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어니언
  • 조회 수 74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3년 11월 2일 19시 20분 등록

2월 21일 소파 수술을 하고 한동안 많이 아파 누워있는 것밖에 할 수 없었습니다. 무엇보다 열흘 남짓한 시간이 지나면 출근을 해야 하니 낫는데 집중하며 무리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3월이 되어 다시 회사에 출근했습니다. 휴직 기간에 연말이 끼어있어서 제가 없는 3개월 동안 담당 임원이 바뀌어 있었습니다. 다행히 조직 변경은 크지 않아서 기존에 일하던 팀은 그대로였기 때문에 잠깐 멈추었던 업무를 다시 재개한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다행히 이때쯤에는 유산과 관련된 마음을 어느 정도 추스른 상태여서 3개월 만에 만난 동료들을 따로따로 만나 티타임을 가지면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차분히 이야기했습니다.


그리고 우연한 기회에 PT를 한 번 열심히 해보자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임신 과정을 지나면서 몸 상태가 더 좋았다면 여러 고비를 더 쉽게 지날 수 있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 선생님과 상담을 하고 3월 중순부터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일주일에 두세 번씩 PT를, 그리고 거의 매일 헬스장이나 한강공원에서 유산소 운동을 하고, 식단도 건강을 생각한 도시락 위주로 변경했습니다.


무엇보다 빠른 회복을 위해 노력하자고 생각했던 것은, 어쨌든 다시 임신을 하고 싶다는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아이를 갖는 것이 계획이나 생각대로 흘러가지 않을 수도 있음을 체험하고 나서는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최선을 다하고 싶었습니다.


일과 운동을 병행하면서 다행히 노력의 성과가 있었는지 몸도 잘 회복되어 4월 말에는 두 번째 이식을 시도해 보자고 주치의 선생님에게 계획을 받았습니다. 다만, 지난 유산 후 검사에서 혈전이 굳는 증상이 있어서 항응고제 주사를 추가해 보자고 하셔서 그러자고 했었는데, 이 주사가 바늘도 두껍고 약재가 퍼지는 데에도 고통이 심해서 매일 밤 주사를 놓을 때마다 괴로운 시간이었습니다.


이식 예정일인 4월 28일 이전으로 23일부터 매일 항응고제 주사와 처방을 받았는데, 두 가지다 주사기를 사용하여 제가 직접 복부 피하지방에 주입하는 형태였습니다. 이식 전후로 처방이 필요한 주사여서 5월 중순까지 거진 한 달을 처방받았는데 5월 들어설 때부터 배 전체에 멍이 심하게 들어 더 이상 주사를 놓을 자리가 없었습니다. 23일 동안 마흔여섯 개의 주사를 하루도 빼놓지 않고 밤마다 놓아댔으니 그럴 수밖에 없기는 했지만, 만약 이번에도 이식 결과가 좋지 않다면 이 과정을 또 해야 된다고 생각하니 두려움이 컸습니다.그 외에도 이 당시 회사에서 티타임을 가질 때 아이스 음료를 잘 먹지 않았는데, 주사를 놓을 때마다 이를 너무 꽉 물어서 차가운 음료를 먹으면 이가 시렸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사실을 인지하고는 힘을 빼려고 노력은 했지만, 쉽지 않은 과정이라는 것을 체험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실한 일상을 보내면서 자기 자신을 회복하고, 또 그 과정에서 다시 원하는 것을 도전하는 것이 좋은 선순환을 이루며 알찬 봄을 만들어 냈다는 것을 기억합니다. 좋은 일상에서 새로운 시도도 나오는 것이겠지요. 혹시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만난 분들이 있다면, 내면의 일상을 회복하는 방법을 찾아보고 시간을 확보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IP *.143.230.4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 행복숲 칼럼-식물도 선생이 될 수 있습니다.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2006.04.13 8164
55 마음편지 4- "엄마, 나 연기가 재미있어"( 둘째의 대학 합격기) file [9] 소은 2009.01.27 8316
54 장면 [1] 홍승완 2006.03.27 8496
53 단식(斷食)과 단식(斷識) file [5] 박승오 2008.10.20 8556
52 확실하게 실패하는 법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2006.05.15 8584
51 꿈꾸던 사랑의 한 가운데 박미옥 2014.11.14 8606
50 하버드 대학 최고령 졸업생의 연설문 문요한 2006.05.16 8678
49 죽을 때 까지 현직이려면... file [3] 구본형 2008.09.26 8686
48 변하지 않는 그 무엇을 가졌는가 변화경영연구소 2006.04.04 8948
47 공부란 무엇인가? [1] 부지깽이 2013.01.04 8948
46 머물지 않기 [1] 김용규 2012.07.12 9091
45 양자론과 인간의 세계관 file 승완 2013.05.21 9121
44 행복숲 칼럼- 당신 안에는 당신이 있습니다.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2006.04.06 9147
43 오늘을 위한 퍼즐 한 개 [5] [1] 구본형 2006.03.31 9152
42 카르페 디엠(carpe diem)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2006.04.12 9178
41 자신의 한계를 알 수 있는 확실한 방법 [2] 문요한 2007.01.09 9249
40 내 마음 속의 프로크루스테스 죽이기 file [5] [1] 부지깽이 2009.07.03 9256
39 행복은 미래에 있지 않습니다.-행복숲 칼럼<2> [1] 구본형 2006.03.30 9377
38 마르시아스, 오만의 껍질을 벗고 file 부지깽이 2012.03.16 9427
37 왜 이런 시련을 저에게 주십니까? file [1] 문요한 2008.11.18 9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