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아난다
  • 조회 수 2078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21년 1월 5일 08시 10분 등록

자기돌봄 명상’, ‘인요가 몸챙김 명상’, ‘책 명상’, 내가 만들어 놓은 유트브의 재생목록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살림 명상’, ‘글쓰기 명상’, ‘먹기 명상’, ‘돈 명상등등 만들고 싶은 영상 목록에도 어김없이 명상이라는 단어가 붙는다. ‘요가채널이라고 만들어놓고, 한달간 만들어낸 영상 17개 가운데 요가 영상은 달랑 3개다. 그 영상들에도 어김없이 명상이라는 태그가 달려있다. 이쯤되면 묻지 않을 수 없다. ‘도대체 너에게 명상은 무엇이냐?’

 

이런 질문이 주어지면 습관적으로 책을 찾았다. 질문의 답을 찾아내는데 힌트가 될 만한 책이 있다면 닥치는 대로 읽어댔다. 혹시라도 열심이 부족해 결정적인 단서를 놓치는 것은 단 한번 밖에 살 수 없는 삶에 대한 무례라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그 과정에서 수없이 많은 물음표들이 느낌표로 변하는 희열을 맛 볼 수 있었다. 이리 저리 헤매 다니다가도 아하! 그렇구나!’하는 순간 온몸에서 느껴지는, 뭐라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짜릿함이 있었다.

 

그러다 서른 다섯즈음 오랜 시간 용케도 피해 다니던 난감한 질문세트와 딱 마주치고야 말았다. ‘나는 왜 살고 있는가? 어떻게 살아야 후회 없이 죽을 수 있을까?’ 등등. 남는 시간에 짬짬히 답을 찾아서는 도무지 답이 안 나오는질문들이었다. 도망쳐보려고 무지하게 애를 써봤지만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어차피 답해야할 질문이라면 작정하고 답을 찾아보기로 했다. 그리고 10년을 책 속에 파묻혀 살았다. ‘아이들에게 집중하고 싶다고 둘러대곤 했지만, 긴 휴직을 거쳐 결국은 퇴직을 선택한 것도 사실은 책 읽을 시간을 더 확보하기 위한 결정이었는지도 모른다. 10년 동안 내가 책 속에서 찾은 답을 한 마디로 정리하면 이렇다.

 

책 속에는 답이 없다.”

 

바보같이 들리겠지만, 그동안 나를 통과해간 나름 수많은 좋은 책들이 전하는 메시지는 딱 하나 네가 찾는 대답은 다른 그 어디도 아닌 바로 네 안에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 이 진실에 이른 사람들은 어떤 희생을 치르고서라도 동료 인류에게 이 진실을 전하는 운명을 살게 되어있다는 것이다. 읽는다고 읽었는데도 여전히 나를 유혹하는 매력적인 작품들이 너무나 많은 것은 이 명백한 진실에 이른 이들이 그렇게나 많다는 반증일지도 모른다.

 

그러니 책 속에서 답을 찾는 것은 어리석다.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는 딱 하나, ‘결국은 나로 돌아 가야한다.’는 것을 잊지 않기 위해서다. 그중에도 이 과정을 실제로 도와주는 책들을 나는 실용서라고 부른다. 내가 소위 명상서적이라고 불리는 책들을 최고의 실용서로 꼽는 이유다.

 

하지만 훌륭한 건강 서적이 건강을 만들어줄 수 없고, 훌륭한 재테크 책이 돈을 가져다주지 않듯이 이라는 매체의 특성상, 아무리 실용적인실용서라고 해도 그것을 실제로 활용하는데는 약간의 수고가 필요하다. 특히 내 안에서 답을 찾는 방법을 알려주는 명상 서적을 그냥 책으로만 읽는 것은 그야말로 안타까운 일이다. 직접 여행을 떠나지 않을 거라면 수없이 많은 여행팁들을 알고 있다고 해도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그래서 생각했더랬다. 여행서적과 여행의 간극을 메워주는 여행도우미처럼, 누군가 명상서적과 명상의 간극을 메워주는 역할을 해주면 좋겠다. 책은 몸으로 읽을 때만 삶이 된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기에 더욱 절실한 갈망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오래 기다리고 기다리다, 마침내 내 스스로 그 역할을 해보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좀 더 거창하게 말하자면, 그것이 신이 이런 모습으로 세상에 나를 보내, 그런 방식으로 세상을 경험하게 한 이유임을 받아들이게 되었던 거다

 

직접 체험하는 그 책 안 그 명상이라는 기획은 바로 그 소명을 실천에 옮긴 첫 번째 시도다. 가슴을 울렸던 책 안의 명상 프렉티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게 구성했다.


