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조회 수 3076
  • 댓글 수 8
  • 추천 수 0
2008년 12월 14일 22시 58분 등록


점퍼를 집어 든다. 두툼한 점퍼다. 밖은 바람이 불고 날이 차다. 겨울이 된 것이다. 점퍼 안에도 제법 두툼한 옷을 겹쳐 입었다. 등산화를 신는다. 등산화 끈을 조이고 발을 탁탁 굴러본다. 편안하다. 모자를 눌러쓰고 배낭을 둘러멘 다음 산으로 향한다. 산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낯간지럽지만 산은 산이다. 12월의 산은 썰렁하지만 그래도 산에 들어서면 좋다. 12월의 산. 그래 12월이다. 이제 며칠의 시간이 지나면 1년이라는 세월이 곁을 스치고 지나간다. 다시는 볼 수 없는 놈이다.
올해 초 4월의 어느 날인가도 점퍼를 집어 들었다. 지금보다는 얇은 점퍼였다. 안에 입은 옷도 얇은 티셔츠였다. 등산화 대신 운동화를 신었다. 발을 탁탁 굴러봤다. 편안하다. 모자를 눌러쓰고 배낭을 둘러멘 다음 버스정류장으로 향했다. 봄이었다. 4월의 산도 12월의 산처럼 푸르지 않았겠지만 그날은 산을 오르는 날은 아니었다.
12월과 4월 그날의 모습은 같은 듯 다르다. 복장은 같지만 점퍼와 티셔츠의 두께가 다르다. 배낭에는 12월에나 4월에나 물과 옷 한 벌이 들어있다. 모자는 같은 파란색이지만 모양은 다르다. 무엇보다 가장 다른 건 봄의 시작이라는 시점과 한 해의 끝이라는 시점일 것이다. 그 날은 얼굴도 한번 보지 못한 사람들과 동해와 진전사를 가는 날이었다. 한 해의 시작은 1월이지만, 올해라는 한해는 사실상 4월의 그날에야 느지막이 시작되고 있었다.

이제 12월. 느지막이 시작한 한 해는 그야말로 쏜살같이 지나갔다. 많은 일들이 있었고 많은 시간이 흘렀다. 봄에 나는 이런 말과 함께 4월의 그 버스에 올랐다. ‘스스로도 알지 못하는 것을 길어 올려 보고 싶다. 그 이후는 나의 몫일 것이다.’
한해의 끝에서 그 말을 다시 들여다보니 모든 것은 그냥 그대로 남아있었다. ‘스스로도 알지 못하는 것을 길어 올려 보고 싶다’는 이야기는 아직도 주변에서 떠돌고 있다. 그때도 알지 못했고 아직도 제대로 모르고 있다. ‘그 이후 나의 몫’은 길어 올린 것이 없으니 여전히 그대로 남아있다. 결국 모든 것은 그대로 과제로 남아있다. 1년이라는 시간과 과정이 있었으니 분명 무슨 변화가 있긴 있으련만 눈앞에 드러나는 것은 없다. 눈으로 보지 못하니 변화를 이뤄내지 못했다는 생각이 앞서고 마음으로 읽어내는 것은 서툴기만 하다. 시간은 지나가고 마음은 시간을 앞서 뛰어갈 만큼 조급하다. 그래서 몸과 마음은 더 동동거린다.

퇴근길에 들렀던 서점에는 사람들이 가득했다. 서점을 가득 채운 사람들보다 몇 백배는 더 많아 보이는 책들이 어느 곳에서나 얼굴을 내밀고 있었다. 얼굴을 내밀고 있는 책들은 저마다 자기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었다. 책들이 쏟아내는 말 때문에 서점은 정신이 없을 만큼 시끄러웠다. 귀를 잡아당기는 말도 있고, 마음을 잡아당기는 말도 있고, 너무 시끄러워 눈을 잡아당기는 말도 있었다. 어찌되었건 책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그 많은 이야기 속에서 길을 잃은 듯 헤매며 시간을 보냈다. 무슨 말을 하면 좋을까 싶어서 들렀던 서점에서 너무 많은 말을 들은 까닭일까. 그 목소리 속에 또 하나의 목소리를 더하는 것이 두려워졌다.

방송을 처음 하는 사람들은 방송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들으면 이상하게 들린다고 한다. 마치 자신의 목소리가 아닌 것처럼 들린다는 것이다. 몇 번의 경험을 하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알아듣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지금 그런 과정을 거치고 있는 중일까. 내목소리가 어떤 것인지 도대체 알지를 못하겠다. 이리 뱉어보아도 저리 뱉어보아도 내 속에서 나오는 목소리가 무엇인지 알기가 힘들다.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나도 알아듣지 못한 목소리를 언제나 알아들을 수 있을 것인가. 어떤 소리든 일단 내어보면 그 속에서 진정한 목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을까? 글쎄, 그럴까? 모르겠다. 그만 쓸란다. 더 쓰기 싫다. 그렇게 한 해가 간다.

