갈망하던 때와 달리 마음 한편에서 ‘서걱서걱’ 낙엽 부서지는 소리가 나는 것 같았습니다. 마음이 사막같이 메말라 있을 무렵이면 ‘마음산책북클럽’의 새 책이 도착했고 저는 허겁지겁 읽었습니다. 마치 목마른 아이가 벌컥벌컥 물을 마시는 것처럼 말입니다. 그러고나면 좀 괜찮아졌습니다. 지난 2월과 5월, 9월과 12월에 합정 레드빅스페이스에서 열린 마음산책북클럽의 북토크에 다녀왔습니다. 작가와 함께 내밀한 책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다시 마음이 촉촉해지는 것이었습니다. 

‘마음산책북클럽’의 첫 만남은 김금희의 짧은 소설 <나는 그것에 대해 아주 오랫동안 생각해>였습니다. 마음이 엉킨 실타래라면 한 올 한 올 정성스레 매만져 줄 것 같은 김금희 작가를 만나고 반해서 그의 소설을 더 찾아 읽었습니다. 두 번째 만남은 미술평론가 박영택의 <엔티크 수집 미학>이었습니다. 평소 박영택 교수님의 칼럼을 좋아해서 스크랩해 두고 다시 꺼내어 읽곤 하던 저에게는 깜짝 놀랄 경험이었습니다. 

세 번째 만남은 손보미의 짧은 소설 <맨해튼의 반딧불이>였습니다. 모임이 있던 날, 작은아이가 따라오겠다고 해서 난감했는데, 마음산책 직원분들께서 아이를 반겨주시고 자리와 샌드위치까지 챙겨주셔서 오히려 감동받았습니다. 따뜻하고 섬세한 배려 속에 손보미 작가님을 직접 뵌 작은아이는 <맨해튼의 반딧불이>를 들고 다니다가 완독하더라고요. 매우 흐뭇했습니다.

네 번째 만남은 이해인 수녀님의 <그 사랑 놓치지 마라>였습니다. 오랜 시간 시인이 되기를 꿈꾸었던 저에게는 더욱 의미가 깊은 만남이었는데요. 수녀님께서 직접 읊어주시는 시도, 수녀님의 시를 노래로 만든 싱어송라이터 홍찬미 씨의 노래도 참 좋았습니다. 북토크 시간은 물론, 북토크를 기다리던 시간도 좋았고, 그날을 떠올리면 내내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수녀님과의 북토크 후에 선물을 나누는 시간이 있었는데요. 저는 마음산책 대표님의 소장품 중 찻잔을 선물 받았습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저는 차를 마시고 있는데요. 북토크 때의 감동이 다시 느껴지네요. 

‘마음산책북클럽’이었기에, 2019년이 참 좋았습니다. 이제 시를 쓰지는 않지만, 마음만큼은 시를 쓰던 그때의 마음이 되었습니다. 가면 너머를 알아봐준 편집자님과 ‘마음산책북클럽’ 덕분입니다. 

당신의 올해는 어땠나요? 당신은 독서모임을 하시나요? 당신의 독서모임은 어떤가요? 당신의 책과 마음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김정은(toniek@naver.com) 드림
IP *.224.128.19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54 삶의 여정: 호빗과 함께 돌아본 한 해 [1] 어니언 2024.12.26 957
4353 엄마, 자신, 균형 [1] 어니언 2024.12.05 979
4352 [수요편지] 발심 [2] 불씨 2024.12.18 1016
4351 [수요편지] 능력의 범위 불씨 2025.01.08 1024
4350 [내 삶의 단어장] 크리스마스 씰,을 살 수 있나요? [1] 에움길~ 2024.08.20 1058
4349 [수요편지] 형세 [3] 불씨 2024.08.07 1088
4348 [수요편지] 문제의 정의 [1] 불씨 2024.08.21 1111
4347 [목요편지] 흉터 [2] 어니언 2024.07.11 1128
4346 [목요편지] 육아의 쓸모 [2] 어니언 2024.10.24 1132
4345 [목요편지] 장막을 들춰보면 어니언 2024.08.22 1155
4344 [책 vs 책] 무해한 앨리스 화이팅! file [2] 에움길~ 2024.07.22 1157
4343 [월요편지] 세상이 분노가 가득한데 [1] 에움길~ 2024.07.08 1162
4342 새로운 마음 편지를 보내며 [4] 어니언 2024.07.04 1165
4341 [목요편지]’호의’라는 전구에 불이 켜질 때 [4] 어니언 2024.07.18 1166
4340 [수요편지] 행복 = 고통의 결핍? 불씨 2024.07.10 1167
4339 [내 삶의 단어장] 알아 맞혀봅시다. 딩동댕~! [1] 에움길~ 2024.07.30 1174
4338 [책 vs 책] 어디든, 타국 [1] 에움길~ 2024.08.26 1180
4337 [목요편지] 별이 가득한 축복의 밤 [3] 어니언 2024.12.19 1180
4336 [수요편지] 성공의 재정의 [2] 불씨 2024.07.03 1186
4335 [수요편지] 불행피하기 기술 [3] 불씨 2024.07.17 1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