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장재용
  • 조회 수 116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0년 9월 22일 18시 18분 등록

월급쟁이 무기력

 

그건 저의 일이 아닙니다. 보내 드린 메일 보셨지요? 그건 그쪽 부서에서 담당하는 일이니, 모레까지 작성해서 주세요. 작성 내용의 아웃라인에 관해 저는 모릅니다. 다큐멘테이션 포맷, 템플릿, 차트 테이블 정해진 건 없어요. 저는 관련 내용을 알려드리고 취합하라는 지시만 받았습니다. 다만 제가 두 번 일하지 않게만 해주세요. 그 외에 전달받은 바 없어서 더는 답변 드리기가 곤란합니다. 따로 연락하는 일이 없도록 기한은 꼭 지켜주세요.’

 

월급쟁이, 그들은 자신을 덮쳐오는 파괴적 미래가 두렵다. 당장의 어려움과 번거로움, 지루함을 벗어나기 급급하다. 자기 스스로 어떠한 결정도 내려 본 적 없고 주변을 명령으로 둘러싸이도록 만들어 놓고 편안해한다. 항상 극단적으로 조심한다. 자발적 제안조차 원하지 않아서 늘 누군가 지시해 주기를 바란다. 찬란한 오후의 햇빛이 그들의 구부러진 등판을 비출 땐 더 서글프다. 어딘가 못마땅한 표정으로 모니터를 응시하는 눈은 누군가의 명령을 잘 따르지 못한 자책 같다.  

 

그들은 자신의 미래를 완충시킬 힘이 없다. 자신에게 유리한 삶으로 이끌어 갈 방법이라곤 처세술에 지나지 않는 눈치뿐인데 자기계발서를 향한 발작적 열광은 여기서 기인하는지 모른다. 열광의 뿌리는 뜻밖에도 좌절에서 번져 나온 냉소다. 그들이 욕하는 부류, 자신들과 다른 계급, 명령하는 자 (임원, 사장, 부자 등)의 소비, 지식, 문화적 수준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다는 뱁새적 상황인식, 그런데도 그들을 추종하는 배반적 자기투사의 냉소.

 

그리하여 명령하는 자가 그들에게 명령하면 자신의 성격이나 의도와는 무관하게 성심성의의 수행으로 옮기고 틀림없이 해낸다. 그다음 모든 일은 경로의존성에 따라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개인적 편차는 무의미하다. 좌절, 냉소, 열광, 명령, 복종마치 나치즘에 혼이 나간 독일 대중과 같은 경로를 따르는 것이다. 히틀러의 명령에 아이히만이 복종하듯 대부분의 사람이 월급쟁이의 이 야만적 경로를 자신과 무관하게 따라간다. 이것이 월급쟁이의 가장 깊숙한 무기력이다.

 

지시받는 자의 무기력, 명령에 따라야 하는 자들의 무력함은 어디에서 오는가? 명령하는 자와 명령을 따르는 자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명령하는 자의 명령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명령하는 자의 존재는 누가 승인하는가? 명령하는 자를 명령하는 존재는 누구인가? , 고등교육을 받은 자들이 얼마나 많은 물건을 파느냐에 목숨 거는가? 물신은 물신의 존재를 누구로부터 부여받았는가? 묻지 않고는 얻을 수 없다.

 

내 직장 동료에까지 퍼진 뿌리 깊은 무기력은 노예성이었다. 대부분의 월급쟁이는 누군가로부터 철저하게 가두어진 노예성으로 신음한다. 노예성의 반대는 자유로움일 텐데 역설적으로 전 세계인이 자유롭다고 자부하는 오늘, 자유는 퇴보하고 불행은 진보한다.



IP *.161.53.17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36 마흔아홉, 출발의 설렘 [1] 書元 2016.08.15 1137
3135 J노믹스의 일자리 창출에 대해 조목조목 생각해 보았습니다 차칸양(양재우) 2017.05.16 1137
3134 아니, 그냥 구경만 하려구요 [2] 이철민 2017.07.20 1138
313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벨리로의 초대, 나를 기다리는 선물 file 알로하 2020.05.10 1138
3132 '창업준비' 중이라고...... [4] 이철민 2017.02.09 1141
3131 [화요편지]사부님, 당신을 사랑합니다! file 아난다 2020.04.14 1141
3130 일흔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초심 재키제동 2016.09.23 1142
3129 평온하신가요? [10] -창- 2017.02.11 1142
3128 [화요편지]수퍼 길치의 깨달음, 길 위에서 쫄지 않는 법 file 아난다 2020.10.27 1142
3127 심장의 두근거림을 듣는 독서 연지원 2016.10.31 1143
3126 추억 구두 속 모래알처럼 書元 2016.11.26 1143
3125 그냥 행복한것과 책을 써서 행복한것 한 명석 2016.06.09 1146
3124 그러니 기꺼이 외로워야 합니다. 김용규 2016.12.29 1146
3123 두 달 만에 청소를 하다가 [2] 한 명석 2017.02.08 1146
312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황제들이 사랑한 치즈 2 file 알로하 2019.07.28 1146
3121 이제는, 생긴 대로 살아야 [4] 장재용 2020.03.24 1146
3120 [월요편지 2] 습관 Data가 쌓이면 알게되는 놀라운 사실들 file [2] 습관의 완성 2020.03.29 1146
3119 [화요편지]소리없는 중독 file 아난다 2020.06.08 1146
3118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3] 넌 어떻게 영어 공부해? 습관의 완성 2021.01.17 1146
3117 할 수 있었다는 말보다 더 가슴아픈 말은 없다 file 한 명석 2016.10.05 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