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재용
- 조회 수 1133
- 댓글 수 3
- 추천 수 0
‘나는 왜 더 잘하지 못할까’ 자책하는 그대에게
물론 일상은 고달프다. 가끔 힘에 부쳐 숨 쉴 때마다 절망을 빨아들이는 것 같다. 저 아래로 처박히는 느낌은 수시로 들락거린다. 모두가 나보다 잘난 것 같고 잘난 사람들 사이에서 부대끼며 일할수록 나는 점점 낮아지는 것 같다. 그런 일상에서 꿈이고 지랄이고 언감생심이다. ‘나’로 살아가는 인생은 하루하루 멀어지는 것 같다. 생긴 대로 산다는 건 만만한 게 아니었던 게다. 그런데도 나는 왜 더 잘하지 못할까 자책한다.
그러나, 아무개야 보아라. 삶은 그저 똥이다. 산해진미 지나간 끼니가 지금을 배부르게 할 수 없는 건 내가 처먹은 모든 것이 똥이 되었기 때문이다. 밥뿐이랴, 내가 했던 생각, 시부렸던 이야기, 쏘다닌 길, 분노했던 일들은 지금 어디에도 없다. 모두 버려지고 잊혀지고 사라졌다. 삶은 죽었다가 재생산하는 일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세포와도 같고 마음껏 맛나게 먹었지만 똥으로 내려간 음식과도 같다. 그런 똥 같은 삶에 우열이 있을 리가 있겠는가?
생각해 보아라. 지금을 억지로 살고 있다면 그대가 가려는 이 길은 그대의 길이 아니다. 그 길로 간다고 해서 무언가를 움켜잡을 수 없는 길이다. 그것은 매끈거리는 비닐 장판에 들러붙은 머리카락과 같다. 아무것도 아닌 한 올을 움켜쥐려 걸레로 떼려다 못해 손가락으로 떼어보려고 하지만 착 들러붙은 머리카락은 손톱으로도 쥐어질 리가 없다. ‘쥐어도 안 잡히고, 쥐어도 안 잡히고, 쥐어도, 쥐어도 안 잡힌다.’ 비극이다.
‘인생이 비극이라고 느끼는 그 순간 우리는 삶을 시작하는’ 거라고 예이츠는 말했다. 그때 내 삶을 찾아야 한다. 독한 담금질이 필요하다. 주름 없는 인생에서는 배울 게 없다. 상처 없는 미끈한 장단지로는 아무도 업을 수 없다. 육근은 고통스런 물리적 힘에 의해 튼튼해지고 뜨거운 태양과 태풍을 견뎌야 사과 한 알이 여문다. 삶을 잘 사는 법은 석, 박사를 했다고 알아지는 게 아니다. 그저 온몸으로 밀고 나갈 수밖에 없다. 온 몸으로 사는 법 외엔 방법이 없단 말씀이야, 그래야 ‘나’라는 거대한 시 하나가 탄생한다.
느낌에서 사실로, 위험에서 안전으로 가는 허약한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다. 사람들은 무엇이든 잘 하는 사람을 우대하고 우리는 더 잘하지 못해 안달한다. 그것은 허약한 구조에 올라탄 사람들이 우리를 가두려는 악랄한 논리임을 알아야 한다. 일 잘하려는 중압감이 인생을 망친다. 일 잘해도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다. 기껏해야 승진이다. 승진은 무엇인가, 소모적인 삶으로의 적극적인 이행이다.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이고 낯에 광을 내려 세수하지만 영혼은 흐리멍덩하다. 보고서를 예쁘게 꾸미려 애쓰지 말고 마음을 야무지게 먹어라.
사람들은 ‘나 자신이 중요하다’,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아라’ 하며 녹음기를 틀어 놓은 듯 말하지만 그럴수록 개인은 사라지고 크고 약해빠진 집단으로 엉겨 붙는 것 같은 생각은 나뿐일까. 어리석은 ‘집단’은 놔두고 잗다란 행복을 위해 서로를 위로하는 작은 개인만이 남아 헛발질을 남발한다. 그것은 연약하고 슬프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위로가 아니라 위험이다. 광범위한 불행의 세계를 박차고 일어나는 위험 말이다.
