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빈잔
  • 조회 수 515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4년 1월 29일 13시 56분 등록



멀어져가는 나의 과거.

( 5 )

잠시 엿보는 다른 세상.

+++++

2024.1.28. 일요일.

+++++

아마도 묵은 세배와 새 세배란 말을 

처음 듣는 사람도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사대부(士 大 夫)  집안들의 

오래 된 풍습 이란다.

.

나의 친 할아버님은 고종(高宗) 왕의

배려로 일본 명치 대학을 다녔다고 한다.

결혼 후에 유학을 해서 

매년 방학 때만 되면 집으로 와서 보냈다는데,

나의 아버님 형제 자매들은 모두 년년생이다.

즉, 여름에 와서 자녀 한명씩을 …..

.

덕수궁에 가면 돌에 새겨진 

정1품 부터 정9품까지와

종1품과 종9품이 있는데,

종2품까지 벼슬을 하신것 같다.

내가 추측하기엔 

연속 사극 “ 상도 (商道) “ 를 보면 

대방이 고위 대감을 찾아 간다. 

외할아버님은 그런 대감이 아니였나 하고 상상을 한다.

.

세배를 다니다 보면, 

50%는 외 할아버지와의 관계 이고,

40% 정도는 친 할아버지와 같이 

벼슬을 했던 사람들 같았다.

.

당시의 어린 내가 이해하기로는 

외할아버지와 연관된 집들은 

모두가 부자들이였다.

오래전부터 중국과 무역으로 

부(富)를 축적한 집들이 아닌가 하고

추측을 했다.

.

신년 세배를 하러 다닌 중에는

사극에서 보아 온,  최고 상궁.

그런 분들과 왕 옆에 있던 환관.

그런 분들 집에도 가서 세배를 한 적도 있다. 

이 또한 나의 짐작인데,

친 할아버님은 요즈음 말로 

대통령 부속실에 근무 하다가 

명치대학으로 유학을 간듯하다.

.

이 모든 것은 왕으로 부터 받은 신임장(?). 

왕의 옥쇄가 찍힌 발령장을 보았기에

하는 말이다. 

할머니 두 분은 정경부인 이라는

칭호를  받은 것도 보았다. 

.

지금 생각 나는 것은,  최고 상궁 출신들  

할머니들인데,  어찌 그리들 깨끗하고 

단아하게 앉아들 계시고, 

신비스럽고, 품위가 철철 넘친다고 할까.  

나에게 고마운 것은 세뱃 돈을 많이들 주는 거였다. 

.

1월1일 지나서 틈틈이 인사를 하러 가는 곳이 있다.

조선 왕실 소속 연주자들을 찾아 다녀야 했다.

특히 해금 연주자 한 분이 있었는데, 

그 분과 나의 아버지가 의형제를 맺었단다. 

그 분은 자식이 없어서, 항상 찾아 뵈어야 했다. 

이 분 외에도 아무 것도 모르면서, 

이 분이 저 분도 찾아 뵈야 한다기에 

그리 했기에,  지금의 종로구의 여러 동네를

여기 저기 잘 다녔던 것이다. 

.

이러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나는 종가(宗家) 집 장손(長孫)이기에 보이지 않는 

책임과 의무가 많았던 것 같다.   

+++++

+++

다음의 댓글도 꼭 읽어 보기 바람. 

+



+++++

사대부(士大夫)란 ?

이조 말엽까지의 사대부는 성리학 즉, 

주자학을 중심으로 한 정치력을 갖춘 

학자적 관료다.

따라서 대부는 지식인 계층인 사와 

합쳐져서 문무 관료층을 나타내는 

명칭으로 변모했는데 

사(지식인 士)+대부(관료 大夫)로 합쳐져 

사대부라 불리게 되었다.(위키백과 참조)

.

어린 시절의 나의 기억 속에는 

사대부 집안들은 

육이오 사변을 겪고 난 후 인데도

철저한 예의범절을 지키는 것이

나로선 이해키 어려운 부분이였다.

.

하루 차이로 같은 곳을 두번이나

찾아가서 세배를 한다는게

엄청 귀찮고, 어린 나이에 힘이 들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돈 주머니에 돈이 두둑한걸

만져 보면서 다니기도 했다. 

.


묵은 세배와 신년 새해의 세배는 

모두 음력 설을 기준으로 한거다. 

양력설에 다니는 세배는 따로 있었다. 

이 때는 주로 충무로 주변이거나, 

필동을 위시해서 

적산가옥에 사는 사람들을 찾아 다녔다.

.

'적산가옥(敵産家屋)'이란? 

1945년 8월 15일 일본 패망 후 

한반도에서 철수하면서 

일본인들이 남겨놓고 간 집을

총칭해서 이르는 말이다.

적산(敵産)은 적의 재산이라는 뜻.

.

서울의 대표적인 적산가옥으로

남아 있는 곳이 후암동이다.

.

IP *.1.122.13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39 외로움이 가득한 공간 [1] 문정 2003.03.31 5844
4038 외로움이 가득한 공간 문정 2003.03.31 3876
4037 4월의 주제 - 이력서 구본형 2003.04.03 3992
4036 경쟁과 게임 J 2003.04.03 2810
4035 ---->[re]3 월의 주제 - 논점이 빗나간 글일 수 있지만 중대한 고민 [1] 구본형 2003.04.03 2586
4034 ---->[re]3 월의 주제 - 논점이 빗나간 글일 수 있지만 중대한 고민 [1] 구본형 2003.04.03 3363
4033 ---->[re]여자이기에 겪는 고민이겠지요.. [1] 김민경 2003.04.04 2281
4032 ---->[re]여자이기에 겪는 고민이겠지요.. [1] 김민경 2003.04.04 2804
4031 -->[re]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이력서. [1] 김애란 2003.04.04 3671
4030 -->[re]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이력서. [1] 김애란 2003.04.04 3829
4029 -->[re]이력서-덕분에 편안한 자기소개서작성해봅니다. [1] 김기원 2003.04.05 2796
4028 -->[re]이력서-덕분에 편안한 자기소개서작성해봅니다. 김기원 2003.04.05 2372
4027 우리는 분재의 삶을 살고있지 않은가? 김기원 2003.04.07 2618
4026 -->[re]게으른 살리에르 김경옥 2003.04.07 2941
4025 ---->[re]게으른 살리에르-10년전 제모습을 보는것 같읍니다. [1] 김기원 2003.04.07 3320
4024 ---->[re]게으른 살리에르-10년전 제모습을 보는것 같읍니다. 김기원 2003.04.07 2869
4023 어느 늙은 자연주의자의 이력서 문정 2003.04.08 3743
4022 -->[re]어느 늙은 자연주의자의 이력서 구본형 2003.04.10 3242
4021 도서 구입의 당위에 대해서 조언을 구합니다. 가을하늘 2003.04.10 2675
4020 -->[re]도서 구입의 당위에 대해서 조언을 구합니다. 오경호 2003.04.13 2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