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현정
- 조회 수 3663
- 댓글 수 10
- 추천 수 0
창의력이란 놈은 무언가를 이루어야 한다는 목적을 잊어버릴 때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 어쩌면 쓸데없는 짓이라고 부르는 짓을 한 번 해 보는 것에서 비롯될 것입니다. 가령, 스파게티를 만들다가 갑자기 소화가 잘 되는 스파게티를 만들고 싶어져서 쌀국수로 스파게티를 만든다거나, 일부러 비를 더욱 흠뻑 맞기 위해 비 오는 날 자전거를 타고 쌩쌩 달려본다던가, 장마철에 한가로운 한강 유람선을 혼자서 훌쩍 타본다거나. 제정신으로는 안 하던 짓을 해보는 겁니다. 그럴 때 여지 없이 고개를 들이미는 것이 창의력 일 겁니다.
그러니 창의력이라는 얻고 싶은 분은 무엇이든 그냥 한 번 해보는 겁니다. 평소에 했던 것과 전혀 다른 식으로."이걸 해서 이런 걸 얻어야지"라는 생각은 창의력이 잘 자라나지 못하게 하니 절대 금물입니다. 이럴 때는 "그냥 한 번 이렇게 해 보자"하고 생각하는 게 옳습니다. 속된 말로 하면 미친 척하는 겁니다.
주의 할 점 중에 하나는 창의력이라는 놈이 시간과 함께 자라난다는 겁니다. 시간이 부족한 곳에서는 숨이 막혀 죽기 십상입니다. 매일매일 일상에서 적어도 하루에 1시간 이런 쓸데 없는 짓을 하는데 보내봅니다. 이 때 창의력이라는 놈은 쑥쑥 자라납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 하자면 계속되는 논리와 정연함에서 벗어나는 겁니다. 그냥 내가 항상 하고 싶었던 일을 해보는 겁니다. 그러다가 무언가를 얻어내는 성공이라는 것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실패도 그 결과 중에 하나지요. 그러니 성공과 실패는 어쩌면 그냥 과정 중에 일부일 뿐입니다. ‘성공’과 ‘완성도’에 집착을 하다 보면 창의력은 무서워서 숨어버릴 때가 있답니다.
그러니 실패와 성공의 여부를 떠나서 무언가를 자유롭게 해 보는 것 그것이 창의력이란 놈을 키우는 방법입니다. 뭐든지 "나"만의 독특한 행동양식, 생각의 패턴으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것이 예술이 되는 것이 겠군요.
IP *.72.227.114
그러니 창의력이라는 얻고 싶은 분은 무엇이든 그냥 한 번 해보는 겁니다. 평소에 했던 것과 전혀 다른 식으로."이걸 해서 이런 걸 얻어야지"라는 생각은 창의력이 잘 자라나지 못하게 하니 절대 금물입니다. 이럴 때는 "그냥 한 번 이렇게 해 보자"하고 생각하는 게 옳습니다. 속된 말로 하면 미친 척하는 겁니다.
주의 할 점 중에 하나는 창의력이라는 놈이 시간과 함께 자라난다는 겁니다. 시간이 부족한 곳에서는 숨이 막혀 죽기 십상입니다. 매일매일 일상에서 적어도 하루에 1시간 이런 쓸데 없는 짓을 하는데 보내봅니다. 이 때 창의력이라는 놈은 쑥쑥 자라납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 하자면 계속되는 논리와 정연함에서 벗어나는 겁니다. 그냥 내가 항상 하고 싶었던 일을 해보는 겁니다. 그러다가 무언가를 얻어내는 성공이라는 것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실패도 그 결과 중에 하나지요. 그러니 성공과 실패는 어쩌면 그냥 과정 중에 일부일 뿐입니다. ‘성공’과 ‘완성도’에 집착을 하다 보면 창의력은 무서워서 숨어버릴 때가 있답니다.
그러니 실패와 성공의 여부를 떠나서 무언가를 자유롭게 해 보는 것 그것이 창의력이란 놈을 키우는 방법입니다. 뭐든지 "나"만의 독특한 행동양식, 생각의 패턴으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것이 예술이 되는 것이 겠군요.
댓글
10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5212 |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 앤 | 2009.01.12 | 205 |
| 5211 |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 지희 | 2009.01.20 | 209 |
| 5210 |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 지희 | 2009.02.10 | 258 |
| 5209 |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 앤 | 2008.12.29 | 283 |
| 5208 |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 앤 | 2009.01.27 | 283 |
| 5207 |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 지희 | 2008.11.17 | 330 |
| 5206 |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 정승훈 | 2017.09.09 | 2072 |
| 5205 |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 모닝 | 2017.04.16 | 2077 |
| 5204 |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 오늘 후회없이 | 2017.04.29 | 2094 |
| 5203 |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 뚱냥이 | 2017.09.24 | 2132 |
| 5202 |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 해피맘CEO | 2018.04.23 | 2136 |
| 5201 |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 아난다 | 2018.03.05 | 2167 |
| 5200 |
#6 역사가 있는 풍경_정수일 | 정수일 | 2014.05.18 | 2175 |
| 5199 | 그땐 울어도 될 것 같구나 [7] | 유형선 | 2013.07.15 | 2176 |
| 5198 | 엄마가 필요해 [4] | 왕참치 | 2014.12.22 | 2177 |
| 5197 | 단상 in Mongol [3] | 차칸양 | 2013.08.20 | 2178 |
| 5196 | 지혜의 열매 [8] | 어니언 | 2014.06.09 | 2178 |
| 5195 | #42 엔지니어 - ing [2] | 희동이 | 2015.02.09 | 2179 |
| 5194 | #15 등교_정수일 [10] | 정수일 | 2014.07.20 | 2180 |
| 5193 | 그래 마음껏 바닥을 쳐보자 [6] | 녕이~ | 2014.06.02 | 218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