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아난다
  • 조회 수 1393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1년 8월 17일 06시 42분 등록

먼저 '작은 승리'를 만들어내야 한다.

의욕이 떨어지고 무기력하고

대충 얼버무리고 우유부단한 경우에는

가장 먼저 '작은 승리'를 자신에게 선사할 수 있어야 한다.

'작은 승리'라는 것은

'삼 개월간 하루도 거르지 않고

학원에 나가 제빵 기술을 익히고 수료증을 받았다'

같은 것일 수도 있고,

'음식점을 차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창업에 관련된 책을 열 권 정독했다'

같은 것일 수도 있다.

'작은 승리'를 만들어내는 것은

작은 결심과 작은 노력에 의해 얼마든지 가능하다.

자신이 무언가를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회복하게 되면,

자신의 내부에서 자신만이 갖고 있는

엄청난 에너지를 찾아낼 수 있다.

이 에너지는 자신의 약점을 극복하고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의욕과 욕망을 만들어낸다.

'원하는 분야에서 혼신의 힘을 다하는 것'이

매력적으로 보이게 되면

자신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깨닫게 된다.

인생에는 스스로 체득한 진실만큼 값진 것이 없다.

구본형의 < 나에게서 구하라> 중에서

변화하려고 지나치게 갈망하지 않고,

무언가를 성취하려고 긴장하지 않으면서,

지금 여기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끌어안을 수 있을 때에야

그대의 아름다움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리사 카파로의 <소마지성을 깨워라> 중에서

갈망과 긴장은 오해에서 비롯됩니다.

내게 필요한 그 것이 내 밖에 있다는 오해,

자연스러운 나인 상태로는

그것을 손에 넣기 어려울지도 모른다는 오해 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무리하고 또 무리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 무리의 결과로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은

더 깊은 갈망과 긴장일 뿐입니다.

그럴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정말 원하는 것은

우리 안에 이미 있는 것들을 다시 발견하고 가꾸어가는 것이니까요.

저는 이것을 열매까먹기에 비유합니다.

어떤 열매는 별 수고 없이 바로 과육을 먹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과일은 단단하고 냄새나는 껍질을 까고 나야

비로소 과육의 맛을 볼 수 있습니다.

너무나 열심히 살아온 사람들은 대개 자신이 어떤 열매인지를 잘 모릅니다.

그런 우리에게 문득 찾아오는 알 수 없는 그리움의 정체가

자신의 씨앗을 싹틔우고 싶은 열망이라는 것을 눈치채지 못하는 것 역시

너무나 당연한 일인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자신에게로 길을 떠나본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말합니다.

자신의 씨앗을 싹틔워 키워내는 것보다 더한 기쁨은 없다고.

이는 흔히 '고전'이라고 부르는,

시간을 뛰어넘어 살아남은 지혜가 전하는 한결같은 메시지이기도 합니다.

알겠는데, 도대체 어떻게 시작하면 되느냐구요?

그 위대한 여정을 시작하는 방법은 아주 쉽고도 어렵습니다.

지금 여기의 내가 당장 할 수 있는 아주 작은 것이면 되니까 아주 쉽고요.

쉴 새 없이 우리를 유혹하는 '크게 한 방'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아주 어렵지요.

우리가 함께 하고 있는 공간살림은

저를 포함해 좋던 싫던 '살림'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엄마(생활인)'라는 정체성을 지닌 존재들에게 최적화된 수련의 하나입니다.

이까짓 거 하겠지만 딱 100일만 해보면 알게 됩니다.

애게, 에개. 하면서 건너온 엄청난 거리에 스스로도 깜짝 놀라게 됩니다.

그때가 되면 차마 입밖에 꺼낼 용기조차 나지 않던

'내 안의 바로 그 씨앗'을 꺼내 가꾸고 싶어질 겁니다.

그렇게 우리는 지금 여기에서 천천히 천천히 '나 자신'으로 익어가게 됩니다.

그 맛이 얼마나 달고 단지, 남의 꽃을 부러워할 짬이 없어집니다.

스스로의 아름다움에 흠뻑 취하고 나면,

나 뿐만 아니라 너와 그의 아름다움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삶이 통째로 아름다워집니다.


※ 나만의 성소만들기<공간살림>

100일간의 변화이야기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오래 참아왔던 묶은 근심이 풀어져 내린 첫 한 달!


o 나의 변화이야기 in 공간살림 1


o 나의 변화이야기 in 공간살림 2



o 나의 변화이야기 in 공간살림 3


o 나의 변화이야기 in 공간살림 4


o 나의 변화이야기 in 공간살림 5



8.29(일) 저녁 8시부터 열리는 옴니버스 줌특강에서는

저를 비롯한 6명의 평범한 생활인들이

1일 3비움, 3기쁨을 통해 만들어간 변화의 이야기들이 펼쳐집니다.


나를 위한 뭔가를 해보고 싶지만

막상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 당신,

뭘 하고 싶은지는 알겠는데 '그런다고 뭐가 되겠어?

또 괜한 번잡스러움만 일으키는 거 아냐?'

이런 저런 생각들에 좀처럼 첫 경험의 엄두가 나지 않아 답답한 당신

'어! 나는 둘단데~' 하시는 당신이라면 놀러 오세요.

장담하건데 <공간살림>은

나 자신과 가족에게

가장 친절하고 부드러운 혁명의 실마리가 되어줄 테니까요. ^^

IP *.70.30.15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6 길은 묻지 않는다 [1] 장재용 2021.08.24 1383
2715 [화요편지]통찰은 어떻게 일상이 되는가? [2] 아난다 2021.08.31 1384
2714 [월요편지 30] 도미노 효과, 성공이 쌓이는 비밀 file 습관의 완성 2020.10.18 1385
2713 [용기충전소] 커밍아웃; 나는 000입니다 [4] 김글리 2020.10.23 1386
2712 다 사는 것 [1] 장재용 2021.11.09 1386
2711 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마켓 file 재키제동 2015.05.29 1388
2710 가슴 철렁하게 부러운 한 명석 2016.01.06 1389
2709 첨단의 변증법 [2] 장재용 2021.04.27 1389
2708 이 아이를 어쩌면 좋을까요? 김용규 2016.01.21 1390
2707 온 더 로드 file 한 명석 2015.09.09 1392
2706 소유하지 않고 향유하기(제주에서의 실험) ) file 한 명석 2017.01.25 1392
2705 마흔아홉, 생긴 대로 살기 5 [1] 書元 2016.03.03 1394
2704 [수요편지] 인턴이라는 야만 [3] 장재용 2019.02.27 1394
2703 전입신고 어니언 2021.07.15 1394
» [화요편지]세상에서 가장 친절하고 부드러운 혁명 아난다 2021.08.17 1393
2701 [용기충전소] 잡초에게 배우는 생의 전략 김글리 2021.08.27 1394
2700 관광객 말고 여행자로 살기 김용규 2015.11.19 1395
2699 [목요편지] 세계관 최고 훈남의 조건 [1] 어니언 2021.01.28 1395
2698 나이만 먹은 어른들 연지원 2016.10.03 1397
2697 [화요편지] 가난한 부모의 돈걱정 모르는 아이 file 아난다 2020.06.02 1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