사는 법에 관해선 약사여래 같은 처방이 없다. 더러는 분노에 못 이겨 울어야 하고 더러는 벼랑 끝에 세워놓고 무릎을 벌벌 떨어야 한다. 들판에 서지 않고 안온한 온축 위에서 어린 아이 같은 불평과 불만을 쏟아내는 일은 의미가 없다. 다만, 언젠가 만날 ‘나’를 위해 잘난 사람들 틈에서 있는 나를 온전히 지켜라. 그들로부터 내가 훼손되는 걸 내버려 두진 마라. 조직 안에서, 그들 틈에서 일하며 내 자신이 마모되면 ‘나’ 또한 사라진다.
그대는 조금 늦게 필 것이다. 조급해 하지 마라. 늦은 만큼 살 떨리는 환희가 기다리고 있다. 움츠렸다 활짝 터져버리는 황홀 말이다. 그 전에 그대 안에서 걸려든 것은 어떻게든 잡아야 한다. 잡지 못하거나 물러서거나 피하면 꽃을 피울 수 없을지도 모른다. 굴욕의 시간에 그대가 해야 할 일은 이것저것 매달리며 에너지를 쏟아내는 것이 아니라, 품고 또 품고 응축하고 또 응축해서 어느 날, 어느 순간 그대 안에 걸려든 그것을 놓지 않으리라는 신념을 키우는 것이다. 그때는 반드시 온다. 일 잘하려 애쓰지 말고 그대 주변을 먼저 살피라. 주변에 사랑하는 사람들과 그대에게 맞닥뜨려진 것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가면서 그렇게 기다리는 것이다. 그대를 꼭 붙들고 지키면서 말이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870 | 신의 음성을 가진 멘토를 가질지니 [3] | 부지깽이 | 2011.11.25 | 4145 |
869 | 나의 노래를 부르면 된다. | 최우성 | 2013.01.07 | 4146 |
868 | 프로가 된다는 것 [1] | 문요한 | 2013.01.23 | 4156 |
867 | 족제비는 정말 입으로 새끼를 낳을까 ? [6] | 부지깽이 | 2010.09.03 | 4157 |
866 | 길이 끝나는 곳에서 다시 길은 시작하고 [2] | 문요한 | 2008.10.28 | 4158 |
865 | 미안하다 미안하다 [1] | 박승오 | 2008.08.04 | 4159 |
864 | 문명은 모든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문명이어야 한다 | 부지깽이 | 2011.09.16 | 4159 |
863 | 태몽 혹은 인디언식 이름 [8] | 구본형 | 2008.02.15 | 4160 |
862 | 엉뚱한 꿈 때문에 고민하는 당신에게 [7] | 신종윤 | 2010.05.10 | 4160 |
861 | 갈현모 선생님 [1] | 구본형 | 2007.01.12 | 4161 |
860 | 당신은 개인인가? | 문요한 | 2013.07.31 | 4161 |
859 | 시간이 지나가도록 길을 내주어라 | 문요한 | 2012.12.26 | 4162 |
858 | 날개는 언제 자라나는가 | 문요한 | 2007.03.06 | 4168 |
857 | 음악이 다시 힘을 줄 것 입니다 [1] | 구본형 | 2006.12.15 | 4173 |
856 | 생애 최고의 날 [20] | 최우성 | 2012.01.02 | 4173 |
855 | 숨이 멎을 것 같은 순간들 | 박승오 | 2008.01.21 | 4174 |
854 | 성장의 증거 | 김용규 | 2006.11.02 | 4175 |
853 | 내 입에 들어온 설탕같은 키스들 | 한명석 | 2007.07.19 | 4175 |
852 | 고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승완 | 2011.08.16 | 4177 |
851 | 성숙의 기회, 그림자와의 만남 | 승완 | 2011.11.15 | 41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