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추모

추모공간

사랑하는

  • 운제
  • 조회 수 545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3년 3월 13일 11시 39분 등록

가장 잘 배우기 위해

 

매년 책을 한 권씩 낼 수 있는 것은 책 자체가 실험이고 배움의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아이러니컬하지만 불완전한 책을 내는 것이 바로 내가 가

장 잘 배우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어떤 주제에 대하여 1년 동안 내가 배우고 생

각하고 익힌 것을 정리하여 표현하는 것, 이것이 바로 나의 학습 방법입니다. 내게

책은 어떤 주제에 대한 1년 동안의 사유를 기록한 한 권의 정리 노트인 셈입니다.

일상의 황홀


내가 책을 쓰기로 결심한 것도, 매년 한 권의 책을 쓸 수 있는 것

도 사부 덕분이다. 만일 그를 만나지 않았다면, 함께 보낸 10년의

시간이 없었다면 작가로서의 나는 없었을 것이다.

꿈꾸는 삶을 행동으로 보여준 사람이 사부였고, 나의 젖은 장작

이 탈 수 있도록 해준 부지깽이가 그였고, 힘들거나 흔들릴 때 바로

잡아준 사람도 그였다. 나에게 매년 한 권의 책을 쓰라고 한 적은

없었지만 행동으로 보여주었다. 그는 책은 자신의 세계이며, 한 권

의 책을 쓰는 것은 또 하나의 자신의 세계를 가지는 것이라고 말했

. 그런 가르침이 힘이 되어 지금도 쓰고 있다

 

 

 

나를 위한 책쓰기

 

어느 날, 나는 글을 쓰고 싶었다. 소설이나 시는 아니었다. 나같이 그럭

저럭 살고 있는 사람을 차가운 물속에 처박아 넣거나 가슴에 불을 싸지

르는 작가가 되고 싶었다. 그것은 내가 그동안 해왔던 경영혁신과 변화경영의 개

념과 잘 들어맞았다. 중요한 것은 회사원이 아니라 작가로 나를 바꾸는 것이었다.

명령하지도 지시받지도 않고 오직 내 마음의 흐름을 따라 자유롭게 일하고 싶었

. 첫 책 익숙한 것과의 결별은 사실 내 가슴속에 불을 놓는 작업이었다. 그 책

은 나를 위한 책이었다. 내가 최초의 독자였다. 그 후 나는 적어도 1년에 한 권씩 책

을 냈다. 변화경영전문가로 세상에 나를 세웠고 수없이 많은 강연을 했다.

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


책은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독자를 위한 것이어야 하며, 독자

에게 어떤 가치를 전달할 것인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책을 쓰려

면 콘텐츠와 열정이 있어야 한다. 내용이 가치를 결정하고 열정은

끝까지 갈 수 있는 에너지가 된다.

사부는 확실한 콘텐츠가 있었다. 20년간 IBM에서 근무하면서

한 일이 기업의 경영혁신과 변화경영이었다.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대량실업의 시대를 맞아 그의 콘텐츠는 시대가 간절히 요구하는

것이었다. 대학에서는 역사학을, 대학원에서는 경영학을 전공한

그로서는 절호의 기회였다.

나는 그런 것이 없었다. 공대 출신으로 철강회사에 근무하면서

글과는 거리가 먼 일을 해왔다. 그의 첫 책에 나오는 불타는 갑판

에 꽂혀 대책도 없이 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었다. 그 후 몇 년간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직장인들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반드시 알아

야 할 것들을 조금 알게 되었다. 그것을 세상에 알리고 싶었다.

은 작가가 되고 싶어 쓴 것이 아니라 내가 알고 있는 것을 세상에

알리기 위한 수단이었다. 사부의 첫 책이 자신을 위한 책이었다면

나의 첫 책도 그랬다.

사부는 많은 책을 쓰면서 변화경영이라는 주제를 벗어나지 않

았지만 나는 삶의 지혜, 인간관계, 유머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썼

. 심지어 소설과 시집을 내기도 하였다. 사부는 책을 쓸 때 자신

의 주제에서 벗어나지 말라고 조언했지만 나는 그렇지 못했다.

문분야가 없는 사람들이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모색이다.

 

 

 

 

 

 

IP *.46.92.18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 이해인 수녀님이 '추모시'를 보내셨습니다. [2] 최우성 2013.04.26 4196
43 스승님과 함께 길을 또 걷고 싶은데.... 타오 한정화 2014.03.11 4223
42 구본형 소장님 왜 이제야 제 앞에 오셨나요.. file [2] jimi 2018.08.27 4252
41 스승님 소천 7주기. 추억 걷기 file [1] 정야 2020.04.13 4316
40 당신이 그립습니다(2015년 추모제에서) file 타오 한정화 2015.04.13 4351
39 구본형 남도여행 2008년1월 - 추모식 15기 신웅 2014.04.13 4376
38 삶을 바꾼 만남 [4] 동건친구 2013.05.29 4379
37 늘 답장 주시던 구본형 선생님 [1] 심우당 2015.04.09 4404
36 [웃고 노래하라, 춤추라] 추모의 밤 후기 [2] 최우성 2013.06.03 4435
35 선생님과 함께한 몇 장면 [1] 심우당 2014.03.02 4519
34 삶은 축복이니...(공유합니다) 최우성 2013.06.04 4531
33 같이 듣고 싶은 노래가 있어 올려봅니다 [6] Muse "the story" 2013.05.28 4607
32 부산일보 강종규 선생님의 컬럼입니다. 최우성 2013.05.27 4617
31 전달해 드리지 못한 메시지 [2] 신재동 2013.04.21 4723
30 2년 전 오늘 file 양갱 2015.04.13 4804
29 묘비명 진철 2013.04.14 4815
28 스승님을 기억하는 글들(추모제에서 모은 글귀) 달리는 정화 2015.04.12 4972
27 내 인생의 스승님. [4] 미나 2013.05.21 5066
26 나현이의 구본형 선생님께 드리는 편지 [2] 재키제동 2015.04.12 5196
25 이해인 수녀님의 추모글 입니다. [2] 최우성 2013.04.26 5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