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불씨
  • 조회 수 898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23년 1월 31일 22시 09분 등록
나의 밤기도는
길고
한가지 말만 되풀이한다
가만히 눈뜨는 건
믿을수 없을 만치의
축원
갓 피어난 빛으로만
속속들이 채워 넘친 환한 영혼의
내 사람아
쓸쓸히 
검은 머리 풀고 누워도
이적지 못 가져본
너그러운 사랑
너를 위하여
나 살거니
소중한 건 무엇이나 너에게 주마
이미 준 것은 잊어버리고
못다준 사랑만을 기억하리라
나의 사람아
눈이 내리는
먼 하늘에
달무리 보듯 너를 본다
오직 너를 위하여
모든 것에 이름이 있고
기쁨이 있단다
나의 사람아


김남조 시인의 <너를 위하여>라는 시입니다. 
여기서 '너'라는 존재가 자신이 목숨보다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건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의 목숨보다도 사랑하는 그 사람... 연인이 될 수도 있고 부모가 될 수도 있고 친구가 될 수도 있겠지만
이미 부모인 사람들에게 그 존재는 자식인 경우가 보편적이겠죠.

신라 시대에 있었던 일입니다. 한 청년이 자기 집 동쪽 시냇가에서 놀다가 수달 한 마리를 잡았습니다. 잡은 수달을 죽여서 살을 발라내고 뼈는 동산에다 버렸습니다. 청년이 다음날 아침에 보니, 수달의 뼈가 사라지고 없었습니다. 청년은 핏자국을 따라 가보았습니다. 핏자국은 조그만 동굴 앞까지 이어져 있었습니다. 뼈는 제 굴로 돌아와 새끼 다섯 마리를 안은 채로 쭈그리고 있었습니다. 청년은 그 광경을 멍하니 바라보고 놀라움에 자리를 떠날수 없었습니다. 깊이 탄식하던 청년은 문득 속세를 버리고 출가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출가후 청년은 '혜통'이라는 법명을 얻게 됩니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신라 중기 승려인 혜통에 관한 일화입니다. 금수조차도 죽어서까지도 자기 자식에 대한 정은 끊을수 없는 거죠. 이 대목에서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의 내용을 들먹거리며, 자식에 대한 사랑이 생물학적인 본능이라고 매도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전 누군가를 위해 목숨을 버릴 수 있는 사랑이 있다는 것에 감사합니다. 생물학적 본능이건 신이 주신 축복이건 그 사랑의 이유가 무엇이든 말입니다.
위하고 사랑할 그 누군가가 없다면 과연 삶이 가치가 있을까요?
사랑으로 충만한 한 주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IP *.143.130.111

프로필 이미지
2023.02.01 11:39:16 *.169.230.150

그렇겠죠 ?   

사랑하는 것이 없다면 전쟁같은 경쟁에서 

살아 남을려고 몸부림을 칠 이유가 없겠죠? 

그래서 사랑하는 것들로 인한 슬픔은, 

무한 경쟁으로 인해 겪던 상처의 고통보다 훨씬 더 컸나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76 책읽기의 기쁨을 다시 찾기 위하여 제산 2019.12.30 872
3775 목요편지 -봄인가 운제 2020.02.13 872
3774 [수요편지] 씨앗 속의 사과 [2] 불씨 2022.04.12 872
3773 알아두면 쓸데있는 근거없는 계산법 2 [2] 이철민 2017.10.26 873
3772 목요편지 - 산후 우울증 운제 2019.07.12 873
3771 화요편지 - 이토록 은밀하고 스펙타클한 [1] 종종 2022.09.13 873
3770 [수요편지]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더 강해지게 한다 [1] 불씨 2023.05.09 873
3769 여기 김광석을 통해 꿈을 노래하는 청년이 있습니다 file 차칸양 2017.11.01 874
3768 [금욜편지 109- 삼천배 철야정진] 수희향 2019.10.25 874
3767 목요편지 - 5월도 깊어가는데 운제 2020.05.14 874
3766 부모가 익어가는 시간 옹박 2017.06.12 875
3765 [금욜편지 41- 신화속 휴먼유형- 헤라클레스형 3- 유형분석] [2] 수희향 2018.06.15 875
3764 [화요편지] 그 까이꺼, 가슴속 지옥 file 아난다 2019.05.28 875
3763 [화요편지]8주차 워크숍 _ 나만의 기쁨감각 되찾기 아난다 2019.10.08 875
3762 훗날을 기약하는 인생 설계 [1] 옹박 2017.08.21 876
3761 [일상에 스민 문학]-A4 4장짜리 인생 정재엽 2017.12.20 876
3760 가을은 깊어가는데 운제 2019.10.25 876
3759 [화요편지]11주차 워크숍_엄마의 시간통장 아난다 2019.11.19 876
3758 강남순 교수의 페미니즘 강의 후기, 두번째 이야기 제산 2020.02.24 876
3757 #따로_또_같이 하찮은 시작의 큰 가치 [1] 어니언 2022.03.03 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