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불씨
  • 조회 수 890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22년 1월 11일 22시 30분 등록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고은 시인의 <그꽃>이라는 시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그런 것 같습니다. 산에 올라갈 때는 위만 보면서 올라갑니다. 
내려올 때는 좀더 시야가 넓어지죠. 마음 한켠 여백이 생겨난 덕분입니다.
올라가는 길에서 놓쳤던 풍광들이 그제서야 눈에 들어옵니다.

한강 다리에서 뛰어내려 자살하는 사람들을 막기 위해 지자체에서 현수막을 내걸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정확한 문구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삶의 희망을 되새기는 좋은 글귀를 적어서 자살의도를 누그러뜨리려는 목적이었을텐데요.  
문제는 현수막이 다리로 올라가는 방향에서는 잘 보이지 않고, 내려올 때만 잘 보였다고 합니다. 
담당 공무원들이 걸기 편한 곳에 현수막을 걸다 보니 그렇게 된 거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아니면 내려올 때 더 잘 보인다는 고은 시인의 말을 공무원들이 철썩같이 믿었거나요.
그냥 우스개 소리였으면 좋을 이야기입니다.

고은 시인의 다른 시 한편 더 볼까요?

수많은 시간을 오지 않는 버스를 기다리며
꽃들이 햇살을 어떻게 받는지
꽃들이 어둠을 어떻게 익히는지
외면한 채 한 곳을 바라보며
고작 버스나 기다렸다는 기억에 
목이 멜 것이다

<언젠가는>이라는 시입니다. 버스를 기다리며 우리의 시선은 버스가 오는 방향에 고정됩니다. 요즘에는 정류장마다 버스 도착 예정 시간이 정확하게 안내가 되어서, 이런 풍경은 사라진 것 같습니다. 대신 이제 모두 스마트폰을 쳐다보고 있죠. 여하튼 사람들의 시선이 머무는 곳은 버스가 오는 방향 아니면 스마트폰입니다. 정류장 한켠에 피어있는 이름 모를 꽃 한송이를 쳐다보고 있는 사람은 제정신이 아닌 거죠. 

이런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고속일수록 좋습니다. 길 역시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 길입니다. 오직 목표에 도달하는 수단으로서만 길의 가치와 의미가 존재하게 됩니다. <강의>에서 신영복 선생이 한 말을 빌리면 도로는 궁극적으로 속도가 제로(0)가 되면 자기 목적성에 최적 상태가 됩니다. 하지만 '길'이라는 정체성은 완전히 사라지게 됩니다. 길은 결코 도로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말입니다.

인생 또한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인생이 도로라면 모든 종착지는 단 하나의 예외없이 '죽음'입니다. 
이것은 서울에서 부산까지 30분이 걸리든, 스마트폰이 5G를 넘어 10G로 발전하든지간에 불변의 진리입니다.
그 길을 다른 누구보다 앞서 달려서 종착지에 빨리 도착하는 것이 결코 여러분 인생의 목표는 아닐 겁니다.
앞만 보고 달려가고 있다면, 잠시 멈춰서 주위를 둘러보는 여백의 시간을 가져보시는 것을 어떨까요?

IP *.114.255.164

프로필 이미지
2022.01.13 20:14:12 *.169.227.25

산 길을 뛰고 돌아 온 아내는 늘 그랬죠

"꽃이 피었어요!" " 푸른 잎이 훨씬 더 늘었어요! " "낙엽이 참 예뻐요!"  "돌 무더기 위에 눈이 아직 녹지 않았어요 !"

그리고 내게 늘 물었죠 

" 당신은 무엇을 보았어요 ? " 

거의 답하지 못했죠 ... 맨날 한 가지 생각만 하고 있었거든요 

그러나 우연히 절 마당 우물 곁의 웃고 있는 돌 부처님을 보았죠 ^^

그렇게 자주 뛰었는데 처음 보는 그 부처님이 그러더군요 ! " 이 놈아! , 바쁜데 씩씩거리며 뭐하러 오냐 ?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16 Business Tip - 아빠라는 이름의 소년에게 [2] 書元 2017.09.16 894
3715 [금욜편지 65-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5번 인색한 은둔자] file 수희향 2018.11.30 894
3714 함께 공부하시지요? 제산 2020.02.03 894
3713 삶의 실험 [2] 어니언 2022.04.21 894
3712 [라이프충전소] 아직 끝나지 않았다 [2] 김글리 2022.12.30 894
3711 Business Tip - 세상에 매달리기 [1] 書元 2017.06.03 895
3710 고객은 상품보다 경험을 사고 싶어한다 이철민 2017.11.30 895
3709 사유의 확장을 위한 <열한 계단> (2편) [2] 차칸양 2018.03.20 895
3708 타임캡슐, 10년의 꿈을 드러내다 file [2] 차칸양 2018.05.29 895
3707 [수요편지] 내 '남사친' 이야기 장재용 2019.11.06 895
3706 [일상에 스민 문학] - 아빠 구본형과 함께 [2] 정재엽 2018.04.11 896
3705 [화요편지] 뜻하지 않게 시작된 모험 [3] 아난다 2019.03.05 896
3704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여섯 번째 이야기 [1] 제산 2019.10.14 896
3703 결심의 과정 [2] 어니언 2023.10.12 896
3702 창업상담도 '때'가 있습니다 이철민 2018.01.04 897
3701 이제 진짜 백수의 삶을 앞두고 있습니다 [6] 차칸양 2018.07.24 897
3700 [화요편지]회복하는 글쓰기 file [4] 아난다 2019.05.21 897
3699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한 여름에 즐기는 와인 file 알로하 2019.08.04 897
369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와인의 나라, 와인을 먹는 사람들 file 알로하 2019.10.20 897
3697 #따로또같이 프로젝트 – 일단 정지, 짧고 간헐적인 땡땡이의 잔기술 [2] 종종 2022.07.05 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