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재용
- 조회 수 157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그 여름, 설악가 雪岳歌
저 보다 큰 사십 키로 배낭을 어깨에 둘러메고 상원사 적멸보궁으로 길을 잡은 오대능선. 굵은 빗가락과 함께 마신 라면 면발에 어쩌면
다시 밟지 못할 오대산 비로봉을 향해 힘을 내는 걸음 걸음. 걸을수록 무겁고 무거워 산 아래로 꺼질 것만
같다가도 힘내라 내미는 손을 옳다구나 맞잡으며 너에게 가 닿기 위한 내 마음이 들키기라도 한 듯 어느새 무거운 배낭을 잊고 쏜살같이 멀리 달라빼는
소심함. 찌는 듯 무더운 여름이었지만 산 한 가운덴 수많은 나무들이 태양을 막아서고. 서늘해진 틈을 타 내리는 비에 이성이고 과학이고 철학이고 문학을 시부리지만 아, 우리는 끝내
항온 동물이었음을 깨닫는데는 불과 삼십 분. 뚝뚝 떨어지는 체온을 서로 확인하며 내 뜨거움 한 사발 너에게
주고, 너의 차가움 한 숟갈 내게 가져와 마침내 견딘 하이포서미아(저체온증).
구룡령 옛길을 건너 점봉으로 들어설 때 한반도 원시림 사이를 걷는 신비로움. 끝까지 살고 살아서 이 길 걸었던 우리
이야기를 품고 얽히고 설키고 푸르길. 하루를 그 품에 잤더니 사타구니 작은 혹이 생겨 사십 키로 배낭이 육십
키로로 느껴지던 때 ‘거 진드기다’ 호기로운 선배님의 지나가던 말에
두려움과 원망이 생겨나 욕지거리 퍼붓는 상상을 하던 때 도저히 걸을 수 없어 큰 맘 먹고 배낭을 내리고 살을 파내니 내 피를 먹고 무럭 무럭 자란
진드기. 검붉은 피가 터지며 분노하는 중에 그래도 내 피붙이라는 생각이. 들 무렵 점봉에 올라서 너를 본다. 아득하지만 손에 잡힐 것 같고 눈 앞에 보이지만 영영 가
닿을 수 없을 것만 같던 내 생애 첫 설악, 그때 그 잔상은 사실이어서 마흔 훌쩍 넘은 나이에도 꿈에서 너를
보고 눈물이 도르르 흐른다.
한계령을 올라서서 끝청에 이르는 그 가파른 길에 드디어 설악에 들어선 자의 접신인지, 온 몸에 진이 빠져 탈진했던 어린 여인.
내 체온을 확인하던 그 손에 맥이 풀린 모습에 산행이고 뭐고 들쳐 업고 내려가고 싶은 마음. 설악이 살렸지. 그 나무와 풀들이 조그만 기를 보태어 살려냈을 거라. 그제야 돌돌돌 천불동 흐르는 계곡 소리 들리고 죽음의 계곡 한 많은 전설도 귀에 들어온다. 설악골에 진을 치고 설악의 모든 바위들을 내 몸에 새길 때 장군봉 여섯 번째 피치에서 내려다 본 개미 같던 비선대는 내 종아리에
흉터로 남았고, 적벽 크로니길 오버행에서 얻은 세상을 뒤집어보는 담력은 내 전완근이 됐고, 천화대 왕관봉 하강에 자일에 쓸린 상처는 내 허벅지에 새겨졌으니 나는 설악을 몸으로 받았던 것.
몸 섞는 일은 오직 사람과만 해야 할 일임을 뒤늦게 알았지만 한 달간의 허니문으로 만신창이가 된 내
몸을 살린 건 설악수퍼 탱크보이. 속초 시내 가는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설악수퍼 아이스크림 냉장고에 코를 박으며 골랐던 배맛 탱크보이. 이 세상 모든 배를 배에 실어 내게 보낸 듯 그 농축된 배의 달달함과 씹으면 아삭거리는 청량함에 한 달간 씻지 못한 내 몸 냄새도
더는 나지않고, 디오게네스와 맞짱 뜰 것만 같은 넝마주의 때묻은 옷가지도, 배낭 무게에 눌린 내 어깨 붉은 두 줄도 잊는 맛이여. 이 세상 가장 값진 500원이여.
‘굽이져 흰띠 두른 능선 길 따라, 달빛에 걸어가던
계곡의 여운을, 내 어이 잊으리오 꿈같은 산행을, 잘 있거라 설악아
내 다시 오리니. 저 멀리 능선 위에 철쭉꽃 필적에, 너와 나 다정하게
손잡고 걷던 길, 내 어이 잊으리오, 꿈같은 산행을, 잘 있거라 설악아 내 다시 오리니’ (‘ ‘은 설악가 일부, 故이정훈 작사, 작곡)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377 | 삶의 여정: 호빗과 함께 돌아본 한 해 [1] | 어니언 | 2024.12.26 | 337 |
4376 | [수요편지] 능력의 범위 | 불씨 | 2025.01.08 | 403 |
4375 | [수요편지] 삶과 죽음, 그 사이 [1] | 불씨 | 2025.02.19 | 407 |
4374 | [수요편지] 발심 [2] | 불씨 | 2024.12.18 | 431 |
4373 | 엄마, 자신, 균형 [1] | 어니언 | 2024.12.05 | 453 |
4372 | [목요편지] 별이 가득한 축복의 밤 [3] | 어니언 | 2024.12.19 | 503 |
4371 | [목요편지] 육아의 쓸모 [2] | 어니언 | 2024.10.24 | 564 |
4370 | [수요편지] 언성 히어로 | 불씨 | 2024.10.30 | 664 |
4369 | [목요편지] 두 개의 시선 [1] | 어니언 | 2024.09.05 | 675 |
4368 | [수요편지] 내려놓아야 할 것들 [1] | 불씨 | 2024.10.23 | 692 |
4367 | [내 삶의 단어장] 크리스마스 씰,을 살 수 있나요? [1] | 에움길~ | 2024.08.20 | 695 |
4366 | 가족이 된다는 것 | 어니언 | 2024.10.31 | 698 |
4365 | [수요편지] 타르 한 통에 들어간 꿀 한 숟가락 | 불씨 | 2024.09.11 | 705 |
4364 | [수요편지] 다른 의견을 가질 권리 [1] | 불씨 | 2024.08.28 | 709 |
4363 | 관계라는 불씨 [2] | 어니언 | 2024.12.12 | 715 |
4362 | [수요편지] 레거시의 이유, 뉴페이스의 이유 | 불씨 | 2024.10.02 | 716 |
4361 | [목요편지] 장막을 들춰보면 | 어니언 | 2024.08.22 | 729 |
4360 | [수요편지] 문제의 정의 [1] | 불씨 | 2024.08.21 | 736 |
4359 | 며느리 개구리도 행복한 명절 | 어니언 | 2024.09.12 | 744 |
4358 | [수요편지] 행복 = 고통의 결핍? | 불씨 | 2024.07.10 | 7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