IP *.163.65.81

프로필 이미지
한명석
2008.12.15 10:27:07 *.209.32.129
마음을 따라가듯 짧게 짧게 나뉜 문장이 참 잘 익히네요.
나도
저 거대한 책의 포화상태에 
이렇다할 필연도 없이 내 것을 하나 보태고 싶어하는 것이
부질없다고 생각될 때가 있어요.

단지 다르다면,
요즘 서점에서는 당최 마음은 커녕
눈길을 끄는 책도 없어서
그저 시끄러울 뿐이라는 것. ^^

프로필 이미지
2008.12.15 20:47:19 *.163.65.81
대선배님께서 왕림을... 꾸벅
같이 한번 시끄러워지시는건 어때요^^
프로필 이미지
거암
2008.12.15 12:11:55 *.244.220.253

아직도 방황하는 영혼을 보게 되네요............이제 길 떠나셔야죠~~~
다만 조급해 하지는 마셔요........기억상실에 걸릴지도 모르지니까요. ^^

프로필 이미지
2008.12.15 20:49:36 *.163.65.81
그러게... 어떤넘인지 참 되게 왔다갔다 하네...
프로필 이미지
정산
2008.12.15 19:30:04 *.5.98.153

한해가 간다는 칼럼을 같이 썼네.
창은 나와 통하는 데가 있는가? 몸무게도 비슷하게 늘었고. ㅋㅋ
난 요즘 왜 이러나 몰라?  3키로를 8키로로 듣고,
나이 탓에 가는 귀가 먹었나?

창, 골이 깊으면 산이 높단다. 걱정 놔부리고... 
다음 주말에 만나 쐬주나 한잔 하세.... ^^

프로필 이미지
정산
2008.12.16 00:50:21 *.5.98.153
이친구야. 이번 주말은 공동부담이야. 몰라 거기...
와인 시킬 때 쐬주 한병만 추가하면 되는겨.... ^^
프로필 이미지
2008.12.15 20:52:38 *.163.65.81
고맙지요.
쐬주값은 형님이 내세요. 계산은 제가 할테니^^
프로필 이미지
은미
2008.12.16 10:06:15 *.161.251.173

형^^ 난 형글 좋더라~~
내용도 튼실하고 거기에 가독성까지...
나중에 어떤 결과물이 될까는 잘 모르지만
이 고민의 결실이 맺어지길 바래요. 꼭~~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2 [29] 강산이 두 번 바뀌는 세월 [2] 정산 2008.12.14 3057
1191 컬럼 26 - 호랑이 #2 시장, 심리적 거부감, 위축 , 해법 5가지 [2] 범해 좌경숙 2009.10.13 3059
1190 왕따가 되다 [27] 박경숙 2010.07.31 3059
1189 [15] 몸의 정복자 [11] 素賢소현 2007.07.04 3061
1188 살기위해 오르는도시 , 타오르미나 file [2] [8] 학이시습 2012.08.20 3061
1187 나비 No.39 - 미녀 삼총사 모여라 file [9] 재키 제동 2012.01.29 3063
1186 사랑이 열망하는 것 효인 2009.09.07 3064
1185 나비No.12 - 아버지의 소망 [10] 유재경 2011.06.19 3065
1184 [컬럼013] 자전거와 일상의 황홀 [9] 香山 신종윤 2007.06.12 3067
1183 Wow를 조각하는 예술가~! file [3] [1] 현운 이희석 2007.09.17 3067
1182 사자#3 - 바보같은 마음 [6] 희산 2009.10.25 3067
1181 진정으로 살아야한다 [6] 백산 2009.06.29 3069
1180 응애 17 - 얼어붙은 심장 [1] 범해 좌경숙 2010.07.04 3069
1179 (012) 역사 속의 경이로운 사건에 바치는 헌화가와 내 아름다운 물비늘 [4] 교정 한정화 2007.07.22 3070
1178 베가본드 [10] 백산 2010.01.16 3070
1177 (14-1)내 아들 월리의 여행기 [3] 이한숙 2008.07.30 3071
1176 [37] 살인의 추억 [1] 2009.02.01 3071
1175 그와의 극적인 만남 file [21] 이은주 2010.05.23 3071
1174 [17] 온라인 쇼핑은 너무 어려워! [6] 손지혜 2008.08.10 3073
1173 나비 No.21 – 누구의 세계에 살고 있는가? [15] 유재경 2011.09.19 3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