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오현정
  • 조회 수 3505
  • 댓글 수 10
  • 추천 수 0
2008년 6월 23일 06시 11분 등록
창의력이란 놈은 무언가를 이루어야 한다는 목적을 잊어버릴 때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 어쩌면 쓸데없는 짓이라고 부르는 짓을 한 번 해 보는 것에서 비롯될 것입니다. 가령, 스파게티를 만들다가 갑자기 소화가 잘 되는 스파게티를 만들고 싶어져서 쌀국수로 스파게티를 만든다거나, 일부러 비를 더욱 흠뻑 맞기 위해 비 오는 날 자전거를 타고 쌩쌩 달려본다던가, 장마철에 한가로운 한강 유람선을 혼자서 훌쩍 타본다거나. 제정신으로는 안 하던 짓을 해보는 겁니다. 그럴 때 여지 없이 고개를 들이미는 것이 창의력 일 겁니다.

그러니 창의력이라는 얻고 싶은 분은 무엇이든 그냥 한 번 해보는 겁니다. 평소에 했던 것과 전혀 다른 식으로."이걸 해서 이런 걸 얻어야지"라는 생각은 창의력이 잘 자라나지 못하게 하니 절대 금물입니다. 이럴 때는 "그냥 한 번 이렇게 해 보자"하고 생각하는 게 옳습니다. 속된 말로 하면 미친 척하는 겁니다.

주의 할 점 중에 하나는 창의력이라는 놈이 시간과 함께 자라난다는 겁니다. 시간이 부족한 곳에서는 숨이 막혀 죽기 십상입니다. 매일매일 일상에서 적어도 하루에 1시간 이런 쓸데 없는 짓을 하는데 보내봅니다. 이 때 창의력이라는 놈은 쑥쑥 자라납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 하자면 계속되는 논리와 정연함에서 벗어나는 겁니다. 그냥 내가 항상 하고 싶었던 일을 해보는 겁니다. 그러다가 무언가를 얻어내는 성공이라는 것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실패도 그 결과 중에 하나지요. 그러니 성공과 실패는 어쩌면 그냥 과정 중에 일부일 뿐입니다. ‘성공’과 ‘완성도’에 집착을 하다 보면 창의력은 무서워서 숨어버릴 때가 있답니다.

그러니 실패와 성공의 여부를 떠나서 무언가를 자유롭게 해 보는 것 그것이 창의력이란 놈을 키우는 방법입니다. 뭐든지 "나"만의 독특한 행동양식, 생각의 패턴으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것이 예술이 되는 것이 겠군요.
IP *.72.227.114

프로필 이미지
소은
2008.06.23 06:27:36 *.127.99.16
좋은 주제입니다.
생각을 조금 더 발전시켜
사례를 하나 정도 첨가하면 금상첨화일 듯...
이상, 소은의 견해였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최지환
2008.06.23 09:23:56 *.34.17.28
누나. 분량 때문에 두편이나 올린겨?ㅎㅎ
프로필 이미지
현웅
2008.06.23 13:30:56 *.117.68.202
창의력....
그건 나와 참 멀리 떨어진 주재같아..ㅠㅠ

그냥 한 번 해보는거... 이건 해볼 수 있을것 같다.. 쌩유..^)^
프로필 이미지
현정
2008.06.23 14:56:00 *.84.242.254
소은님...
주말 내내 다른 주제를 잡고 있다가 실패를 했습니다. 그래서 짧은 글이나마 두 개를 올리게 된 것입니다..ㅠ ㅠ 저도 길이를 늘려야 한다는 생각에 동감입니다...

지환...
소은님께 답한 것 처럼...맞아..귀신같이 맞아..

현웅 오라버니..
일반인들과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있는 창의성에 대한 이야기..그거 해 보고 싶었습니다. 그냥 해 보면 어려운 일이 아닐지도 모르지요..
프로필 이미지
현정
2008.06.23 23:05:16 *.72.227.114
원래 요번 주에 쓰고 싶었던 이야기는 '미친년으로 자유롭게 살기' 세상이 규정하는 미친년이라는 이름을 받아들이고 자유로워지는 법에 대해서 쓰고 싶었는뎅...계속 얽히고 설켜서 끝내는 에휴...이리 조각난 칼럼만 두 개 올리고 말았네...

글쎄 이런 경우엔 뭐가 부족한 걸까요? 아이디어가 길게 연결이 되지 않을 때...언니 오빠들 ..조언바람...
프로필 이미지
한정화
2008.06.23 23:16:01 *.72.153.57
나도 몰라, 그냥 무작정 들이밀어봐.

그거 알믄 내 칼럼이 조각이 나것나? 작년에 써두었던 리뷰와 칼럼 뒤적이다가 조각나서 칼럼으로 제출 못한 것들이 많은 것을 또 확인했다.

알믄 나도 좀 갈쳐주고...
프로필 이미지
거암
2008.06.24 12:50:03 *.244.220.254
창의력은 '무대포정신'에서 나오는건가? ㅋㅋㅋ
"그냥 한 번 해보는 것"이라는 문구에 별표 5개!!!
프로필 이미지
나양이야
2008.06.24 13:09:21 *.122.143.151
현정..

언니 오빠들...

이라고 뭐 뾰족한 수 있갔니? 나이만 쪼까 더 먹은 것 뿐...

너랑 같은 공기와 같은 음식을 먹으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별 특별한 존재들이 아니란다...

자기 할 일은 자기 스스로 할 줄 아는 자주독립적 소녀가 되도록 하자..

응?응?응? -_-;;;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08.06.24 20:58:31 *.160.33.149

현정아, 창의성은 다양하게 발현 되지만 공통적인 발아 조건이 있다.
깊지 않으면 창의적일 수 없다.

그건 편집증자의 우연일 때가 많아.
뉴턴은 밤낮 그 생각만 하다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돌연 모든 질문이 하나의 답으로 꿰어지는 희열을 보게 되었다. 케쿨레가 벤젠의 분자식을 발견하게 된 것도 '낮의 고민이 꿈 속까지 이어졌기 때문이다'.

마음이 끌리는 남자를 고르 듯, 마음을 뛰게하는 토픽을 골라라. 빨려든 주제말야. 아니면 읽은 책의 내용 중 관심을 끄는 소재를 골라 길게 써 보는 연습을 해라.
프로필 이미지
현정
2008.06.25 16:52:26 *.131.152.122
네..사부님
마음을 뛰게 하는 토픽을 찾아서 길게 써보는 연습 해보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6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50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1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90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8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9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6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