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현웅
  • 조회 수 3428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08년 10월 13일 11시 14분 등록
 

고슴도치 이야기(4)


  이상한은 세 개의 원을 그렸다. 가운데 위쪽으로 하나를 그리고는 아래쪽에 좌우로 겹쳐지도록 두 개의 원을 더 그렸다. 원은 정삼각형을 이뤘고 정 가운데는 세 개의 원이 겹쳐졌다. 그리고 각각의 원 안에 천천히 글씨를 써가기 시작했다.

  맨 위쪽 원 안에서 선을 밖으로 그었다. 아무래도 원 안에 글씨를 쓰기가 만만치 않아서인지 돼지 꼬리 비슷하게 그었다. 그 선 끝으로 ‘10년 정도 하면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썼다. 이상한은 곧바로 왼쪽 원 안쪽에서부터 아까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왼쪽으로 선을 땄다. 그리고 그 끝에 이렇게 썼다. ‘내 모든 열정을 바칠 수 있는 것’


  교실에 들어오자마자 인사만 나누고 아무 이야기 없이 돌아서서 하기 시작한 이상한의 행동에 반 아이들은 뭔 일 났냐는 표정 들이다.

  “담임이 뭐하는 거냐.”

   백승진이 코딱지를 파내며 멍하니 앉아있는 최인열에게 물었다.

  “나도 모르거든. 그런 거 물어보지 마라.”

  소보다 조금 작은 눈을 하고는 브이자로 만든 손가락으로 승진의 눈으로 ‘확’ 하는 소리와 함께  내지르다가 코앞에서 멈췄다. 승진은 그 뻔한 공격을 비웃기라도 하는 듯 손칼로 막는 시늉을 했다.

  “최인열 너 그거 10년을 해도 내 눈 건드리지도 못할 꺼다. 아서라. 꺼~어~억”

  짧은 시간이었지만 승진은 필살기 트림으로 상황을 종료시켰다.


  이상한은 오른쪽에도 똑같은 방법으로 선을 그었다. 두 번째 문장을 쓸 때보다 더 빠르게 써나갔다. ‘그것은 내 밥벌이로 손색이 없을 것’이라고 썼다. 그리고는 이것이 끝이 아니라는 듯 빨간색 분필로 바꿔 들고는 위쪽 원 안에 ‘강점’라고 썼다. 아래쪽 좌우의 원에는 차례로 ‘열정’과 ‘돈’을 써 넣었다. 마지막으로 칠판의 오른 쪽 위에 이렇게 썼다.

  ‘출처 : 짐 콜린스,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에서 얻어옴.

  이상한은 이것을 반 아이들에게 적용하기 위해 두 번째 ‘당신의 경제 엔진을 움직이는 것’을 ‘그것은 내 밥벌이로 손색이 없을 것’으로 바꿨을 뿐 비슷한 내용으로 칠판에 썼다.


  “선생님 그거 국사책 몇 페이지에 나오죠.”

  여태 교실에 있었는지조차 알 수 없었던 제도 기능반의 서경수가 갑자기 손을 들고 질문했다. 경수는 국제 기능올림픽에 우리나라 대표선수로 출전할 학교의 자랑이었는데 교실에서 떠들기는커녕 아이들과 이야기도 잘 나누지 않는 아이였다.


  “음~~. 국사책에는 이런 거 안나 와. 출처로 밝혔듯이 짐 콜린스라는 미국의 경영학자가 쓴 책에 나오는 이야기다. 뭐 너희들을 대상으로 하자면 나보다는 훨씬 덜 유명한 사람이지”

  대학에서 경제, 경영을 전공하거나 회사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을 제외하고 짐 콜린스라는 사람을 아는 어른들도 별로 없을 텐데 실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이 그의 이름을 들어 본 적은 없었을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이상한은 짐 콜린스를 꽤 강조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결판을 못 내린 고슴도치 이야기의 결정판이 될 것이다.”

  이상한은 평소와는 다르게 이야기를 좀 길게 가져갔다.

  “사실 고슴도치 이야기는 실제 고슴도치와는 별 관련이 없다. 짐 콜린스가 한 고슴도치 컨셉에서 따온 이야기 정도로만 기억해 주기 바란다. 물론 고슴도치의 싸움 기술은 훌륭하다.”

  이상한은 재규 쪽으로 잠시 눈을 돌렸다.

  “여우는 많은 것을 알지만, 고슴도치는 한 가지 큰 것을 안다.”

  “이것을 꼭 기억해 주기 바란다.”

  “재규의 받아 뒤차기는 고슴도치의 한 가지 큰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여우의 화려해 보이는 여러 발차기 기술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고 위력적이라는 것을 재규가 아주 잘 설명해줬다.”

  재규는 뭔지 모를 우쭐한 기분에 들떠 있었다. 이런 기분이 참 오랜만인 듯 얼굴이 빨개지기 까지 했다. 누군가에게 자신이 한 것에 대해 관심과 칭찬을 받아 본 것은 이상한이 처음이었다.


  이상한은 말을 이어갔다.

  “자! 조금 진지한 이야기가 될 것 같은데 오늘은 좀 진지 모드로 가보자.”

  “내가 하는 이야기를 잘 듣고 생각해보기 바란다.”

