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알로하
  • 조회 수 1426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20년 12월 6일 08시 29분 등록


모든 인간에게는 평생 쓰고 죽어야 하는 ‘지랄’의 총량이 정해져 있다. 어떤 사람은 그 지랄을 사춘기에 다 떨고, 어떤 사람은 나중에 늦바람이 나기도 하지만 어쨌거나 죽기 전까진 반드시 그 양을 다 쓰게 되어 있다.

- 김두식 <불편해도 괜찮아>


Baby Dance Show.jpg

그림 출처: https://indiatribune.com/kids-dance-reality-shows-where-does-the-buck-stop/


양구에서 열리는 대회날, 오전에 있는 단체부문에 참가하는 아이들 때문에 새벽 5시에 함께 출발했습니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려 했는데, 어쩐 일인지 잠이 오지 않아 한잠도 못 자고 일어났습니다. 새벽이라 차가 많지 않아 두시간 만에 대회장에 도착했지요. 개인부문은 오후에 하기 때문에 대여섯 시간 정도 남았는데 벌써부터 긴장이 되는 것 같았습니다. 처음 혼자 무대에 오른다는 이유도 있었지만 더 큰 이유는 가족들이 보러 오기로 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가족들은 제가 벨리댄스를 배운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무대에 오르고 사람들 앞에서 춤을 추는 줄은 모르고 있었습니다. 왠지 부끄러워서 가족들은 한번도 공연에 초대하지 않았거든요.

음악가나 무용가 등 예술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이 아닌 한 일반인이 무대 위에 오르는 일은 많지 않습니다. 특히 성인이 된 후에는 더욱 그렇지요.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유치원 때의 재롱잔치나 학예회가 거의 유일하게 주인공이 되어 무대에 오르고, 가족의 축하와 꽃다발을 받는 시간인데요. 저는 유치원을 안 다녔기 때문에 재롱잔치를 한 적이 없었습니다. 이후에도 예체능에 재주가 없었기 학예회 때 무대 위에 선 적도 한번도 없었고, 따라서 가족들에게 박수와 꽃다발을 받은 일도 한번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꼭 한번은 가족들에게 무대에 선 저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저의 보잘것없는 춤을 보러 양구까지 오라고 하기에는 좀 민망했고, 또 씨알도 안 먹힐 것 같아서 다른 핑계를 찾아야만 했지요. 마침 양구에는 이십년 쯤 전에 엄마가 사기당해서 구입한 땅이 있었습니다. 맹지(盲地)였기에 이십년 동안 방치하고 있었는데요. 최근에 근처에 길이 생겼다는 말이 있어서 보러 가자고 꾀었습니다. 간 김에 나 대회 나가는 것도 보고, 응원도 하러 오라면서 말이지요. ^^


제 순서를 30분쯤 앞두고 양구에 도착해서 둘러보고 있다는 가족들을 대회장으로 불렀습니다. 대회를 보러 온 가족들의 반응은 아이들의 재롱잔치를 보러 온 부모의 반응과 비슷했습니다. 즉 자기 아이 외에 다른 아이들의 발표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지요. 게다가 무용에 대한 관심이나 흥미가 없어 “보는 눈”이 없는 가족들에게 다른 참가자들의 멋진 춤은 그저 경박스럽게 배를 흔드는 몸짓에 지나지 않았던 것 같았습니다. 발표 시간이 점점 늘어나 한 시간이 훨씬 지나서야 제 순서가 되었습니다. 엄마는 한 두명 보다가 이내 졸기 시작했고, 동생은 전화기에서 눈을 떼지 않았습니다. 초등학생 조카 역시 내내 게임만 하고 있었습니다. 다행히 제 차례에는 잠을 깨고 게임을 멈추며 집중해서 봤고 동영상도 찍어주었습니다. 마침내 저의 순서가 끝나자 이제  가자며 일어서더군요. 뭐 결과 발표를 기다릴 이유도 없었기에 양해를 구하고 먼저 나섰습니다.

