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아난다
  • 조회 수 1368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21년 8월 31일 07시 20분 등록

미래는 지도에 그려져 있지 않은 세계다.

그저 내적으로 감응하는 나침반 하나 달랑 들고 떠난다.

이때는 내 발자국이 곧 지도다.

완성될 수 없는 지도, 때때로 잘못된 지도, 방황과 위험이

도처에 숨어 있는 지도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그것이 곧 내가 살아온 인생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것을 지적 탐험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 잘 모르겠다.

이성의 뒤에 숨어 잘 보이지는 않지만

그보다 더 강하게 나를 나아가게 하고

어떤 감정이 나를 휩싸이기도 한다.

그리고 그동안 보이지 않던 것들을 보게 해준다.

학습은 온몸으로 이루어진다.

구본형의 < 나에게서 구하라 > 중에서

순간적으로 구조와 기능에 변화가 오는 것을

나는 상태-특이효과 state-specific effect라고 부른다.

수련을 해 특정한 통찰을 얻게 되면 쉽게 나타나는 결과다.

하지만 이런 순간적인 사건은 그대의 삶이 전체적으로 변화해 가는

일반적 질서 general order를 얻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살면서 새로운 형태의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오래된 조건화 패턴이 아마도 다시 자극받게 될 것이다.

그러면 필연적으로 새롭게 형성된 기능을 상실하고

기계적이고 습관화된 상태로 다시 빠지게 된다.

수련의 과정에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날 때,

자신을 비난하며 그것에 사로잡히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오히려 다시 한 번 더 깊은 '리스닝'을 통해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 것'을 '포용'할 수 있다면,

새로운 아름다움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그대는 기쁨과 재미로 가득한 새로운 물결 위에 올라서게 될 것이다.

자신을 상실하는 것도 수련의 일부임을 기억하라.

그리고 상실을 자각하는 순간 자신에게 축복을 보내라.

리사 카파로의 <소마지성을 깨워라> 중에서

수련은 자신을 깨어나게 한 통찰을

삶을 관통하는 일반적인 질서로 만들어가는 과정입니다.

130조개에 이르는 세포와 미생물이 공존/공생하는 몸이

어느 한 순간의 통찰로 완전히 달라질 리가 없습니다.

몸이 지금까지 만들어 온 습관과 연결은

매 순간순간 몸안의 모든 요소들이 최적의 상호작용을 한 결과일테니까요.

한 나라를 떠올려보면 이해가 좀 쉽습니다.

혜안을 가진 지도자가 아무리 훌륭한 지혜를 바탕으로한 선정을 베푼다고 하더라도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에 그 지혜가 적용되는데는 시간이 걸립니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과 갈등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과정일테구요.

물론 권력을 이용해 강압적인 방법으로 강요해

좀 더 빨리 정책이 실현되게 할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우리는 역사를 통해 이미 알고 있습니다.

그런 방법으로 성공한 혁명은 인류사에 정말 단 한 케이스도 없었다는 것을요.

당연합니다.

부자연스러운 방법이니까요.

생명의 섭리에서 벗어난다는 이야기이기도 하구요.

여기까지 왔다면 몸과 삶이라는 유기체를

어떻게 사랑해나가야 할 지가 아주 분명해집니다.

마음 먹은 대로 되지 않는다고요?

나를 방해하는 환경과 사건들이 끊임없이 발생한다구요?

아무래도 나는 틀린 것 같다구요?

천만에요.

그건 모든 일이 아주 잘 진행되고 있다는 증거일 뿐입니다.

더 깊이 '나를, 나의 몸을, 내 안의 백성들을'

제대로 사랑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는 뜻일테니까요.

그런 사랑을 받아볼 기회를 얻었다는 의미이기도 하구요.

그렇게 마음의 경계를 넓혀가다보면

삶의 매 순간이 축복이라는 말이 몸으로 이해되기 시작합니다.

비로소 나의 세계에 살고 있는 자신을 만나게 됩니다.

IP *.70.30.151

프로필 이미지
2021.09.09 19:22:32 *.169.227.25

깨달은 사람은 깨달았다고 말하지 않는다. 

깨달은 사람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프로필 이미지
2021.12.21 16:19:49 *.70.30.151

아멘!!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56 [화요편지] 스승이 그리운 시간 [2] 아난다 2021.05.11 1293
2855 머스매같던 그녀가 블록버스터영화의 여주인공처럼 섹시해진 이유 file [1] 한 명석 2016.06.29 1294
2854 산에 가면 돈이 나오나, 떡이 나오나 장재용 2021.08.03 1294
2853 讀書如遊山 [1] 장재용 2021.10.12 1294
2852 [수요편지] 번즈 나이트 [2] 장재용 2019.02.21 1296
2851 [월요편지 131] 노후자금 얼마나 필요할까? [1] 습관의 완성 2022.12.18 1297
2850 마흔아홉, 그리운 이를 만나다 3 書元 2016.02.06 1299
2849 책, 세심하게 읽지 마라 연지원 2016.01.25 1300
2848 마지막까지 길에 있으라 [2] 장재용 2021.11.16 1300
2847 누군가의 무엇 書元 2015.09.19 1301
2846 지정의는 매혹적인 목표다 연지원 2016.04.18 1301
2845 [화요편지]'어떻게 보여지는가?'와 '어떻게 느끼는가?' 아난다 2021.07.05 1301
2844 [화요편지] 오늘 내게 허락된 글 [2] 아난다 2021.04.27 1302
2843 [월요편지 65] 내 아이의 인성과 공부습관, 이것에 달려있다 [1] 습관의 완성 2021.06.27 1302
2842 저는 선택했습니다! 한 명석 2015.12.16 1303
2841 [용기충전소] 보고도 보이지 않는 배 [1] 김글리 2021.08.06 1303
2840 [화요편지]엄마의 세상이 열리는 순서, 愛身愛家愛國愛天下 file 아난다 2020.03.23 1304
2839 [용기충전소] 생각의 나비효과 [1] 김글리 2021.09.10 1306
2838 [라이프충전소] 하나가 바뀌면 모든 게 바뀔 수 있다 [6] 김글리 2022.01.14 1306
2837 언제나 당신이 옳다 한 명석 2016.04.06 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