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불씨
  • 조회 수 572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4년 3월 13일 19시 39분 등록
살다보면 이런 얘기를 듣곤 합니다.

"좀 더 거시적인 시각으로 봐!"

나무만 보지 말고 숲을 보라는 얘기죠. 그런데 다음과 같은 말은 잘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네요.

"좀 더 미시적인 시각으로 봐!"

사실 이렇게 말하지는 않고, 디테일을 보라든지, 꼼꼼하게 보라는 얘기는 곧잘 하죠. 하지만 어감이 꼭 같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제가 몸담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세계에서는 나무 하나하나를 보는 것 역시 참 중요합니다. 나무 하나하나가 모여서 숲을 이루듯이 제대로 된 코드 한줄 한줄이 모여야 정상동작하는 소프트웨어가 만들어집니다. 코드 한 줄에 점 하나만 잘못 찍어도 소프트웨어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울창한 나무숲에 썪은 나무 하나 있어도 아무 문제가 없는 것과는 다릅니다.

미시를 디지털로 보는 시각이 있습니다. 디지탈적 미시는 지금 이 순간 순간의 스냅샷입니다. 우리는 디지털 세계에 살고 있는 듯 하지만, 디지털은 아날로그를 샘플링한 것에 불과합니다. 디지털이 일상을 지배하고 있지만 우리가 사는 세계의 본질은 아날로그입니다. SNS의 화려함은 디지털화된 스냅샷에 불과합니다.

디지털은 직선이고 아날로그는 곡선입니다.
자연에는 직선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미시의 본질 역시 곡선입니다.
우리의 삶 역시 직선이 아닌 무수한 점으로 이루어진 곡선입니다.
다만 큰 점들 사이의 수많은 작은 점들을 무시해버리면 직선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삶을 바라보는 오류는 이런 직선적 사고 - 즉 거시적 사고가 지나칠 때 발생합니다.
때론 크고 직선적인 거시적 관점과 사고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삶의 목표나 마일스톤을 세울 때 그렇습니다.
거시적 사고는 현대인의 특성이라고 합니다.
아직 미개한 원시부족 사회의 경우는 거시적인 사고가 부족하다고 하네요.

수많은 작은 알갱이들이 모여야 덩어리가 되듯이 수많은 미시가 연결되어 거시가 됩니다.
미시는 삶의 하루하루, 그리고 지금 이 순간 순간입니다.
기실 미시와 거시는 상대적 개념이 아닙니다. 거시가 미시가 되고 미시가 거시가 됩니다.

거시적 관점은 가지고 있되, 지금 이 순간에 충실할 것 - 오늘 저에게 되뇌이는 한 마디입니다.

남은 한 주도 알찬 시간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IP *.242.225.20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56 개인사를 관통하는 성장과 퇴화의 패턴 file 승완 2011.09.13 4053
855 정말로 의아한 일 file [1] 승완 2011.10.04 4053
854 신의 음성을 가진 멘토를 가질지니 [3] 부지깽이 2011.11.25 4053
853 나의 노래를 부르면 된다. file 최우성 2013.01.07 4054
852 자동차를 파는 스파이더맨 file [5] 신종윤 2009.03.09 4061
851 음악이 다시 힘을 줄 것 입니다 [1] 구본형 2006.12.15 4065
850 얼굴 하얀 힘센 여인 file [2] 구본형 2009.02.27 4068
849 당신의 실력이 늘지 않는 이유 문요한 2011.05.18 4068
848 호랑이의 도움으로 file [4] 부지깽이 2010.01.01 4070
847 태몽 혹은 인디언식 이름 [8] 구본형 2008.02.15 4073
846 문명은 모든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문명이어야 한다 부지깽이 2011.09.16 4074
845 성숙의 기회, 그림자와의 만남 file 승완 2011.11.15 4074
844 올곧은 유연함 file [2] 김용규 2009.10.22 4078
843 낙엽, 그 간결함 [3] 구본형 2006.10.19 4079
842 새들의 노래 소리가 듣고 싶다면 file [5] 김용규 2010.05.06 4079
841 훌륭한 역할모델의 전형, 파블로 카잘스 file [8] 승완 2010.02.02 4081
840 여러분, 감사합니다 [12] 관리자 2013.04.19 4081
839 오늘 아침 아주 기분이 좋다 [2] 부지깽이 2011.02.25 4084
838 길이 끝나는 곳에서 다시 길은 시작하고 file [2] 문요한 2008.10.28 4086
837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변화가 필요하다 [3] 오병곤 2007.03.05 4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