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양재우
  • 조회 수 2981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08년 10월 13일 06시 28분 등록

주변소화(周邊小話, 주변의 소심 이야기) #1

오늘 소심에 대하여 소개할 사람은 역사적 위인도 아니고 현대의 유명한 인물도 아니며, 그렇다고 뚜렷한 공적을 세우거나 타인을 위해 좋을 일을 많이한 사람도 아니다. 오히려 눈에 잘 띄지도 않을뿐더러 얼마전까지만 해도 소심으로만 치자면 절대 남에게 지지 않을 정도로 자신감을 가지고 지냈던, 현재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어디선가 살아가고 있는 한 남자이다.

먼저 그의 외모를 살펴보자. 165cm를 간신히 넘겼지만 대한민국 표준에는 한참 못 미치는 작은 키--본인은 스스로 작기 때문에 귀엽다 또는 자세히 살펴보면 동안이다 라는 말도 안되는 주장을 펼치고 있지만--에, 점점 위로 영토를 확장하며 넓어지고 있는 이마. 이 때문에 우산없을 때 무방비의 상태에서 갑자기 쏟아지는 소나기를 방바닥으로 여름휴가나온 바퀴벌레 대가족을 보는 것만큼이나 싫어한다고 한다. 또한 본인은 복코라고 우기지만 다소 낮은 코는 그냥 숨쉬기에만 적당한 용도로 보여진다. 이리저리 최대한의 자유분방함을 추구하는 치아배열은 군대도 헌병대나 해병대를 다녀오기 전에는 제대로 정돈시키기가 쉬워 보이지 않아 보는 이의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어디 그 뿐인가! TV에서 가수인지 개그맨인지 전문 MC인지 헛갈리지만 왕성한 활약을 보이고 있는 신정환씨의 유명한 'Narrow Shoulder(좁은 어깨)'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을 정도의 명품 어깨의 소유자 이기도 하다. 또한 태생이 그래서 어쩔 수 없긴 하지만, 타고난 숏팔이와 숏다리는 현대 의학의 도움을 받기 전에는 어찌할 수 없는 문제로 보여진다. 그의 말을 빌리자면 '사는데 아무 문제없어~!!'라고 자신있게 외치지만 주변의 사람들에게 '보는 괴로움'을 준다면 자신만 괜찮다라고 하는 생각은 본인만 생각하는 이기적 삶의 원형이 아닐까? 심각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여진다.

외모에서 그치기만 하면 그래도 나을 것이다. 매사에 동굴탐험을 하는 듯한 그의 한없이 좁고 기다란 속마음에 대해서 알아보자. 그의 가족에 의하면 그는 이미 2가지 분야에서 장인의 위치를 넘어 대왕의 자리에 올랐을 정도로 이미 탁월한 경지에 올랐다고 한다. 바로 썰렁과 삐치기 분야이다. 그의 썰렁함은 한여름에도 추위를 느낄 정도의 내공이 있다고 한다. 수시로 발휘하는 썰렁함의 힘 때문에 그의 집에서는 지금까지 에어컨없이도 추운 여름을 나고 있다고 할 정도인데, 다가올 겨울이 걱정이라고 한다. 그의 성격에 있어 썰렁함과 삐치기는 실과 바늘의 관계이다. 썰렁함이 통하지 않을 때 그가 뽑아드는 또 하나의 무기가 바로 삐치기이다.

그의 삐치기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한번 삐치게 되면 막가파 이리와라 저리가라할 정도로 막무가내이다. 이미 늙어가고 있는 지금은 조금 나아졌다라고는 하지만 그를 옆에서 지켜보고 있는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아직도 그의 유아기적 삐치기와 함께 유리로 만든 마음새는 아주 조금의 충격에도 금가거나 쉽게 깨지기 쉬울 정도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비위를 잘 맞추어야만 일상생활은 잘 돌아가게 마련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한번 삐친 마음이 언제 풀릴지 장담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이런 그의 성격은 어렸을 때의 이야기를 한번 들어보면 잘 알 수 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누구도 말리지 못할 성격을 가지고 자라났다. 평소에는 그런대로 잘 놀다가도 한번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아 삐치기 시작하면 부모의 말은 물론, 누구의 말도 듣지 않았다. 그의 무기는 단식투쟁이었다. 무조건 굶었다. 목에 칼이 들어와도 밥 한톨, 물 한모금 삼키지 않았다. 지쳐 쓰러질 정도가 되어도 누울 지언정 먹을 것을 찾지 않았다. 한끼, 두끼 그리고 세끼에 이어 하루가 넘어가면 그도 지치고 그의 부모도 지쳤다. 하지만 그는 먼저 손을 들지 않았다. 항복을 선언한 쪽은 언제나 그의 부모였다. 그는 항상 그런 식이었다.

그리고 그의 소심함과 끈질김을 알 수 있는 일화도 하나 있다.

아마도 그가 유치원을 다니기 전, 4살이나 5살 정도 때의 이야기일 것이다. 그가 하루는 집에서 산 지 얼마 안되는 작은 프라스틱 밥상을 가지고 놀고 있었다고 한다. 그 밥상의 다리는 접는 식이었는데, 그는 접고 피고 하는 방식이 재미있어서 밥상을 장난감 삼아 놀고 있던 중, 어찌된 일인지 그 밥상 다리 중의 하나가 뚝 부러지고 말았다고 한다. 어린 맘에 얼마나 놀랐겠는가!! 그의 머리 속에는 온통 빗자루를 들고 달려오는 엄마의 화난 얼굴이 떠올랐고, 가슴은 콩딱콩딱!! 그대로 줄행랑을 치고 말았다.

