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니언
- 조회 수 123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지난 주말에 새로
나온 스파이더맨 영화를 극장에서 보고 왔습니다. 몇 년 전에 나왔던 스파이더맨 영화와 새로운 스파이더맨의
캐릭터가 마음에 들어서 다음 작을 내심 기다려왔고 이번 영화가 괜찮다는 평이 많아서 기대를 갖고 보러 갔습니다.
마음 편지를 받는 분들 중에 곧 같은 영화를 보러 가실 분들이 있을 수 있으니 자세한 얘기는 할 수 없지만 이번 편을 보면서 왜 그동안
여러 히어로 중에 유독 스파이더맨이 짠하게 느껴졌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다른 영웅들도
어느 정도 비슷한 서사를 가져가긴 하지만, 스파이더맨의 경우에는 보통 앳된 청소년 같은 이미지가 있는데, 영웅으로의 각성 과정에서 자기가 가진 가장 소중한 것을 잃어버리고 나서야 자신의 진정한 힘을 깨닫곤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다른 히어로들처럼 회사를 경영하거나 가진 게 많은 건 아니어서 그가 잃을 수 있는
건 오직 하나뿐인 가족이나 여자친구, 혹은 친구였습니다. 또
스파이더맨은 그 상실의 순간을 되돌리거나 없던 일로 할 수 있는 능력도 없습니다. 그가 할 수 있는
건 각성한 힘으로 도저히 이길 수 없을 것 같았던 악당을 물리치는 것뿐입니다. 그의 겉으로는 연약해
보이는 외형과 큰 상실이 맞물려 ‘아, 좀 안됐어’라는 마음이 크게 드는 것 같아요. (얼마 전에 닥터 스트레인지를
다시 봤는데 그렇게까지 측은지심이 들지는 않는 걸 보니 저의 이런 마음은 스파이더맨 한정인 게 확실합니다.)
스파이더맨이 마음이
쓰였던 또 다른 이유는 히어로지만 스파이더맨이 저랑도 좀 닮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지난주에 그려보았던
저의 인생 산맥에서 가장 빛나는 꼭대기의 앞에는 항상 깊은 골짜기가 있었던 것이 기억났기 때문입니다. 골짜기를
지나는 순간은 늘 앞이 안 보이고 어두웠지만, 그 어둠 속의 두려움과 다시 살고자 하는 마음을 꾹꾹
뭉쳐서 만들어낸 저의 에너지가 저의 봉우리를 만드는 원동력이었던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모든 사건은 두 가지 면을 갖게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소중한 것을 잃어버리거나 상실을 겪는 일은
너무나 힘들고 괴로운 일이지만, 어려움이 있고 깨달음이 따라야만 얻을 수 있는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나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고민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내가 그동안 놓치고 있던 것들, 내 안에 숨어있던 더 큰 욕망과 장점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며, 이 위기를 타계할 힘을 찾아내는 과정을 겪습니다. 지식과 경험을
쌓으면서 우리는 잘나가는 사람이 될 수 있지만, 찾아온 어두운 사건을 극복해낸다면 내 안의 위대함을
발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제 회사원으로서의
위기도 스파이더맨처럼 엄청난 각성을 위한 시련이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가까운 시일 내에 제 정체성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10년 차 회사원’이라는 큰 덩어리를
하나 떼어내겠다는 결정이 아무런 짐 없이 떠난 방황 끝에 제 삶을 발견하는 여행이 되어주면 좋겠습니다.
히어로와 일반인의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시련이 닥쳤을 때의 마음가짐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리쳐야 할 악당은 세력을 넓히고
있고, 누구에게 도움을 받을 수도 없고, 자신의 소중한 것은
잃어버린다면 이 상황을 타계하겠다는 의지가 꺾일 법도 한데, 주인공은 금세 악당을 물리칠 수 있는 내면의
힘을 끌어내는데 집중합니다. 절대 포기하는 법이 없습니다.
생각해 보면 부정적인
사건은 저의 호불호와는 상관없이 들이닥칩니다. 거기서 부정적인 영향만 받을 것인지, 부정적인 영향과 함께 들어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발견하여 내 삶을 바꿀 것인지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부정적인 영향에 깎여나가지 않는 강한 멘탈은 위기 탈출을 위한 중대한 능력임에
틀림없습니다.
자신을 포기하지
않고 빛을 찾는다. 저는 이것이 히어로의 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누구나 마음속에 영웅이 있다는 것을 떠올리면서 제 안에 있는 여러 두려움 속을 걸어가려고 합니다. 이렇게
어두운 곳으로 들어가는 것이 저는 두렵습니다. 그래도 제 안에 빛이 있다는 것을 믿으니까 조금 용기를
내야겠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17 | [화요편지]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내는 것만으로도 [6] | 아난다 | 2021.12.21 | 1605 |
416 | 혁신에 속고, 열정에 울고 [4] | 장재용 | 2021.12.21 | 1409 |
415 | 크리스마스의 행복 [2] | 어니언 | 2021.12.23 | 1576 |
414 | [용기충전소] 운을 불러오는 법 [2] | 김글리 | 2021.12.24 | 1557 |
413 | [월요편지 87] 내가 슬플 때 마다 꺼내 먹는 약 [1] | 습관의 완성 | 2021.12.27 | 1831 |
412 | [화요편지] 나에게로 '돌아오는' 여행 [5] | 아난다 | 2021.12.28 | 1569 |
411 | 마지막 편지 [15] | 장재용 | 2021.12.28 | 1782 |
410 | 생존을 위한 친화력 [2] | 어니언 | 2021.12.30 | 1493 |
409 | [용기충전소] 2021년을 함께 돌아보다 [5] | 김글리 | 2021.12.31 | 1602 |
408 | [월요편지 88] 4배수 법칙 [2] | 습관의 완성 | 2022.01.03 | 1953 |
407 | 화요편지 - 종종의 종종덕질 [8] | 어니언 | 2022.01.04 | 1742 |
406 | [수요편지] 깨어남에 대해 [3] | 김글리 | 2022.01.05 | 1227 |
405 | 전환기가 다가온다 [2] | 어니언 | 2022.01.06 | 1240 |
404 | [라이프충전소] 그냥 서툴게 시작해버려요 [2] | 김글리 | 2022.01.07 | 1365 |
403 |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2030년의 어느 날, 나의 하루 | 알로하 | 2022.01.09 | 1381 |
402 | [월요편지 89] 자녀 습관에 관한 부모의 흔한 착각 [1] | 습관의 완성 | 2022.01.09 | 1348 |
401 | 화요편지 - 종종의 종종덕질 "무취미한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오디션 프로그램!" [2] | 종종 | 2022.01.11 | 1352 |
400 | [수요편지] 내려갈 때 보았네 [1] | 불씨 | 2022.01.11 | 1225 |
» | 시련의 빛과 그림자 [1] | 어니언 | 2022.01.13 | 1235 |
398 | [라이프충전소] 하나가 바뀌면 모든 게 바뀔 수 있다 [6] | 김글리 | 2022.01.14 | 18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