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현정
- 조회 수 3506
- 댓글 수 10
- 추천 수 0
창의력이란 놈은 무언가를 이루어야 한다는 목적을 잊어버릴 때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 어쩌면 쓸데없는 짓이라고 부르는 짓을 한 번 해 보는 것에서 비롯될 것입니다. 가령, 스파게티를 만들다가 갑자기 소화가 잘 되는 스파게티를 만들고 싶어져서 쌀국수로 스파게티를 만든다거나, 일부러 비를 더욱 흠뻑 맞기 위해 비 오는 날 자전거를 타고 쌩쌩 달려본다던가, 장마철에 한가로운 한강 유람선을 혼자서 훌쩍 타본다거나. 제정신으로는 안 하던 짓을 해보는 겁니다. 그럴 때 여지 없이 고개를 들이미는 것이 창의력 일 겁니다.
그러니 창의력이라는 얻고 싶은 분은 무엇이든 그냥 한 번 해보는 겁니다. 평소에 했던 것과 전혀 다른 식으로."이걸 해서 이런 걸 얻어야지"라는 생각은 창의력이 잘 자라나지 못하게 하니 절대 금물입니다. 이럴 때는 "그냥 한 번 이렇게 해 보자"하고 생각하는 게 옳습니다. 속된 말로 하면 미친 척하는 겁니다.
주의 할 점 중에 하나는 창의력이라는 놈이 시간과 함께 자라난다는 겁니다. 시간이 부족한 곳에서는 숨이 막혀 죽기 십상입니다. 매일매일 일상에서 적어도 하루에 1시간 이런 쓸데 없는 짓을 하는데 보내봅니다. 이 때 창의력이라는 놈은 쑥쑥 자라납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 하자면 계속되는 논리와 정연함에서 벗어나는 겁니다. 그냥 내가 항상 하고 싶었던 일을 해보는 겁니다. 그러다가 무언가를 얻어내는 성공이라는 것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실패도 그 결과 중에 하나지요. 그러니 성공과 실패는 어쩌면 그냥 과정 중에 일부일 뿐입니다. ‘성공’과 ‘완성도’에 집착을 하다 보면 창의력은 무서워서 숨어버릴 때가 있답니다.
그러니 실패와 성공의 여부를 떠나서 무언가를 자유롭게 해 보는 것 그것이 창의력이란 놈을 키우는 방법입니다. 뭐든지 "나"만의 독특한 행동양식, 생각의 패턴으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것이 예술이 되는 것이 겠군요.
IP *.72.227.114
그러니 창의력이라는 얻고 싶은 분은 무엇이든 그냥 한 번 해보는 겁니다. 평소에 했던 것과 전혀 다른 식으로."이걸 해서 이런 걸 얻어야지"라는 생각은 창의력이 잘 자라나지 못하게 하니 절대 금물입니다. 이럴 때는 "그냥 한 번 이렇게 해 보자"하고 생각하는 게 옳습니다. 속된 말로 하면 미친 척하는 겁니다.
주의 할 점 중에 하나는 창의력이라는 놈이 시간과 함께 자라난다는 겁니다. 시간이 부족한 곳에서는 숨이 막혀 죽기 십상입니다. 매일매일 일상에서 적어도 하루에 1시간 이런 쓸데 없는 짓을 하는데 보내봅니다. 이 때 창의력이라는 놈은 쑥쑥 자라납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 하자면 계속되는 논리와 정연함에서 벗어나는 겁니다. 그냥 내가 항상 하고 싶었던 일을 해보는 겁니다. 그러다가 무언가를 얻어내는 성공이라는 것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실패도 그 결과 중에 하나지요. 그러니 성공과 실패는 어쩌면 그냥 과정 중에 일부일 뿐입니다. ‘성공’과 ‘완성도’에 집착을 하다 보면 창의력은 무서워서 숨어버릴 때가 있답니다.
그러니 실패와 성공의 여부를 떠나서 무언가를 자유롭게 해 보는 것 그것이 창의력이란 놈을 키우는 방법입니다. 뭐든지 "나"만의 독특한 행동양식, 생각의 패턴으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것이 예술이 되는 것이 겠군요.
댓글
10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512 | [09] 욕망과 자유의 함수관계 [8] | 손지혜 | 2008.06.08 | 3589 |
4511 | (10) 개별적 죽음,보편적 죽음:역사는 그저 반복되는 것인가 [11] | 이한숙 | 2008.06.09 | 3945 |
4510 | [10] 우리시대의 대의명분(大義名分) [7] | 우경 | 2008.06.09 | 3179 |
4509 | [11]론다의 할머니 [1] | 오현정 | 2008.06.11 | 3340 |
4508 | 아마도... [3] | 소은 | 2008.06.12 | 3449 |
4507 | 글렌 굴드와 레너드 번스타인 [2] | 소은 | 2008.06.13 | 4640 |
4506 | [11] 빗소리 들리는 작은 집 [9] | 창 | 2008.06.22 | 4189 |
4505 | [11] 군대에서의 잊지 못할 인연 [8] | 현웅 | 2008.06.23 | 3769 |
4504 | [11]방정리를 하고난 후 [5] | 오현정 | 2008.06.23 | 3482 |
» | [11-1]창의력을 얻고 싶을 때 [10] | 오현정 | 2008.06.23 | 3506 |
4502 | [11] 기억은 정말 솔직할까? [7] | 최지환 | 2008.06.23 | 2980 |
4501 | [11]여행을 꿈꾸며 [9] | 손지혜 | 2008.06.23 | 3315 |
4500 | [11] 그가 우리에게 묻고 있는 것 [8] | 거암 | 2008.06.23 | 3138 |
4499 | (11) 파블로 네루다의 시, 리얼리즘을 넘어 [5] | 이한숙 | 2008.06.23 | 4327 |
4498 | [11] 우즈베키스탄 입국기 [9] | 정산 | 2008.06.23 | 6156 |
4497 | [11] Magic? or Continuous Change? [6] | 양재우 | 2008.06.23 | 3088 |
4496 | [12] 나에 모든 것을 퍼내자 [6] | 현웅 | 2008.06.26 | 3133 |
4495 | [12] 뱃살나라 이야기 [5] | 양재우 | 2008.06.29 | 3251 |
4494 | [12] 12층 식당에는 천사가 산다 [7] | 창 | 2008.06.29 | 3258 |
4493 | [12] 우리 안에 있는 것들 [5] | 최지환 | 2008.06.29 | 35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