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운제
  • 조회 수 895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20년 3월 26일 06시 23분 등록

변화경영연구소

벚꽃이 피었습니다

주말 나들이 한번 다녀오세요

벚꽃이 반쯤 피었습니다.
올해는 예년에 비해 일찍 피었습니다.
이번 주말에 활짝 필 것 같습니다.
술도 반쯤 취했을 때가 좋고, 꽃도 반쯤 피었을 때가 더 예쁩니다.

올해의 벚꽃은 저에게 더 의미가 있습니다.
작년 가을부터 준비하던 책 원고 초안을 어제 출판사로 보냈습니다.
벚꽃 필 무렵에 보내주기로 한 약속을 지켰습니다.
마감시간을 정해두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지만 코로나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두기를 한 것도 집필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음에 나올 책은 철학책입니다.
쇼펜하우어, 틱낫한, 오쇼라즈니쉬 등 10명의 철학자나 사상가의 핵심 사상을
저의 언어로 다시 쓰는 것입니다.
철학이 필요하지만 어려운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저가 책을 쓰는 이유를 니체가 잘 표현하여 저의 글과 함께 소개합니다.
이번 책에는 이런 글이 총 200개 있습니다.

책을 쓴다는 것은 무엇을 가르치기 위함이 아니다.
독자보다 우위에 있음을 과시하기 위함도 아니다.
책을 쓴다는 것은 무언가를 통해 자기를 극복했다는 일종의 증거다.
낡은 자기를 뛰어넘어 새로운 인간으로 탈피했다는 증거다.
나아가 같은 인간으로서 자기 극복을 이룬 본보기를 제시함으로써
누군가를 격려하고자 함이요, 겸허히 독자의 인생에 보탬이 되려는 봉사이기도 하다.
- 니체

책은 하나의 세계다.
한 권의 책을 쓴 사람은 또 다른 하나의 세계를 가진다.
자신의 세계에서는 누구보다 할 말이 많은 사람이다.
가르치기 위해 책을 쓰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책은 자기학습의 결과물이다.
타인을 자기 세계로 초대하여 지식과 생각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책은 쓴다는 자신만의 컨텐츠와 열정이 있어야 가능하다.
책을 낸다는 것은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저자로서 가장 지향해야 할 일은 자신의 책과 일치하는 삶을 사는 것이다.
- 달국    

이번 주말에는 개인적으로 여러분들께 꽃구경 한 번 다녀오시기 권합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도 중요하지만 꽃은 금방 지고 말거든요.
지금, 이 순간이 즐기기에 완벽한 시간입니다.
여러분들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이어서 읽기

변경연에서 알립니다

IP *.103.213.218

프로필 이미지
2020.03.26 06:31:03 *.103.213.218

 낯선 환경에서 몇 번 헤매다 길을 찾았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20.03.26 17:52:25 *.180.157.29

벚꽃이 벌써 저렇게 핀 건가요?

올해는 남쪽으로 벚꽃 구경을 못 가게 돼서 정말 아쉬워요. 제가 매년 참가하는 벚꽃 마라톤 축제가 올해 취소됐거든요. 

꽃도 예쁘고 출간하실 책도 기대되네요. 

미리 축하드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96 [금욜편지 41- 신화속 휴먼유형- 헤라클레스형 3- 유형분석] [2] 수희향 2018.06.15 881
3795 [화요편지] 내 인생이 서러운 100가지 이유 아난다 2019.07.23 881
3794 나의 기준을 세워라 [1] 어니언 2023.05.11 881
3793 [수요편지 19- 심연통과 3: 주승천 전략] 수희향 2017.12.27 882
3792 [일상에 스민 문학] 미세먼지로 뒤덮힌 분노의 포도 정재엽 2018.03.28 882
3791 [화요편지]4주차 미션보드_가지 않은 길을 걸어보다 아난다 2019.08.06 882
3790 사유의 확장을 위한 <열한 계단> (4편) [2] 차칸양 2018.04.03 883
3789 [금욜편지 109- 삼천배 철야정진] 수희향 2019.10.25 883
3788 분노와 용기라는 두 가지 에너지에 대해 [1] 불씨 2022.02.22 883
3787 [월요편지 111] 책을 더럽게 읽는 남자 [2] 습관의 완성 2022.06.12 883
3786 부모가 익어가는 시간 옹박 2017.06.12 884
3785 훗날을 기약하는 인생 설계 [1] 옹박 2017.08.21 884
3784 핀테크는 왜 '개인금융의 미래'라 불리는가?(1편)-어니스트 펀드 file [2] 차칸양 2017.09.26 884
3783 [화요편지]11주차 워크숍_엄마의 시간통장 아난다 2019.11.19 884
3782 화요편지 - 이토록 은밀하고 스펙타클한 [1] 종종 2022.09.13 884
3781 [수요편지] 바위를 미는 남자 [1] 불씨 2023.02.15 884
3780 [내 삶의 단어장] 덕후의 나날 에움길~ 2023.05.22 884
3779 사유의 확장을 위한 <열한 계단> (3편) [2] 차칸양 2018.03.27 885
3778 [수요편지] 깨어남에 대해 [3] 김글리 2022.01.05 885
3777 [일상에 스민 문학]-A4 4장짜리 인생 정재엽 2017.12.20 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