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어니언
  • 조회 수 971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23년 5월 18일 10시 07분 등록

얼마 전, 좋아하는 영화 몇 편을 참 오랜만에 다시 보았습니다. 한때 정말 좋아해서 수십 번을 돌려보았던 영화들이라 거의 모든 장면이 머릿속에 담겨 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영화가 시작하니 새로운 해석이 제 안으로 쏟아져 들어왔습니다. 인물들의 다른 점이 보이고, 인상적인 장면이 새로 보였으며, 전에는 어색하다고 여긴 결말이 잘 어울리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영화를 (상업적이긴 해도) 예술의 한 갈래로 본다면 전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아이디어들이 오갈 텐데, 그 최선을 찾아가는 여정을 단 한 번의 시청으로는 다 알아채기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좋은 영화일수록 그렇겠죠.


볼 때마다 다르게 보이는 영화는 영화 자체의 완성도도 중요하지만, 영화를 보는 제 시선과 상황도 달라져서 그럴 것입니다. 예전에는 자신의 경험과 문제가 너무 크게 자리 잡고 있어서 그것과 관련 없는 메시지를 전하는 영화를 가까이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지금은 영화를 볼 때 조금 시야가 넓어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의 문제와 영화에서 다루는 갈등의 비슷한 점을 찾아내기도 하고, 주인공 외 다른 등장인물들의 상황과 처지에도 관심을 갖고 귀를 기울이게 됐습니다. 아마 예전보다 제가 다양한 상황 속 여러 처지에 놓여있던 경험이 늘면서 그렇게 된 것 같습니다.


작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아니 에르노는 자신의 인터뷰집 <진정한 장소>에서 이런 말을 합니다. 글쓰기란 세상과 겨루는 일이며, 체험한 시간 외에 다른 시간을 창조하는 것이라고. 또 글 안에서 창조된 공간은 어느 곳이라고 지정할 수 없지만, 어쨌든 그곳에 모든 장소들이 담겨 있다는 것을 확신한다고도 했습니다.


저는 이것이 모든 창작에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합니다. 우리는 글을 쓴다, 콘티를 짠다는 등의 구체적인 활동을 주로 얘기하지만, 그 결과물은 시청자, 독자가 들어와 머무를 수 있는 하나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영화나 소설에 나왔던 많은 공간들을 모방한 카페나 식당들이 생기는 것도 이 이야기에 푹 빠졌던 경험이 사람들에게 공간에 대한 그리움을 만들어주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움에 끌려 좋은 공간에 가볼 때마다 새로운 장면이 나오는 것처럼 멋진 선순환이 만들어진다면 그 글 안에 오래 머무르고 싶은 사람들이 늘어날 거라고 생각합니다.


흔히 깊은 감정이 시야를 흐린다는 표현을 많이 쓰지만, ‘빠져들지’ 않으면 제대로 볼 수 없는 것도 있습니다. 특히나 예술은 그것이 말하고 있지 않다고 여겨지는 것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애정을 갖고 깊게 들여다보아야 더 잘 알 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오늘의 편지에서는 영화 이야기만 했지만, 책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삶의 한때를 함께 했던 소중한 책들을 꺼내 다시 한번 읽어보는 시간을 가져봐야겠습니다. 여러분의 여러 번 읽은 책, 여러 번 본 영화는 어떤 것인지 궁금하네요.

IP *.143.230.48

프로필 이미지
2023.05.18 20:58:43 *.169.227.149

"보는 것은 보이는 것 이상이다." 

녹화한 선수 게임 영상을 계속 반복해서 보고있는 내게 아내가 말하기를 

"아니, 같은 걸 도대체 몇번을 보는거예요  달달 외우고도 남았겠네 !  "                                   

"한 번에 모든 것을 보기란 쉽지 않아요 !  끊임없이 다시 보면서 양 선수의 움직임과 의도의 변화를 분석하고  정리하고  구분해내야만  보다 더 적절한 대응을 찾을 수 있고 가르칠 수 있는 것이지요!! 

부처는 "우주란 무엇입니까 ?" 라고 묻는 대답에 

"우주는 바닷가의 수많은 모래알로 이루어진 백사장과 같다. 그리고 그 한 알 한 알 속에는 온 우주가 있다."


그렇게 " 게임을 하는 무대 위에서 같은 순간, 같은 대상, 같은 공간은 단 한 번도 없었다. " 라고  말했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56 신화는 처음이시죠? - 그리스 로마 신화, 한국 신화 제산 2019.08.25 931
3555 [화요편지]무엇이 나를 열받게 하는가? 아난다 2019.07.09 932
3554 [금욜편지 103- 책쓰기준비 2- 시간] 수희향 2019.08.30 932
3553 강남순 제4강 <21세기 페미니즘 : 코즈모폴리턴 페미니즘과 평등세계를 향한 나/우리의 과제> 제산 2020.03.09 932
3552 [용기충전소] 랜선시대, 피할 수 없다면 김글리 2020.07.17 932
3551 [수요편지] 오!늘! [3] 불씨 2022.09.21 932
3550 [라이프충전소] 실패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나요? [1] 김글리 2023.01.07 933
3549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미국인이 사랑한 캥거루, 옐로우 테일(yellow tail) 1 file 알로하 2019.06.15 934
3548 선천성 그리움 장재용 2019.12.11 934
3547 [월요편지 120] 임원이 되고 싶었던 나의 꿈을 짓밟은 사람들 [1] 습관의 완성 2022.08.21 934
3546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치즈로 만든 무지개 2 file 알로하 2019.11.10 936
3545 목요편지 - 엘리어트와 조영남 [1] 운제 2020.04.02 936
3544 [내 삶의 단어장] 꽃잎처럼 피어난 아나고 에움길~ 2023.04.10 936
3543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세 번째 이야기 file [1] 제산 2018.10.15 937
3542 [화요편지]6주차 미션보드_OO씨의 행복여행 아난다 2019.09.03 937
3541 [월요편지 112] 옆집 돈까스 사장님이 사업을 접은 이유 [2] 습관의 완성 2022.06.19 937
3540 가상화폐에 투자해서는 안되는 3가지 이유(중편) file [3] 차칸양 2018.02.06 938
3539 [화요편지] 화폐중독 치유 솔루션 file 아난다 2020.06.15 939
3538 [용기충전소] 시간은 내는 놈이 임자 김글리 2020.10.30 939
3537 메달을 받다! [1] 어니언 2022.10.13 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