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운제
  • 조회 수 917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20년 10월 8일 17시 30분 등록

변화경영연구소

목요 편지

테스형!


배가 천천히 움직이다가 항구를 빠져나오면서 빠른 속도로 달리듯이
가을로 가는 10월이 너무 빠르게 달립니다.
들판의 벼는 황금색이 되었습니다.

톨스토이의 책을 읽다 마음에 와 닿는 글을 발견하여 밑줄을 그었습니다.
“행복한 결혼 생활에서 중요한 것은 서로 얼마나 잘 맞는가 보다
다른 점을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가이다.”
모두에게 맞는 말입니다.
우리 부부는 맞는 것이 거의 없었습니다.
오죽하면 ‘같은 것이 주소와 결혼기념일 밖에 없다’고 하겠습니까?
그런데 지나고 보니 서로 같지 않은 것이 정말 다행이었습니다.
나에게 없는 것은 아내에게 있고, 아내에게 없는 것은 저에게 있었습니다.
맞지 않아 삐걱거릴 때도 있었지만 서로 다른 점이 조화를 이루어
일이 순조롭게 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맞추기 전까지는 자신이 전적으로 옳은 것 같지만
일단 죽어주고 맞추고 나면 부활을 경험하게 됩니다.
죽기 전까지 저승을 모르듯이 죽어주기 전까지는 부활을 믿지 못하지요.  

마스크와 거리두기가 일상이 된 요즘 사람들은 마음 줄 곳이 없습니다.
그래서 추석이 지난 지 며칠이 지난 지금도 나훈아에게 환호하는 것 같습니다.
그의 신곡 <테스형>에 이런 가사가 있습니다.
“~그저 와준 오늘이 고맙기는 하여도
죽어도 오고 마는 내일이 두렵다.~”
저도 내일이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생각을 고쳐먹었습니다.
언젠가는 내일이 오기를 두 손 모아 기도해도 오지 않을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이 그저 와준 것 같지만 그저 온 것은 아니고
내일이 죽어도 오고 마는 것 같지만
어느 날 갑자기 오늘이 생의 마지막 날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 다음에 이런 가사가 있습니다.
“아! 테스형 세상이 왜 이래 왜 이렇게 힘들어  
아! 테스형 소크라테스형 사랑은 또 왜 이래”
테스형인들 어찌 세상을 다 알겠습니까?
2,500년 전에도 세상은 힘들었고
자신도 세상과의 불화로 독배를 마셨습니다.
또 그가 어찌 사랑을 다 알겠습니까?
부인과의 불화는 얼마나 크고 많았습니까?
그래서 말리는 제자의 권유를 뿌리치고 독배를 마셨는지도 모릅니다.

그래도 위대한 철학자인 테스형한테 물어볼 수밖에 없었겠지요.
가을은 사색하기 좋은 계절입니다.
누구나 로맨티스트가 되고 철학자가 되는 계절이 가을입니다.
삶에 답이 필요하면 테스형을 찾지 말고 자신에게 구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테스형이 살아온다고 해도 우리에게 맞는 정답을 말해주지 못할 것입니다.
그가 할 수 있는 말은
“너 자신을 알라”  
오직 그것뿐일 것입니다.      
 
깊어가는 이 아름다운 가을을
자신을 돌아보고 삶의 답을 찾아가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만드시길 바랍니다.

이어서 읽기

변경연에서 알립니다

 

COPYRIGHT @ 변화경영연구소

IP *.103.213.10

프로필 이미지
2020.10.09 18:12:45 *.133.149.97

시합 잘 뛰고 신나서 내게 온 선수가 내 덤덤한 표정에 그러더군요 ! 

"선생님 ! 안 기쁘세요  ? "

"좋아 ! 하지만 너무 기뻐하지는 않는다. 내게는 시합을 너처럼 잘 뛴 선수도 있지만 반대로 잘 못 뛴 선수도 있거든  그래서  그들은 너와 반대의 입장에서 내 눈치를 보고 있거든 !

그래서 나는 지금 조금 적게 기뻐하고 네가기대하던 만큼 되지 않았을 때도  적게 실망할란다. "

그랬습니다.

엉뚱한 소리일지 모르지만 전 오늘이, 이순간이 좋습니다. 그것만이 내게 주어져 있으니까요... 그래서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시간이 오고 가는 것은 어떻게 할 수 없지만  이 순간을 어떻게 할 것인가는 저의 의지에 달려있으니까요.

  그렇게 오늘 '하루'를 살다 보니 시간이 많이 갔습니다.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36 [월요편지 118] 우리가 미루는 진짜 이유(part2) [1] 습관의 완성 2022.07.31 934
3535 [수요편지] 나에게 돌아가는 길 불씨 2023.03.28 934
3534 [내 삶의 단어장] 꽃잎처럼 피어난 아나고 에움길~ 2023.04.10 934
3533 [월요편지-책과 함께] 긴 숟가락 세상에서 [2] 에움길~ 2023.07.24 934
3532 Business Tip - 친절한 금자씨 書元 2017.05.20 935
3531 안 해도 좋았을 도전이란 없다 어니언 2023.12.07 935
3530 전통시장, 이제는 컨텐츠를 만들어야...... [3] 이철민 2018.01.11 936
3529 [화요편지]6주차 미션보드_OO씨의 행복여행 아난다 2019.09.03 937
3528 [화요편지] 화폐중독 치유 솔루션 file 아난다 2020.06.15 937
3527 [월요편지 112] 옆집 돈까스 사장님이 사업을 접은 이유 [2] 습관의 완성 2022.06.19 937
3526 [라이프충전소] 어떻게 이 순간을 잡을 건가요? [4] 김글리 2022.08.26 937
3525 내가 부리고 싶은 큰 욕심 한가지 file 차칸양 2017.09.19 939
3524 [화요편지]6주차 워크숍_Shall we dance? 아난다 2019.09.10 939
3523 화요편지 - 회의를 좋아합니다만 [1] 종종 2022.08.16 939
3522 [수요편지] 노리스크 노리턴 [1] 불씨 2023.09.27 939
3521 백세번째 마음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사업방침 [6] 재키제동 2017.05.26 940
3520 [자유학년제 가족 독서 #5]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읽기 file [1] 제산 2018.06.25 940
3519 목요편지 - 올해도 반이나 [1] 운제 2020.06.25 940
3518 [수요편지]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불씨 2023.08.29 940
3517 [수요편지] 커리어패스 [1] 불씨 2023.09.12 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