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운제
  • 조회 수 86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0년 5월 21일 21시 39분 등록

목요 편지

모내기

우리 동네에 모내기가 한창입니다.
넓은 논에 아저씨 혼자 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기계로 하니 가능한 일입니다.
학창시절에 시골에 가서 모내기 봉사활동을 해 보았는데 무척 힘들었습니다.
모를 심고 나서 돌아서면 모가 반은 떠있었고 줄도 비뚤비뚤했습니다.  

모를 처음 심고나면 잘 자라지 않습니다.
그래서 <발묘조장(拔苗助長)>이라는 말이 생긴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자라지 않는 것 같았는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눈에 띄게 달라집니다.
그러다가 뜨거운 여름이 지나고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면 벼가 익고 추수를 하고 나면 빈 들판이 되고 한 해가 지나갑니다.
시골에 살면 계절의 변화를 온몸으로 느끼게 됩니다.

저녁 무렵 밑에 사는 동네 형님한테 전화가 와서 갔더니 상추를 큰 봉지로 가득 주었습니다.
저는 요즘 상추가 주 메뉴입니다.
특히 겨울 지난 상추가 맛있습니다.
상추 하나만 있으면 다른 반찬이 필요 없습니다.
마트에서 파는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피가 맑아지고 몸이 가벼워지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19로 오랜만에 도서관에 갔습니다.
들어갈 때 열을 재고 방명록에 이름과 연락처를 적어야 됩니다.
열람실은 폐쇄되었고 대출만 가능합니다.
5권을 빌려왔습니다.
옛날에는 책을 전부 인터넷으로 사서 보았는데 더 이상 놔둘 곳이 부족하여
요즘은 일단 빌려보고 두 번 이상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책만 사게 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많이 읽는 것보다 좋은 책을 여러 번 읽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았습니다.

5월말인데 가을 같은 날씨입니다.
미세먼지도 없이 코로나만 아니면 정말 활동하기 좋은 날씨입니다.
하지만 코로나 때문에 그런 날씨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니 세상이 정말 아이러니 합니다.
살아갈수록 세상은 모순으로 가득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한 달 정도 있으면 저의 책이 나옵니다.
지금 제목을 몇 가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책을 쓸 때마다 가장 힘든 것이 제목을 정하는 것이었습니다.
지금 3가지 정도로 압축되었습니다.
다음 주에는 제목을 정해야합니다.
무엇이든 선택한다는 것이 즐거운 일이기도 하지만 힘든 일입니다.
선택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하기 때문이지요.
책 제목은 판매와 직결되기 때문에 더욱 힘든 것 같습니다.  

5월도 깊어가고 있습니다.
날마다 눈부시게 아름다운 하루가 되길 바랍니다.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이어서 읽기

변경연에서 알립니다

COPYRIGHT @ 변화경영연구소

IP *.151.165.23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56 나의 시간을 아는 것으로 나는 희망입니다 file [12] 김용규 2009.01.08 3601
3755 열혈남아 file [5] 구본형 2009.01.09 3598
3754 탁월함에 이르는 실마리 [1] 신종윤 2009.01.12 3979
3753 편지2-:((주)봄바람 공동대표 김상아- 새로운 세상과 만나는 기대 file [17] 이한숙 2009.01.13 4886
3752 현자의 말을 기억할 때. 최소욕망, 최대행복 [1] 서지희 2009.01.14 3600
3751 희망은 다양성 안에 거(居)합니다 file [5] 김용규 2009.01.15 3389
3750 커다란 눈 그녀 file [6] 구본형 2009.01.16 4473
3749 하루에 2시간이면 충분하다. [6] 신종윤 2009.01.19 3594
3748 편지3 :오선주 - 파티는 끝났다 [3] 소은 2009.01.20 4110
3747 출발선에 다시 선 우리 file [6] 서지희 2009.01.21 12518
3746 사람의 희망이 어찌 이와 다를까 file [9] 김용규 2009.01.22 3418
3745 무차별 웃음, 어당팔 선생 file [8] 구본형 2009.01.23 6136
3744 재능에 대한 미련을 버리다. [7] 신종윤 2009.01.26 4010
3743 마음편지 4- "엄마, 나 연기가 재미있어"( 둘째의 대학 합격기) file [9] 소은 2009.01.27 8316
3742 존재의 특별함 [2] 2009.01.28 2656
3741 고난을 품지 않고는 피어날 수 없는 꽃 ? 개암나무로부터 희망을 배우다 file [5] 김용규 2009.01.29 5942
3740 창조적 수다 file [8] 구본형 2009.01.29 3846
3739 온 마음을 다하라 [3] 신종윤 2009.02.02 3944
3738 편지 5: I am not a Doctor of Medicine, but a Doctor of Education [4] 소은 2009.02.03 3458
3737 내가 만드는 관계의 초상 [3] 서지희 2009.02.04 3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