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장재용
  • 조회 수 1217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21년 7월 6일 17시 57분 등록

, 나의 지리산아, 나는 지금 너에게 못 간다

 

2003년 여름, 지리산에 안긴 적이 있다. 구례에서 성삼재로 버스를 타고 올랐었다. 임걸령에서 텐트를 쳤고 선비샘에서 야영을 한 뒤 다시 장터목에서 하루를 잤으니 참 느긋한 걸음이었다. 그때는 터질 듯한 허벅지로 하루하루를 살았으니 만보漫步도 그런 만보가 없었다. 그해 지리산을 너무 깊이 흠향했던지 이후 꽤 오랫동안 다시 찾지 못했다. 지리를 잊은 사이 내 어머니가 돌아가셨고 내 다리도 부러졌다. 사랑하는 사람(그해 여름, 지리산을 함께 올랐던)과 결혼을 했고 살던 집을 세번이나 옮기며 나를 닮은 아들과 딸 하나씩을 낳았다.

 

이듬해 나는 직장엘 들어갔고 밥벌이에 정신없는 사이 딱 10년이 훅하고 지났다. 겁나는 게 세월이요, 열린 문틈 사이로 고양이 지나는 찰나가 인생이라 했는가. 십년을 제쳐 두고 어제 걷다 만 그 길을 다시 이어 붙여 가는 듯 내 모가지에 선명한 주름과는 무관하게 지리산은 아무렇지 않았다. 다만 장터목에 취사장이 새로 생겼고 내리막엔 테크가 깔렸고 때가 되면 입산과 산행을 통제하는 것이 조금 생소했을 뿐이다. 이 또한 인간이 만들어낸 생소함이니 그때나 지금이나 이노무 산은 얄밉게도 하나 변한 게 없다.

 

한때 지리산이 지겨운 적이 있었다. ‘97, 산을 만난 이후로 지리산을 매년 걸었고, 한달 내내 지리의 마루금을 잡고 놓지 않았던 적도 있었고, 어떤 때엔 일년에 서너 번도 오른 적이 있었으니 토끼봉 오르는 계단길이 지겨워 세지 않으면 안되었었다. 세 개의 도()가 점 하나로 합일된다는 삼도봉 삼각점도 대수롭지 않았고 연하천에만 가면 끊여 먹게 되는 라면 맛이 한 가지였다. 그땐 몰랐었다. 그 지겨움을 이리도 그리워할 줄. 나는 그때 그 마음을 먹어 제 스스로 간절할 때까지는 얼씬하지 말라는 벌을 지리산으로부터 받은 게다. 소중한 건 함부로 해선 안 되는 것이었는데 그리 마음조차 먹어서도 안 되는 것이었는데 말이다.

 

10년이 지나 다시 찾은 2013년 중산리의 밤은 아름다웠다. 몰랐던 후배들과 여물통(커다란 등산용 코펠)에 라면 국물을 불어가며 마시는 사이, 잊었던 산가山歌를 희미한 기억으로 이어붙이며 불러재끼는 사이, 스펠에 찰랑이는 소주를 부딪히는 사이, 굴곡진 메트리스 사이에 고인 물을 닦아내는 사이, 결국 우리는 같은 '코펠밥 먹는 사이'임을 확인한다. 이제사 나는 안다. 산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소한 일들은 그 어느 순간도 놓칠 수 없는 산이 주는 소중한 선물임을.

 

그러나, 백무동에서 천왕봉을 오르는 그 긴 길과 중산리 내려서는 미친 내리막길을 하루만에 걷는 일은 만만하지 않다. 2016, 다시 3년 만에 찾은 지리산은 한 때 자신을 홀대한 만큼 나를 쉽게 용서하긴 싫었던 모양이다. 근데 아픈 허벅지가 왜 그리 기분 좋았는가. 허벅지를 잡고 다리를 절며 내 다시 오마 하며 헤어졌던 그 길이 마지막이었다.

 

2021, 오래 전 지리산을 코로나가 창궐하는 호치민에서 다시 열었더니 눈이 저절로 감기고, 눈을 감으니 오히려 선명해지는 그곳을 손으로 잡으려다 허망하게 허공만 잡고는 아, 나의 지리산아! 느낌을 전달하지 못하는 느낌표가 야속하다. 나는 지금 너에게 가지 못한다.



IP *.161.53.174

프로필 이미지
2021.07.07 09:34:07 *.52.254.45

^^  사랑 !

그 사랑  에리히 프롬이 말하던 그런...


"존중이며 보호이고 책임인 동시에 알려고 노력해서 얻는 지식과 같은 것이다.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76 실루엣 마케팅은 어떨까요? 이철민 2017.12.21 1222
2975 마흔아홉, 삶은 수련입니다 書元 2016.07.23 1223
2974 [월요편지 18] 처음엔 누구나 근사한 계획을 가지고 있다. 현실에 쳐 맞기 전까지는 [1] 습관의 완성 2020.07.26 1223
2973 [화요편지]나만의 성소 만들기 <공간살림>메이킹 스토리 1 [2] 아난다 2021.04.12 1223
2972 N포를 위하여 [1] 장재용 2021.09.14 1223
2971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file 알로하 2019.12.08 1226
2970 첫 발을 내딛는 용기 [1] 어니언 2021.08.19 1228
2969 [화요 편지] 그 일을 위해 태어난 사람 [2] 아난다 2021.12.07 1228
2968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0] 그들에겐 3가지가 없었다 습관의 완성 2020.08.09 1229
2967 다양성과 그 뒤섞임의 아름다움 김용규 2016.04.21 1230
2966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Just shake your booty file [2] 알로하 2020.04.05 1231
2965 '컨셉'은 있나요? [4] 이철민 2017.03.16 1232
2964 [월요편지 8] 좋은 루틴, 나쁜 루틴, 이상한 루틴 file 습관의 완성 2020.05.17 1232
2963 [용기충전소] 스프레차투라 정신 김글리 2020.07.02 1232
2962 모든 책에는 제나름대로의 쓰임이 있다. 나처럼 [1] 어니언 2021.11.18 1233
2961 불완전한 한 걸음 [1] 어니언 2021.06.24 1234
2960 이제 막 사회에 진출하는 너를 위한 경제조언 file [9] 차칸양(양재우) 2017.02.28 1235
2959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머리에서 몸으로의 전환 file 알로하 2020.05.17 1235
2958 브렉시트, 과연 신자유주의 균열의 단초가 될 수 있을까? 차칸양(양재우) 2016.07.05 1236
2957 [수요편지] 이 세상에 내 것이 있었던가 [3] 장재용 2019.01.23 1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