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불씨
  • 조회 수 99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3년 9월 20일 09시 07분 등록
경기가 별로인 것 같습니다. 회사에서도 민감한 시기인 듯 합니다.
경기가 불황이면 회사에서는 생존과 위기를 강조합니다. 허리띠 졸라매고 열심히 일하지 않으면 모두 죽는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경기가 호황일 때에도 직원들은 마찬가지로 더 열심히 일할 것을 요구받습니다. 물 들어올 때 노 젓지 않으면 다 죽을 수도 있다고 말합니다.
결론적으로 호황일때나 불황일 때나 회사에서는 직원들에게 더 열심히 일하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직원들은 그렇지 않죠.
불황일때는 불안해서 일이 손에 잡히지 않고, 호황일 때는 보너스도 안 주면서 무슨 일을 시키냐고 말합니다.

그래서 경영진에서는 직원들이 더 열심히 일하도록 중간관리자들을 압박합니다.
중간관리자들은 항상 고달픕니다. 위에서 쪼이고, 아래에서 까입니다.
하기로 계획된 일들을 제대로 하는 것이 항상 쉽지 않습니다.
항상 바쁩니다. 단순히 그냥 바쁠 뿐입니다.  비즈니스(business)를 해야 하는데 정작 비지니스(busyness)만 하고 있습니다.

보통 개별 조직의 팀장이 되면서 중간관리자로서 커리어가 시작됩니다.
팀장의 역할에 대한 가장 큰 오해중 하나는 모든 것을 잘 해야 팀장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는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팀장이 되었다면, 팀의 모든 업무를 잘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오해입니다. 물론 팀장의 팀의 업무를 가장 많이 알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모든 것을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것을 아는 것은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인간이기에 모든 것을 알 수 없습니다. 또한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인가를 희생해야만 합니다.
자기 선택이니 가정과 개인생활을 희생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업무적으로도 다른 중요한 것들을 놓칠 수 있습니다.
관리자는 절대 스스로를 만능선수로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팀의 업무가 빵꾸가 났을 때 팀장이 항상 그 업무를 메꿔야 한다면  그 팀은 제대로 된 팀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관리자가 관리하는 영역 중 빈 자리에 자신을 채우는 것은, 팀의 관리자로서 스스로를 직위해제하는 것에 다름 없습니다.

그럼 누군가는 하소연하겠죠.
"그렇게 하지 않으면 팀의 업무가 굴러가지 않는다니깐요!"

맞습니다. 당장 팀의 업무는 안 굴러갈 수도 있겠죠. 하지만 맨날 그 자리에서 구르는 것을 반복하기만 할 뿐입니다. 더 좋은 팀으로서의 성과는 요원해지게 됩니다.

팀장들의 주요업무는 '빵꾸 떼우기'가 아니라 '재창조'가 되어야 합니다.
재창조는 쉽게 말해 개선활동과 새로운 가치 창출입니다.  시간과 여유가 없으면 개선도 없고 새로운 가치도 만들 수 없습니다.
관리자들에게 시간이 남는다는 사실은 나머지 시간이 재창조에 쓰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남는 시간은 낭비가 아니라 슬랙(slack)입니다. 슬랙은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유명저자인 톰 디마르코가 그의 책 <슬랙>에서 사용한 용어입니다. 사전적 의미는 '여유, 느슨한, 이완'을 뜻 합니다. <슬랙>에서 디마르코가 말하고자 하는 슬랙의 의미는 일시적으로 비효율적으로 보이는 느슨함과 여유가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중간관리자에게만 해당하는 얘기는 아닐 겁니다. 장기적인 성공과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서 누구에게나 '슬랙'은 필요합니다. 이전에 없던 새로운 유용함은 바로 무용함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편지에서는 예전에 읽었던 <슬랙>의 내용을 소개해드렸습니다. 

많은 소프트웨어개발회사의 중간관리자들과, 특히 경영진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네요.






IP *.40.127.24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36 목요편지 - 생활의 발견 운제 2020.07.30 915
3635 함께한 기억(4/14 마음편지) [1] 어니언 2022.04.21 915
3634 [수요편지] 사막이 아름다운 이유 [1] 불씨 2022.08.16 915
3633 [수요편지 15- 명함없는 삶] [2] 수희향 2017.10.11 916
3632 안동 가을 햇살 속 관계의 행복을 느끼며(에코독서방 연합 모임) [3] 차칸양 2018.11.06 916
3631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8. 초등 고학년 자녀가 책을 읽지 않습니다. 제산 2019.07.01 916
3630 소점포 창업, 소박하고 디테일한 그림으로, [14] 이철민 2018.02.08 917
3629 지우개 하나 있으신가요 -창- 2017.06.25 918
3628 [화요편지] 나의 기쁨과 세상의 기쁨이 만나는 현장, ‘엄마의 시간통장’ file [1] 아난다 2019.05.14 918
3627 신화는 처음이시죠? - 신화 작가편 제산 2019.09.01 918
3626 새 책 <중1 독서습관>을 소개합니다. 제산 2019.12.16 918
3625 [용기충전소] 멀티페르소나, 팔색조 말고 십색조라 불러주오 김글리 2020.08.06 918
3624 [수요편지] 깨달음은 궁극인가 과정인가 [1] 불씨 2022.12.21 918
3623 아들을 군대에 보내며 [3] 차칸양 2018.08.21 919
3622 [금욜편지 61-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1번 완벽주의자- 특성] file 수희향 2018.11.02 919
3621 철학은 처음이시죠? - 동양철학 제산 2019.07.28 919
3620 목요편지 - 새해 새 마음 운제 2020.01.03 919
3619 [수요편지] 월급쟁이 금욕주의자 장재용 2020.01.14 919
3618 [월요편지 89] 자녀 습관에 관한 부모의 흔한 착각 [1] 습관의 완성 2022.01.09 919
3617 [월요편지 96] 무엇을 하든 2년 이상 지속하면 생기는 일 [1] 습관의 완성 2022.02.20 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