01 (2).jpg

https://youtu.be/YsG4-R3eZ5w 


일곱 개의 영상(아픈 나를 위로하는 명상, 나를 용서하고 화해하는 명상, 나의 두려움과 눈 맞추는 명상 등)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내가 왜 이것을 할 수 밖에 없었는지 절감할 수 있었다. 그것은 말 그대로 내 안의 기쁨이 깨어나는 과정이었다. 그렇게 깨어난 나의 기쁨이 나만큼 간절하고 절실한 당신의 기쁨을 깨워내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조용히 소망해 본다


IP *.140.209.190

프로필 이미지
2021.01.07 15:11:11 *.134.131.135

이해가 아닌 통찰! 그 ;Aha ! experience !' 는 쉽지 않은 것 같아요 !

그래서 깨달음은 전수되지 않는다고 했을까요 ? 

전 어떤 영화속의 스님의 말씀이 기억이 나네요.

'吃饭的时候吃饭,  睡觉的时候睡觉' (밥먹을 때 밥 먹고 잠 잘 때 잠자다)

' 이 놈아(笨蛋)! 잡 생각마라, 밥먹을 때 밥 먹고 잠 잘 때 잠자는거야 !'

근데 그게 쉽지 않더라고요... ^^

프로필 이미지
2021.01.12 08:52:06 *.140.208.84

어렵사리 물가로 데려가도 결국 물을 먹는 건 본인의 몫이라는 걸

너무나 잘 알면서도...

수많은 스승들이 그리도 정성스럽게 우리를 그 곳으로 안내하고 있는 이유. 

아이를 키우면서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나를 키우는 것도 결국 마찬가지일 듯 합니다. 

깨달음이 찾아와줄지 어떨지 장담할 순 없지만

정성을 다해 샘물을 찾아가는 것. 

그것말고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더라구요. ㅎㅎ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96 [월요편지-책과 함께] 은유 작가의 『다가오는 말들』 에움길~ 2023.04.17 892
3695 [일상에 스민 문학] - 아빠 구본형과 함께 [2] 정재엽 2018.04.11 893
3694 타임캡슐, 10년의 꿈을 드러내다 file [2] 차칸양 2018.05.29 893
3693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일곱 번째 이야기 [1] 제산 2018.11.26 893
3692 낭중지추 [1] 불씨 2022.06.21 893
3691 #따로또같이 프로젝트 – 일단 정지, 짧고 간헐적인 땡땡이의 잔기술 [2] 종종 2022.07.05 893
3690 고객은 상품보다 경험을 사고 싶어한다 이철민 2017.11.30 894
3689 [화요편지] 뜻하지 않게 시작된 모험 [3] 아난다 2019.03.05 894
368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와인의 나라, 와인을 먹는 사람들 file 알로하 2019.10.20 894
3687 [수요편지] 내 '남사친' 이야기 장재용 2019.11.06 894
3686 이제 진짜 백수의 삶을 앞두고 있습니다 [6] 차칸양 2018.07.24 895
3685 [화요편지]회복하는 글쓰기 file [4] 아난다 2019.05.21 895
3684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한 여름에 즐기는 와인 file 알로하 2019.08.04 895
3683 [화요편지]5주차 워크숍_ 내 생의 마지막 10분 file 아난다 2019.08.27 895
3682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나비를 꿈꾸며... 2 file 알로하 2020.08.02 895
3681 창업상담도 '때'가 있습니다 이철민 2018.01.04 896
3680 목요편지 - 요즘 어떻게 지내십니까? 운제 2020.02.21 896
3679 [라이프충전소] 글이 안 써질 때 써먹을 수 있는 방법 [4] 김글리 2022.01.21 896
3678 [화요편지]주인으로 사는 삶, '포트폴리오 인생' file [3] 아난다 2019.04.16 897
3677 숙제에서 ‘팔아야 할 비즈니스’로 [1] 어니언 2022.10.06 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