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예원
  • 조회 수 3453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09년 6월 21일 22시 56분 등록

삶의 여행법

이곳은 호주 시드니 중심가의 한 호텔. 지난 6일 간의 멜번과 근교 여행을 마치고 시드니에 도착해 이 글을 쓴다. 출국일에 기적적으로 되살아난 노트북을 인천공항으로 향하기 직전 애프터서비스 센터에서 성공적으로 찾아 이곳까지 가져왔기에 가능한 일이다.

여행의 시작은 나였다. 여행을 제안했고, 나라도 제안했으며, 상세 일정도 예약도 모두 내가 직접 했다. 그 많은 나라 중에 왜 하필 호주였을까? 덥지 않아서? 남반구에는 한 번도 가 보지 않아서? 호주로 10일 간의, 그야말로 우발적인 여행을 오면서 ‘그곳에 한번 정착해 살아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한 번도 하지 않았다면 거짓말일 테다.

참 많은 이들이 이민을 떠난다. 새로운 곳에서 시작하는 편이 낫겠다는 생각들 때문인지 요새 부쩍 주변의 젊은 친구들이 이민을 준비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제로 차근차근 준비해 실행에 옮기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일이 년 나갔다가 되돌아온 동료들도 꽤 된다. 미국은 잘 모르겠지만, 호주나 캐나다의 경우 젊은 인재일수록 유리하다니 너무 각박한 우리 사회 보다는 나가서 한 번 해보겠다는 생각들이 여전히 팽배한 것 같다.

나는 외국에서 사는 것에 대한 동경을 버리는 작업을 최근 몇 년간 거치고 있다. 이번주 과제 도서였던 <오쇼 라즈니쉬 자서전>에서 지적된 것처럼, 동양의 관계성에 질려버린 나는 십대 초반부터 끊임 없이 국외로의 탈출을 꿈꾸었다. 나를 알지 못하는 새로운 사회로 물리적으로 이동하는 것만이 나를 숨통 트이게 해줄 거라 믿었던 것 같다. 말 안 통하고 물 설은 남의 땅 생활이 쉽지 않다는 걸 지난해에야 비로소 깨달았다. 똑똑한 척은 혼자 다 하면서 얼마나 늦되었는지. 그래도 알게 된 게 다행이다.

이번 호주 여행에서 마주치는 이민자들이 그리 부러워 보이지 않았던 건 한국에서라면 고민하지 않을 여러 문제를 그들은 이곳 땅에서 매일 마주치고 있을 거란 짐작 때문이었다. 어떤 것을 피하고자 나간다면, 그 것이 세계 어느 구석에 가도 더 견고한 모습으로 도사리고 있을 거라는 생각에 미치자, 나는 내 오랜 꿈 하나를 또 내려놓기로 결심했다. 어디서든 따라다닐 고민이라면, 나를 수용할 수 있든 없든 간에, 내 고향 땅에서 한 번 대면해 보자고 다짐하게 된 것이다.

사람은 자기가 생긴 대로 여행한다. 겨울 코트를 껴입고 호주 대륙 최남단의 해안을 달리고 있는 나는, 지난해 유럽 구석구석을 누비던 나와 거의 다를 바 없는 나 그대로다. 귀 뒤로 그냥 흘릴법한 말에 파르르하고 상처받기 일쑤에다, 보고 느끼는 것도 지난해 유럽 어느 역, 성을 보았을 때랑 무엇 하나 다를 바 없다. 그 와중에도 계산은 빨리 돌아가 지난해부터 외국 여행에 써온 돈을 계산해 보니 아찔할 정도다. 그 과정에서 물론 많은 것을 배우고 느꼈겠지만, 더 알고 삶을 겪고난 뒤 나가지 못한 것이 아쉬워지기도 한다.

무조건 외국에 나가 체류하는 그 시간에 벼르던 외국어 하나를 더 배워 익히고, 더 넓은 그물망을 쳐 새로운 정보의 원천을 내 것으로 만드는 편이 돈을 많이 들이는 것보다 나은 일임을 이제는 조금 알겠다. 이제 단순한 여행자가 아닌, 새로운 세상을 품에 안는 세계인을 꿈꾸겠다. 내가 서 있던 바로 그 자리에서. 다시.

IP *.185.66.196

프로필 이미지
희산 장성우
2009.06.21 23:25:01 *.176.68.156
아인, 좋은 시간 보내고 있기를 빌어.

호주 O사에도 예전에 같이 일하던 지인들이 많이 가 있는데 기술이민이라 영주권 받기가 상대적으로 쉽기는 해도 대부분이 아이들을 위해서일 뿐 각자 개인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는 보이지 않아. 특히, 아직도 그들의 무의식 중에 살아있는 백호주의를 상대하는 것은 질릴 정도이고....

경험에 들어가는 돈과 시간은 그 숫자적인 크기가 아무리 커도 써봐야 그 가치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는 어쩔 수 없는 투자로 인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애. 써 본 후에야 보다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온 몸으로 고민할 수 있으니까.

아인 돌아보면 '아인 번개' 함 할까 하는데 어떠신감?^^ 돌아올 때 시드니 공항에서 번개용 와인 한 병 사오는 쎈쑤 미리 요청 헤헤헤^^. 

남은 여행 기간 좋은 시간 보내고 잘 돌아오삼. See ya then~~~. 
프로필 이미지
이승호
2009.06.22 01:02:31 *.168.110.20
세상 한가운데서 사랑을 외치다 라는 영화 제목(맞나 모르겠네)이 생각나네.
반갑게 봐유~
프로필 이미지
2009.06.22 14:00:01 *.12.130.72
아인아. 좋은 시간 보내는 것 같아 듣기 좋다...^^
내가 오래 살던 곳 시드니에서 아인이는 또 어떤 생각을 했을지 이야기 나누고 싶기도 하고.
희산 오빠 말처럼 이번에 한국 들어오면 "아인 벙개" 하자.
밤새 수다 떨어보자고...^^

그럼 건강히 다녀오고 와서 함 보자~ ^^
프로필 이미지
2009.06.23 13:48:04 *.118.47.142
아인~, 언제 오는감?
거그는 춥다고.. 그래도.. 마음만은 따뜻하겠지?^^

나도 너른 세상.. 다양한 세상을.. 동경해 왔는데.. 지금도.. 유혹을 떨치지 몬하고 있는데..
아인~, 이 땅에 돌아오믄..ㅎㅎ 아인 벙개?가 기다리고 있을 것이야.. ^^
프로필 이미지
혁산
2009.06.23 15:19:30 *.216.130.188
아인 부럽다
그러나 위험한 충동질이야.
나도 떠나고 싶다~ 일이 손에 안 잡히는
너무나도 화창한 날씨다~ 부럽다 야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817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839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864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914
5202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921
5201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934
5200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940
5199 서평 - 음식의 위로 [2] 종종걸음 2020.07.21 1955
5198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959
5197 나의 하루는...? [5] 왕참치 2014.09.15 1960
5196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962
5195 1주1글챌린지_'아이와 함께 하는 삶'_01 [9] 굿민 2020.05.24 1962
5194 감사하는 마음 [3] 정산...^^ 2014.06.17 1963
5193 걷기와 맑은 날씨 [2] 희동이 2020.07.05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