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아난다
  • 조회 수 112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0년 7월 6일 20시 13분 등록

백조 부족.JPG

‘모으는 재미’를 익혀가는 과정은 중요하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반드시 깨우쳐야 할 것이 있다. 돈은 무언가를 성취하는 도구일 뿐이며, 사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돈이 아니고 돈이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한 가치, 예를 들면 자아 존중감과 자긍심 등이라는 점이다.

이렇게 우리는 서서히 돈에 대한 비정상적인 의존상태, 즉 화폐중독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운이 좋다면 우리는 애초에 돈을 모으려 했던 가장 중요한 목표마저도 굳이 ‘돈’이라는 매개체를 거치지 않고도 곧바로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될 수도 있다. 비로소 우리는 돈과 담백한 우정을 나눌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돈과의 관계에서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돈’이 우리에게 온 진짜 이유를 알아차리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 최소한의 경제적 자유, 즉 기본적인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금액을 너머서는 돈이 우리에게 머무는 이유는 뭘까? 돈이라는 친구가 우리에게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뭘까? 함께 도모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은 아닐까?

여전히 모자라고 모자라는 판국에 이미 '최소한의 경제적 자유'를 누리고 있다니, 뭔 말도 안 되는 소리냐고 반문하고 싶은가? 물론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최종 판단을 하기에 부디, 제발 이미 가진 것들과 누리고 있는 것들을 살피는 시간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이미 소화하기도 힘들 만큼 위가 꽉 차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습관적인 식탐에 휘둘리는 가여운 상태가 '음식' 뿐만 아니라 '돈'의 영역에서도 재현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냉정히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를 간절히 기도한다. 오직 당신의 평화와 자유를 위해.


우리가 세상에 온 이유

그렇다. 나는 지금 우리가 세상에 온 이유를 묻고 있다. 너무 어려운가? 하지만 포기해서는 안 된다. 대답하면 좋고 아니면 그만인 질문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러나 조급할 이유는 없다. 여전히 우리를 괴롭히는 화폐중독에서 벗어나려면,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지도 모른다.

만약 우리가 돈에 대한 의존성을 벗지 못한 상태라면, 이 질문에 답을 안다고 해도 의미가 없다. 이때 우리와 돈은 명백한 주종관계로 ‘돈’이라는 이름의 주인님은 노예의 의견 따위에 귀 기울여 줄만큼 자비롭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그렇게 확신하느냐고? 나 역시 그 지난한 길을 통과하고 있는 중이기 때문이다. 오랜 탐구와 실험의 시간을 보내며 개인적인 욕망을 위해 더 많은 돈을 벌어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질문의 답을 얻게 되었다. 더불어 돈이라는 든든한 친구도 함께.

지금 우리는 정말 좋은 친구다. 우리가 ‘살아있는’ 이유가 서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 이후로 점점 더 서로를 아끼게 되었다. 우리는 모두 ‘사랑’하기 위해 지구에 머문다. 서로를 돕는다면 더 깊이 더 널리 사랑할 수 있음을 굳이 설명할 이유가 있을까? ‘사랑’을 잃어버려 아파봤던 우리는 그 고통이 얼마나 끔찍한지 알고 있다. 그 어마어마한 고통을 치유하는 유일한 처방은 진짜 ‘사랑’을 배워 나누는 것뿐이라는 것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이 순간 자신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이고 있는가?그렇다면 당신 역시 우리와 같은 이유로 살아 숨쉬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오랜 방황끝에 부족의 품으로 돌아온 당신을 격하게 환영한다!


이전글 : 쓰는 재미보다 훨씬 짜릿한 '안 쓰는' 재미



dl


블로그 : 내 삶에 변화가 찾아올 때

이미지 출처 : https://unsplash.com/s/photos/swan



--- 변경연에서 알립니다 ---


1.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홈페이지가 새로워 지고 있습니다
구글 검색 기능을 탑재하여 홈페이지에 업로드 된 모든 글을 빠르고 손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파워풀한 검색 툴을 활용해 보세요. 20세기 '구본형'의 글에서부터 21세기 연구원, 꿈벗, 고민상담 등 모든 글을 홈페이지 상단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notice&document_srl=859878


2. '1 1글 챌린지'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구원을 중심으로 1 1글 챌린지가 진행되고 있습니다새로운 글들이 매주 월요일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댓글로 뜨거운 격려와 응원 바랍니다 2기 챌린지도 모집한다고 합니다. 2기부터는 많은 분들의 직접 참여도 기대해 봅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notice&document_srl=859878


3. [출간소식『오늘부터 쓰면 된다』 유인창 저
타고난 재능이 없다고 생각하며 하고 싶은 말을 글로 펼칠 용기를 내지 못한다내 일상을내 이야기를내 지식과 경험을 글로 쓰고 싶은데 말이다타고나지 않은 글재주를 탓하면서 머뭇거리지 말자누군가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누군가 들어주었으면 하는 말이 있다면 일단 써보자좋은 글쓰기를 위한 방법을 『오늘부터 쓰면 된다』에 담았다

http://www.bhgoo.com/2011/860648










IP *.140.209.23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56 월급쟁이의 욕망 장재용 2020.06.23 1110
315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이스탄불의 댄스 맛집 file 알로하 2020.07.05 1110
3154 [화요편지]수퍼 길치의 깨달음, 길 위에서 쫄지 않는 법 file 아난다 2020.10.27 1111
3153 [용기충전소] 마음에 군불 때기 [1] 김글리 2020.11.27 1111
3152 사랑은 현실을 딛고 피어날 때 더욱 더 아름답다 file 차칸양(양재우) 2017.04.18 1112
3151 창업 결정 이전에 결정해야 할 것, [5] 이철민 2017.05.04 1113
3150 J노믹스 증세에 대한 차칸양의 생각 file [2] 차칸양(양재우) 2017.05.30 1113
3149 전철에서 만나는 자유, <숫타니파타> file [2] 제산 2018.02.04 1113
3148 마음을 열면 알게 될 거야 [2] 어니언 2021.05.20 1113
3147 잃어버린 바늘을 찾아서 김용규 2017.01.06 1114
3146 '아이템'을 생각하는 다섯 가지 방법 - 1 [2] 이철민 2017.06.01 1114
3145 [목요편지] 내향적인 사람과 적극적인 삶 [1] 어니언 2021.02.18 1115
3144 마흔아홉, 출발의 설렘 [1] 書元 2016.08.15 1116
3143 [화요편지]세상에서 오직 나만이 그릴 수 있는 그림 file [2] 아난다 2020.09.15 1116
3142 한바탕 깨지기 위해 읽는다 [1] 옹박 2017.02.20 1117
3141 마흔아홉, 세상 가장 아름다운 부부 書元 2016.10.01 1118
3140 새해에 바라는 단 한 가지 file 한 명석 2016.12.28 1118
3139 벚꽃이 그 주인을 만나니 얼굴이 붉어지더라 [1] 장재용 2021.05.11 1119
3138 백스물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용기 1그램 [2] 재키제동 2017.10.20 1120
3137 [일상에 스민 문학] - 나의 소확행 (小確幸) - 제인 오스틴 <오만과 편견> [4] 정재엽 2018.02.07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