  “손을 올릴 필요는 없다. 마음속으로 생각하고 손도 마음으로 들어라.”

  “누가 보는 사람도 없다. 의식할 필요도 없다. 오직 자기 자신에게 물어보고 솔직히 대답하면 되는 거다. 알았지!”

  이상한이 특유의 낮은 음성으로 이야기하더니 ‘알았지’ 하면서 소리를 조금 높였다. 아이들은 일제히 “예”라는 소리와 함께 조용히 이상한을 뚫어져라 쳐다봤다. ‘그 다음엔 뭘 하면 되는데요 선생님, 궁금해요.’하는 인상이 역력했다. 이상한은 잠시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IP *.37.24.93

프로필 이미지
현웅
2008.10.13 11:18:07 *.37.24.93

아직 쓰기보다 읽기에 더 집중해야 겠다는 생각입니다. 제가 쓰려는 분야의 여러 작가들 글을 보고 있습니다.
캐릭터 분석과 갈등, 심리분석 등 여러가지에 대해 생각하면서 다른 책을 보고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은미
2008.10.13 11:49:12 *.161.251.172
피터드러커와 찰스핸디가 그 분야의 책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책을 읽고 또 읽었는지를 깨닫게 되면서,  반성과 희망을 갖게 되엇습니다.
이 과정속에서 분명 현웅씨다운 현웅의 꽃을 피워 낼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거암
2008.10.13 14:51:32 *.244.220.253

자연스럽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고등학생들이 '고슴도치 컨셉'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간결하게 설명해주신 것 같습니다.

다만 조금더 '비유'와 '은유'로 글이 첨부되었으면 합니다. 너무 설명적이고, 직접적이라는 느낌도 듭니다.
암튼 앞으로 좋은 글이 되도록 응원하겠습니다. ^^ 안산 택퇘성~ 화이팅!

(형님이 수입이 없는 것으로 아는 분들이 있는데, 이제 진실을 밝히시죠. 스카우트 받았다고~ 아~ 부럽다!)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08.10.13 18:01:48 *.169.188.48
아니..스카웃이라니..

현웅아. 요즘 배고프다. 밥좀사줘..하하.
프로필 이미지
2008.10.13 22:02:45 *.163.65.181
거암 의견에 한표.
프로필 이미지
2008.10.14 00:52:34 *.180.129.135
기왕 장편을 쓸 것이라면, 설계도를 그리고 써나가는 것이 어떨까라는 생각, 설계도래봤자 전에 말했던 것들이지만, 사건 중심의 전개가 되면, 나중에 수정하기가 힘들어져. 작품 전체를 다 들었다 놓는 경우도 생기는데 그럴수록 공이 많이 드니. 열심히 쓰고 있는 현웅씨에게 응원!
프로필 이미지
모땐양
2008.10.14 10:16:34 *.122.143.151
고슴도치 이야기에 이어서,
다음으론 "차칸양과 모땐양" 이야기를 써 보는건 어때?
뭐랄까... 이중인격을 가진 양이, 다중인격을 요구하는 사회에 맞서서 싸워 승리한다는
감동적 모험담 같은거.. 재밌겠지? 함 써 바바.. 내가 손 좀 바줄께..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72 [24] 욕망, 행복 그리고 재무설계 [5] 거암 2008.10.11 3284
4371 [23] 최선이 아닌 최선의 선택 [7] 최지환 2008.10.12 2997
4370 [24] 노후준비 하고 계십니까? [7] [2] 정산 2008.10.12 3506
4369 [23]미스 앤트로피 양의 죽음 file [7] 현정 2008.10.12 3482
4368 [25] 배운대로 아는대로... [11] 2008.10.12 3198
4367 [23] 시골로 돌아간 사람들3 - 김명진, 곽은숙씨 부부 [8] 촌년지혜 2008.10.12 4889
4366 [24]To.소심당6 - 주변소화(周邊小話) #1 [5] 양재우 2008.10.13 2981
» [26] 고슴도치 이야기(4) [7] 현웅 2008.10.13 3428
4364 <마음 풍경기> 날아 오르리라 file [5] 이은미 2008.10.13 9183
4363 [24] 시련극복 (4) 잃어 버린 선글라스 [9] 2008.10.13 1561
4362 [화실일기] 잘 안되는 온갖가지 것들 file [3] 한정화 2008.10.21 5227
4361 [25] 재무설계 법칙 셋, 내 인생의 조감도를 그려보자! file [3] 거암 2008.10.23 17016
4360 <꽃피는 나무 > 哀 복사꽃 붉게 피어날때... file [4] 이은미 2008.10.23 14070
4359 [25] To.소심당7 - 주변소화(周邊小話) #2 [3] 양재우 2008.10.24 3148
4358 (25) 어떤 모닝페이저의 자신과의 데이트 [4] 소은 2008.10.25 3623
4357 [24] 그대에게 던지는 질문들 (1) [2] 최지환 2008.10.26 2855
4356 [26] 욕심과 선택 [3] 2008.10.26 2999
4355 [25] 반토막 난 주식, 두토막 난 가정_2008년 어느 가을날 우리 사회의 모습 [3] 정산 2008.10.26 2964
4354 [24] 신의와 의신 file [3] 현정 2008.10.27 3528
4353 [27] 실업계고교 문제(1) [3] 현웅 2008.10.27 3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