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어니언
  • 조회 수 903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3년 8월 24일 10시 57분 등록

두근 두근 ..

월요일 아침 10시, 오전 업무를 일단락 지은 뒤, 짬을 내어 한 홈페이지에 접속했습니다. 긴장되는 마음에 비밀번호가 가물가물해서 몇 번이나 다시 시도했습니다. 로그인을 하고 나서도 다음 화면이 바로 보이지 않습니다. 저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같은 홈페이지에 접속 중인 모양입니다. 이 홈페이지는 바로 지난 7월 초에 본 일본어 능력 시험 사이트로, 그날이 결과 발표날이었기 때문입니다.


답안지 귀퉁이에 적어 집에 가져온 제 답안을 가채점했을 때는 합격 안정권이었지만 가채점은 가채점일 뿐 결과는 제대로 확인을 해야 하지요. 그래도 기대하는 바가 있으니 두근거리는 마음을 가라앉히기 힘들었습니다. 결과 발표 페이지에 들어가는 순간! 제 이름 밑에 쓰여있는 선명한 영어 여섯 글자 Passed. 합격이었습니다!


솔직히 이번에 공부를 충분히 못했습니다. 시험 열흘 전까지 몸 컨디션도 나쁘고 공부하기 너무 싫어서 단어장만 꼴랑 세 장 들춰 봤었습니다. 거기다 작년 12월에 N3급을 상당히 쉽게 따서 좀 방심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아마 제 성격상 이번에 시험을 합격하지 못하면 한동안 일본어는 쳐다보기도 싫어질게 뻔해서 남은 시간이라도 최선을 다하자고 공부했던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습니다.


JLPT는 기본적으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본어 시험’이기 때문에 합격 커트라인이 적당히 낮습니다. 전체 180점 만점에 반타작만 하면 되고, 180점을 이루는 세 개의 과목을 각각 60점 만점에 19점 이상만 맞으면 됩니다. 그러니까 합격 여부만 놓고 보면 제법 쉬운 시험입니다. 이런 부분을 노려서 꽤 효율적으로 공부했다고 생각합니다.


단어 외우는 것은 한자랑 발음을 제 마음대로 배경을 만들어 외웠습니다. 예를 들어 '쓰다듬다'라는 뜻을 가진 撫でる(なでる)라는 단어가 있는데 한국어로 '나대다'랑 발음이 같아서 ‘나대루지 말아라=쓰다듬지 말아라’라고 외우고, 한자도 손 수 변에 없을 무자 조합이라 ‘손이 안 보여도 쓰다듬는 손길은 느낄 수 있다’는 식으로 저만의 한자 암기를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다른 사람한테 설명할 때는 좀 웃기긴 하지만 기억하려면 이거만 한 게 없었습니다.


긴 지문을 읽고 답을 찾아야 하는 독해 문제는 오래전 토익 시험을 풀듯이 접속사랑 구조가 비슷한 문법들을 뽑아 한꺼번에 카테고리처럼 외웠습니다. 그리고 지문 읽기 시작하기 전에 질문, 주제, 글의 구조부터 파악하고 들어가서 어디쯤 답이 있겠다는 범위를 좁혀서 읽는 방식으로 진짜 시험 대비용으로 연습했습니다. 그래도 재미있는 상식 같은 것이 많이 나와서 단순히 단어를 암기하는 것보다는 훨씬 재미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1964년 도쿄 올림픽이 영어 사용권이 아닌 국가에서 열린 첫 올림픽이어서 화장실 마크를 맨 처음 사용했다든가 하는 알면 쓸데없지만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듣기 과목은 평소에 애니메이션이나 일본 맛집, 뉴스 유튜브 같은 것을 못 알아 들어도 열심히 봤던게 도움이 됐는지 나름 준수한 성적을 받았습니다.


저는 고등학교 때 제2외국어로 일본어를 배운 이후로는 대학 전공도, 취업 진로도 일본과는 상관없는 방향으로 지낸지 거의 15년 가량됩니다. 다만, 재작년 이직한 회사에서 일본 고객사 미팅을 몇 번 참석했다가 제 안에 일본어에 대한 아쉬움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는 자격증에 도전했습니다. 그리고 일 년만에 스스로도 성공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던 2급 자격증을 따서 자신에게 많이 놀라고 있습니다.


물론 JLPT가 진지한 진로를 결정할 때는 그다지 영향력이 없는 자격증이고, 제 처지도 직장인 13년 차로 이제 와서 일본어 능력이 진급이나 업무에 도움이 되는 건 전혀 없지만 제 나름대로 스스로에 대한 평가를 달리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피터 드러커가 생전에 몇 년에 하나씩 외국어를 깊게 공부했다는 글을 읽었던 적이 있는데 평생 개인의 프로페셔널함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사람임을 되짚어보면 아마 외국어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받는 여러 자극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는 것을 느꼈던 바가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이 기회를 바탕으로 그동안 뒷전이었던 외국어 공부를 꾸준히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독자 여러분도 혹시 인생이 무료하다면 외국어를 하나 공부해 보시면 어떨까요?

IP *.143.230.4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76 하찮지만 하고 싶으니까 [2] 어니언 2022.08.25 846
3875 [라이프충전소] 꿀잠 프로젝트를 가동합니다 [4] 김글리 2022.09.02 846
3874 이제 막 인생2막에 발을 디디려는 너에게 [2] 차칸양 2017.10.24 847
3873 [수요편지] 내가 사랑한 치앙칸 [1] 장재용 2019.05.29 847
3872 [금욜편지 91- 일은 진짜 프로답게] [2] 수희향 2019.06.07 847
3871 [금욜편지 122- 책쓰기는 인생전환이다] 수희향 2020.02.07 847
3870 [용기충전소]실패를 장렬히(?) 무찌르는 법 김글리 2020.05.28 847
3869 [월요편지 95] 두려우니까, 그래서 두 명 [1] 습관의 완성 2022.02.14 847
3868 [월요편지 122] 아내와 유튜브를 시작한 이유 [6] 습관의 완성 2022.09.18 847
3867 [금욜편지 21- 심연통과 5: 책쓰기 전략 (상편)] [2] 수희향 2018.01.19 848
3866 [화요편지] 주시는 대로 받겠습니다. [2] 아난다 2019.02.19 848
3865 [화요편지] 보내지 않을 편지 아난다 2019.06.25 848
3864 [화요편지]11주차 미션보드 _스스로의 기쁨으로 열어가는 길 file 아난다 2019.11.12 848
3863 [일상에 스민 문학]-교황님의 트위터 file 정재엽 2017.05.31 849
3862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2편-국민연금) [2] 차칸양 2018.10.02 849
3861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첫 번째 이야기 제산 2018.10.01 850
3860 <목요편지> 나답게 말하는 법 [2] 운제 2019.01.24 850
3859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마음의 문을 여는 빵 2 file [4] 알로하 2019.06.10 850
3858 목요편지 - 아! 가을인가 운제 2019.09.06 850
3857 자녀에게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홈스쿨 철학논술 (2/2) 제산 2018.03.25 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