당시는 추운 겨울이었다. 그는 무서운 마음에 제대로 외투도, 양말도 챙겨 입지 못한채 그대로 뛰쳐 나갔는데 막상 갈 곳이 없었다. 당연하지 않겠는가!! 게다가 이사온 지 얼마 되지도 않았으니 조금만 멀리 가면 길을 잃어버릴 것은 뻔한 일이었을테고. 그는 결국 집 뒤쪽 장독대 뒤에 숨었다고 한다. 오전부터 해질녁까지 계속 추위에 벌벌벌 떨면서도 무식하게 끈질기도록 버티었다. 엄마가 아무리 불러도 대답하지 않고 장독대 앞을 지나가도 절대 나가지 않고 꼭꼭 숨어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해가 져 어두워졌을 때 그는 온통 얼어붙은 얼굴, 손, 몸을 힘들게 움직여서 집으로 들어갔다. 엄마는 그의 그런 모습을 보고 화를 내기는 커녕 꼭 안아주었다고 한다. 따스한 엄마 품에 안겨 그는 한동안 펑펑 울었다고 한다. 춥고 배고파 너무너무 힘들었던 하루 때문에, 자신을 용서해주신 엄마가 고마워서 그리고 포근하고 따뜻한 엄마 품이 너무나 좋아서 눈물, 콧물 범벅이 될 정도로 울었다고 한다.


IP *.178.33.220

프로필 이미지
은미
2008.10.13 11:56:27 *.161.251.172
역쉬~~재우형은 스토리텔링이 잘 되는듯 해.
어떻게 펼쳐질지 모르지만 꾸준히....진득하게 밀어부치는 과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근데 왜 주인공이 자꾸 형처럼 느껴질까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거암
2008.10.13 14:14:52 *.244.220.253
재우성의 글은 호기심을 유발하는 탁월함이 있습니다. 조근조근 씹히는 보쌈 같다고나 할까? 간간히 씹히는 배추잎의 맛도 사각거리고, 보쌈김치도 알싸하게 느껴집니다. 계속해서 궁금증을 유발하다 글의 후반부에 정답을 살짝 보여주는 글쓰기도 좋은 접근 전략이라고 생각됩니다.
 
밌네~ 근데 주인공이 누굽니까? 2번을 읽어봐도 모르겠는데.........이거 농락하는 거 아녀? 소심 대마왕!!!
프로필 이미지
정산
2008.10.13 16:00:23 *.97.37.242

오늘은 퀴즈 안내고 그냥 끝났네. 상품 줄게 다 떨어졌나? ㅎㅎ
아기자기 하고 재미나다. 부러운 재주야. 따라하고 싶어도 잘 안되고...
근데, 주인공은 차칸양 맞지? 아님 모땐양이든지....
자신에 대해 너무 겸손한 거 같다.  상당히 매력있는 구석이 많은데 말이지........ 농담이 좀 썰렁한가?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2008.10.13 20:27:04 *.163.65.181
도칸 넘... 누군지 크게 될것 같으이^
프로필 이미지
2008.10.14 00:49:09 *.180.129.135
차칸양, 165아니고 170이어요. ㅎㅎㅎ 소심을 극복한 위인들의 이야기. 화이팅!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2 응애 2 - 보다 냉정하게 보다 용기있게 [13] 범해 좌경숙 2010.04.12 2982
1291 2. 수유공간너머 고병권 인터뷰 1. 창조적 소수의 개념 인터뷰 정예서 2010.03.12 2985
1290 [2-26] 수정 출간기획서 콩두 2013.11.26 2986
1289 [47]기도를 그리는 벽 한정화 2008.03.25 2987
1288 [사자 9] <다름의 미학> 수희향 2010.01.18 2988
1287 [06]출근시간 변천사 [10] 양재우 2008.05.13 2989
1286 [칼럼12]역사와 함깨한 5월을 보내며 [6] 素田최영훈 2007.06.05 2990
1285 (22) 실연 에너지 [8] 香仁 이은남 2007.09.03 2990
1284 [22] 몽골구름빵 [17] 素賢소현 2007.08.29 2991
1283 고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러피언 드림화 그리고... [1] 書元 이승호 2009.08.02 2991
1282 칼럼 17 - 새로운 언어 [1] 범해 좌경숙 2009.08.24 2991
1281 [사자 13] <휴머니스트 인터뷰 2- 1장:창조적 소수의 개념> 수희향 2010.02.15 2991
1280 최초의 여성 심리 비극 ‘메데이아’ 를 읽고 생각 한다. [10] 학이시습 2012.07.09 2992
1279 (016) 천리마와 하루살이 [8] 校瀞 한정화 2007.07.02 2994
1278 6월오프수업 과제 - 내 삶을 밝혀 줄 역사적 사건들 [2] 정야 2009.06.16 2994
1277 (15)우리 신랑 [7] 香仁 이은남 2007.06.23 2995
1276 내가 전에 그랬었다. [7] 백산 2009.06.22 2995
1275 [대표글1] 남편을 고르는 세가지 조건 [8] 이선형 2011.01.03 2995
1274 칼럼 20 - 등대를 따라서 [2] 범해 좌경숙 2009.09.07 2996
1273 [23] 최선이 아닌 최선의 선택 [7] 최지환 2008.10.12 2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