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니언
 - 조회 수 238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세상의 모든 길은 땅바닥에 새겨진 기억을 가지고 있다
무수한 보행자들은 길 위에 자신의 서명을 알아볼 수 없는 모습으로 써놓고 간다
걸으면서 우리는 풍요로운 생각을 가지에 달린 과일처럼 따낸다
걸으면서 얻은 생각은 그래서 무겁지 않고 달다
쓸 때 조차 우리는 손만 가지고 쓰지 않는다
발도 항상 한 몫을 한다
때때로 들판을 건너고 때때로 산을 오르던 발은 손을 빌어 종이 위에 생각을 쏟아낸다.
걸음으로써 배낭을 가볍게 할 수 밖에 없게 하는 자발적 빈곤을 배우고
구불구불 내면을 따라 걷다가 문득 자기로 향한 길을 열게 한다.
신발 한 결레 배낭 하나로 남도의 바다를 돌고, 강물을 따라 굽이굽이 휘어들고
꼿꼿한 산의 등어리를 넘어 간다.
먼저 발로 걷지 않고는 순례의 길을 떠날 수 없고
침묵을 횡단하지 않고 신에게 기도할 수 없다.
피에르 쌍소의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와 다비드 드 브루통의 '걷기 예찬'을 읽다 얻은 구절과 생각들을 엮어 적어 두었습니다.
동물은 움직입니다. 그래서 동물입니다. 모두 발을 가지고 있습니다. 발로 걷습니다. 걷지 못할 때 그 동물은 동물이기를 그만두고 죽게 됩니다.
마흔 여섯의 나이로 회사를 그만두고 나왔을 때 가장 먼저 했던 일은 배낭매고 2달간 남도를 걷는 일이었습니다. 비가 오나 바람이 부나 나는 매일 25키로 내외를 걸었습니다. 아침에 여관을 나와 저녁에 다른 여관에서 잘 때까지 하루종일 내가 한 일은 걷는 일 뿐이었습니다. 배낭이 어깨를 누르면 경관이 좋은 곳에서 잠시 쉬었고, 이내 다시 걸었습니다. 우체국을 만나면 짧은 엽서와 한두 권의 무거운 책과 입던 옷 몇 개를 싸서 집으로 돌려 보내곤 했습니다. 짐을 덜어내면 걸음이 가벼웠습니다.
두 달 후 집에 도착했을 때 나는 회사원이었던 20년간의 묵은 때를 홀떡 벗어낼 수 있었습니다. 두 달간의 남도 걷기는 새 인생을 살기 시작한 내가 첫 번 째로 한 가장 멋진 일이었습니다.
나는 늘 걷습니다. 산을 걷고 길을 걷고 골목길 안으로 들어섭니다. 그러면 거리마다 다른 삶의 얼굴이 나타납니다. 골목의 초라한 삶, 큰 거리의 소비적 삶, 산 속의 조용한 삶을 만날 때마다 내 생각의 스펙트럼이 달라집니다. 나는 걷습니다. 살아있습니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5212 |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                                                                                                                                                                                                                 앤 | 2009.01.12 | 205 | 
| 5211 |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                                                                                                                                                                                                                 지희 | 2009.01.20 | 209 | 
| 5210 |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                                                                                                                                                                                                                 지희 | 2009.02.10 | 258 | 
| 5209 |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                                                                                                                                                                                                                 앤 | 2008.12.29 | 283 | 
| 5208 |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                                                                                                                                                                                                                 앤 | 2009.01.27 | 283 | 
| 5207 |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                                                                                                                                                                                                                 지희 | 2008.11.17 | 330 | 
| 5206 |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 정승훈 | 2017.09.09 | 2072 | 
| 5205 |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 모닝 | 2017.04.16 | 2077 | 
| 5204 |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 오늘 후회없이 | 2017.04.29 | 2093 | 
| 5203 |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 뚱냥이 | 2017.09.24 | 2132 | 
| 5202 |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                                                                                                                                                                                                                 해피맘CEO | 2018.04.23 | 2136 | 
| 5201 |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 아난다 | 2018.03.05 | 2167 | 
| 5200 | 그땐 울어도 될 것 같구나 [7] | 유형선 | 2013.07.15 | 2174 | 
| 5199 | 
                    
                         
                        #6 역사가 있는 풍경_정수일                     |                                                                                                                                                                                                                 정수일 | 2014.05.18 | 2175 | 
| 5198 | 단상 in Mongol [3] | 차칸양 | 2013.08.20 | 2176 | 
| 5197 | 엄마가 필요해 [4] | 왕참치 | 2014.12.22 | 2177 | 
| 5196 | 지혜의 열매 [8] | 어니언 | 2014.06.09 | 2178 | 
| 5195 | #15 등교_정수일 [10] | 정수일 | 2014.07.20 | 2179 | 
| 5194 | #42 엔지니어 - ing [2] | 희동이 | 2015.02.09 | 2179 | 
| 5193 | 나의 하루는...? [5] | 왕참치 | 2014.09.15 | 218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