그래도 엄마는 제가 제일 예쁘고 제일 보기 좋았다는 칭찬을 잊지 않으셨습니다. 일흔이 넘은 엄마의 눈에도 역시 당신 자식이 최고로 예쁘게 보이셨나 봅니다. ^^

그 이후로 두 번 더 공연에 초대했는데, 첫번째와 같은 칭찬은 못 듣고 있습니다. 엄마도 어느새 보는 눈이 생겨 객관적 판단이 가능해진 것이겠지요. 아쉽게도 올해는 공연이 모두 취소돼서 한층 발전한(?) 제 모습을 못 보여드리네요. 내년에는 객관적 판단으로도 칭찬받을 수 있도록 좀 더 열심히 준비해야겠습니다.


이번주도 건강하고 따뜻한 한 주 보내세요. ^^



--- 변경연에서 알립니다 ---


[출간소식] 『인문학으로 맛보다 와인, 치즈, 빵』 이수정 저 

"와인 마시고 치즈 먹을 때 무슨 이야기를 하면 좋을까?" 이 책은 와인, 치즈, 빵에 대한 전문 서적이 아니다. 미식 테이블이 낯선 당신을 위한가벼운 마음으로 읽는 이야기 책, 읽고 나면 와인, 치즈, 빵이 조금 더 편안하게 다가오는 바로 그런 책이다. 이 책 한 권으로 당신은 식탁 위의 재미있는 이야기꾼이 될지도 모른다.   

http://www.bhgoo.com/2011/864496


[출간소식] "CEO를 위한 Tax Talk" 박중환 저 

세금만 잘 알아도, 당신은 성공한 CEO가 될 수 있다! 세금 이야기는 언제나 화두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한 기업을 이끌어가는 CEO라면, 세금에 대한 고민을 피해갈 수 없다. 피할 수 없는 세금이라면 조금이라도 합리적으로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는 않을까? 저자의 해법을 따라가면 길이 보인다

http://www.bhgoo.com/2011/863572













IP *.226.157.137

프로필 이미지
2020.12.07 21:35:53 *.52.45.248

꾸준히 하시면 멋진 공연 가능할거라 믿습니다. !  화이팅 !    

프로필 이미지
2020.12.13 09:19:27 *.226.157.137

네 저도 그럴거라 믿습니다.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6 상상의 도서관 [2] 김도윤 2008.09.25 4391
675 꿈을 핑계로 현재 일에 소홀하지 않기 [3] 박승오 2008.06.23 4392
674 최선의 것이 부패하면 최악이 된다 [3] [1] 부지깽이 2011.04.01 4397
673 마음으로 스며들 줄 아는 따뜻한 글쟁이 [5] 부지깽이 2008.10.24 4398
672 비둘기의 목소리를 들으려면 [1] 부지깽이 2010.10.01 4398
671 [앵콜편지] 하루를 똑같이 다루는 것처럼 부당한 일은 없다 최우성 2013.07.26 4398
670 친구이자 스승인 사람들, 꿈벗 홍승완 2006.11.20 4400
669 신년 계획을 세우는 법 [1] 구본형 2007.01.05 4400
668 냉정하고 땨뜻한 패러독스 file [4] 구본형 2008.12.12 4400
667 ‘소명’의 본질에 대해 생각한다 file [4] 승완 2011.06.07 4402
666 이는 사라지고 혀는 남는다 [3] 부지깽이 2011.05.20 4403
665 두려움에 물들지 않는 삶 문요한 2013.07.17 4404
664 나의 진짜 이름은 무엇인가 file [2] 승완 2012.12.25 4406
663 노 젓는 손을 쉬지 마라 [2] 부지깽이 2009.11.06 4420
662 행복한 질문 최우성 2013.01.14 4426
661 [앵콜편지] 아, 내 가슴에 두 영혼이 살아있구나 최우성 2013.08.16 4426
660 부정의 힘(Power of Negativity) 문요한 2007.01.23 4428
659 당신은 이미 시계를 차고 있다 문요한 2011.11.02 4429
658 맹인들의 뜀박질 한명석 2007.01.11 4438
657 낙관주의와 현실주의를 함께 활용하라 file 승완 2011.05.31 4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