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어니언
  • 조회 수 770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22년 5월 26일 07시 33분 등록

어제 근무 중에 느닷없이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양평에 사시는 아버지의 절친이 몇 달 전에 관음죽 분갈이했던 화분을 들고 지금 저희 집으로 오고 계시다는 것입니다. 근처에 올 일이 있으시냐고 물었더니, 그렇게 들르기에는 또 화분이 짐이 되어서 지하철을 타고 여기까지 오셨다고 했습니다. 한낮이라 집에는 아무도 없고, 퇴근시간까지는 아직 한참 남아서 죄송한 마음이 가득이었습니다.


퇴근하고 허겁지겁 집에 와보니, 대문 앞에 커다란 장바구니가 있고, 그 안에 손가락처럼 갈라진 잎이 여섯 개 나있는 작은 관음죽이 들어있었습니다. 일곱 번째 잎이 새로 나오려고 꼿꼿하게 서있었습니다. 흙 표면에는 반짝거리는 색색깔 조약돌과 조개가 얹어져 있었습니다. 흙을 손으로 만져보니 축축해서 다음 주부터 물을 주면 될 것 같았습니다.


관음죽은 아빠가 좋아하는 나무였습니다. 손을 많이 타지도 않고, 그늘에서도 잘 자라고 운치가 있는 나무였기 때문입니다. 최근 호텔이나 인기 요릿집에서 식물로 인테리어를 하는 것을 많이 봤는데, 멋진 관음죽이 빠지지 않고 있어서 괜히 흐뭇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 관음죽은 친구분이 예전에 이사를 했을 때 아버지에게서 선물 받은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관음죽이 잘 자라서 너무 커지는 바람에 좀 작게 만들 수밖에 없었는데 그냥 또 버리기에는 마음이 흡족하지 않아 저에게 선물을 하시기로 결정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어렸을 때는 몰랐는데, 집에 식물을 들이니 분위기가 살아나는 것이 느껴지기 시작해서 식물을 좀 들이고 싶다가도, ‘연쇄살식마라고 불릴 정도로 식물을 잘 죽이는 저를 알기에 스스로는 사지 않습니다. 이런 처지니 화분 선물은 저에게는 참 부담스러운 선물입니다. 그래도 살림을 꾸려가다 보면 화분을 피할 수는 없었습니다. 다행히 결혼 선물로 회사에서 받았던 고무나무와 몇 년 전 생일에 친구가 준 작은 야자나무가 아직 숨은 붙어 있습니다. 이 관음죽이 세 번째 생존 식물이 되면 좋겠습니다.


또한 사회의 기브 앤 테이크 계산법에 익숙해진 저에게, 긴 시간 지하철을 타고 화분을 가져다주는 수고로움은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순수한 나의 기쁨으로 다른 사람에게 아무것도 바라지 않고 내 시간을 몇 시간씩 쓸 수 있는 일이 저에게도 생기면 좋겠다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그것을 그렇게 부담스러워하지 않을 친구가 생기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식물이 생기면 여러 가지 생각이 듭니다. 가지도 커지고 이파리도 늘어나는데 화분을 언제쯤 바꿔줘야 할지, 가지치기나 이파리를 제거할 필요는 없는지 걱정이 많은데, 인터넷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도 한정적인 것 같고 누구에게 가져가서 보일 수도 없는 것이 너무 어렵습니다. 그래도 아빠는 식물을 키우는 것은 물이나 햇볕이 아니라정성이라는 말을 자주 일러주셨습니다. 아무쪼록 우리 집에 온 꼬마 관음죽이 잘 자라서 클 수 있도록 최대한 신경을 써볼 생각입니다.

IP *.143.230.48

프로필 이미지
2022.05.26 09:28:40 *.138.247.98

제목에 감탄했습니다.
저는 금년부터 민물고기도 키워보고, 풍란 석부작도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인도 고무나무, 벵갈고무나무도 새롭게 접하고 있는 친구들입니다.
아내는 내가 지나치게 에너지를 쏟는 것 같다는데,
저는 오히려 얘들한테서 에너지를 얻습니다.
말못하는 식물과 민물고기들과 교감한다는 생각이듭니다.
바쁘시겠지만 가끔 식물을 들여다보며 대화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56 날개 없는 그대에게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2006.08.08 5108
4255 더불어 살지 못하는 숲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2006.08.09 5058
4254 행복에 이르는 10개의 계단 변화경영연구소-오병곤 2006.08.11 7233
4253 모순, ‘그러면서’ 홍승완 2006.08.16 5118
4252 미련하고 비현실적인 사람을 위한 질문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2006.08.16 5613
4251 빈 배 [1] 변화경영연구소-오병곤 2006.08.18 4951
4250 사랑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2006.08.21 5567
4249 사랑하는 일을 찾기 위한 열가지 질문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2006.08.22 5183
4248 나무이고 싶은 욕심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2006.08.23 5360
4247 내게 15분 씩만 적선하시요 [2] [7] 구본형 2006.08.25 5228
4246 ‘매일 지속하는 것’만큼 강력한 실행법은 없다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2006.08.28 5307
4245 두 가지 자유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2006.08.29 4921
4244 값 비싼 불행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2006.08.30 5295
4243 우리는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에 굶주려 있다 구본형 2006.09.01 5400
4242 인연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2006.09.04 5377
4241 당신의 마음이 머무르는 곳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2006.09.05 5093
4240 그림 잘 그리는 방법 변화경영연구소 2006.09.06 7535
4239 바람과 햇빛으로 몸을 씻는 날이면 구본형 2006.09.08 5403
4238 마음과 존중과 사랑으로 만나라 [2]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2006.09.11 4755
4237 태교하는 마음으로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2006.09.12 4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