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명석
- 조회 수 3253
- 댓글 수 5
- 추천 수 0
9월 13일에 방영된 SBS스페셜 ‘매력DNA'에서 재미있는 실험을 보았다. 제작진은 5명의 대학생을 모집하여 특정장소를 찾아가는 간단한 미션을 맡긴다. 그리고 첫 번 째 길찾기가 끝난 후 멤버들 간에 매력순위를 투표하게 하고는, 그 결과를 당사자들에게 거꾸로 알려준다. 적극적이고 재치 있는 태도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사람에게 꼴찌를 했다고 하고, 반대로 제일 낮은 표를 받은 사람에게 가장 큰 지지를 받았다고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어서 두 번 째 길찾기를 하게 한다.
두 번 째 길찾기를 하는 참가자들의 태도는 많이 달라져있었다. 제일 매력있다는 말을 들은 참가자는 훨씬 적극적이고 유머러스한 태도로 길찾기를 주도하여 ‘정말로’ 매력있는 사람이 되었다. 반면에 처음에 매력적인 태도를 보였던 사람은 뒷전에 서서 사태를 관망하는 쪽을 택했다. 이 간단한 실험은 자기이미지가 어떻게 태도의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안정적인 자기이미지를 갖고 있는 사람은 보다 적극적으로 상황에 대처함으로써 새로운 국면과 기회를 만들어낸다.
소극적이거나 자신감이 없고 부정적인 자기이미지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자기 안에 갇혀 있다. 자기가 남들에게 어떻게 비칠지 전전긍긍하느라 자연스럽게 자신의 장점을 표출하지 못한다. 사소한 실수를 확대해석하여 과도하게 힘들어하는가 하면, 다른 사람들의 세계로 들어서지 못한다. 그러니 건강한 관계를 맺기 어렵고, 발전적인 기회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런 사례와 경험이 누적되면 인생 자체가 달라지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인생이 성격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성격이 인생을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감히 삶의 기본은 자기이미지라고 생각한다. 이 세상 모든 관계는 내가 나와 맺고 있는 관계를 드러낼 뿐이다.
키스 하라리와 아일린 도냐휴 로빈슨이 쓴 ‘나는 어떤 사람일까? ’에는 강력하고 안정된 핵심 자기감을 찾아가는 데 대한 팁이 많이 나와 있다. 저자들은 우선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해 타인이 나를 보는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볼 것을 권한다. 내가 생각하는 나와 다른 사람이 생각하는 나를 통합할 수 있다면, 나에 대해 더 깊은 지식을 얻을 수 있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친밀감과 유대감을 크게 발달시킬 수 있다.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의 입장에 서봄으로써, 우리를 언짢게 하는 사람들에게도 공감을 베풀 수 있게 해 준다.
저자들은 ‘진정한 나’는 내적 자기 이미지와 외적 자기 이미지의 중간쯤에 있다고 주장한다. 또 내 성격을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은 내가 아니라 나와 가까운 사람들이라고 한다. 당신은 자신의 내면에 있는 소망과 두려움, 감정과 집착을 가장 잘 인식하고 있는 사람은 자신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당신의 연인과 친구는 당신의 내면에 숨겨진 사실도 알고 있고, 당신이 다른 사람과 교류할 때 나타내는 표현과 행동도 보고 있다. 이 두 가지 관점을 결합한 것이 당신의 개인적인 의견보다 훨씬 공정하고 완벽하다는 것이다.
그러니 마치 거울을 들여다보듯이 타인이 나를 보는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라. 그럼으로써 우선 자신에 대해 알라. 그리고 계속해서 최선의 방식으로 주변 상황에 적응해 나가라. ‘나, 마이크로 코스모스’에 의하면 뇌의 신경세포는 거의 평생 동안 새로 생겨난다고 한다. 그 결과 성격도 언제고 변할 수 있다. 사람은 자신의 운명에 순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무엇이 될 지 각자 자유롭게 정해야 한다. 이제 문제는 더 이상 “나는 누구인가” 가 아니라, “나는 누가 될 수 있는가”이다. 성격심리학자인 고든 올포트 역시 성격을 고정된 특질들이 아니라 평생에 걸쳐 성장하는 과정으로 이해했다. be가 아닌 becoming이다.
내적 이미지와 외적 이미지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이상적인 자기 이미지이다. 온갖 장애물을 극복하고 성공에 도달하는 사람들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거기에 대한 심리학자들의 연구결과는 이렇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모습을 창조하여, 그 이미지에 부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간다는 것이다. 자신의 이상적인 자아를 생생하게 떠올리는 사람은 이상적인 자기와 현재의 자기 사이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게 된다. 이것이 바로 성공으로 가는 첫 걸음이다. 그대, 자신이 원하는 삶의 주인이 되고 싶다면 건강하고 미래지향적인 자기이미지부터 구축하라. 여기에서 자신의 운명을 결정하는 힘이 나온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212 | 나의 10대 풍광 - 깊은 꿈 [9] | 혜향 | 2009.09.20 | 3792 |
1211 | 인도 영화 <Black>을 보고.. [8] | 수희향 | 2009.09.20 | 3973 |
» | [사자3] 우선 나와의 관계를 정립하라 [5] | 한명석 | 2009.09.19 | 3253 |
1209 | 숙인의 10년 후 풍광 [6] | 숙인 | 2009.09.19 | 3076 |
1208 | 습관을 개선하려면 [2] | 백산 | 2009.09.18 | 3113 |
1207 | 잘하고 싶은 것과 잘 하는 것 [7] | 백산 | 2009.09.17 | 3831 |
1206 | 9월 off수업-효인 10대 풍광 [6] | 효인 김홍영 | 2009.09.17 | 3098 |
1205 | 10년의 회고, 10대 풍광 [19] | 정야 | 2009.09.16 | 3258 |
1204 | 나의 10대 풍광을 그리면서 [12] | 혁산 | 2009.09.15 | 2983 |
1203 | 9월 과제 [10대 풍광] 내 나이 마흔에는 [10] | 예원 | 2009.09.15 | 3144 |
1202 | [다시 쓰는 나의 10대 풍광-천 년의 잠에서 깨어나...] [12] | 먼별이 | 2009.09.14 | 3203 |
1201 |
9월 오프 수업 내용 ![]() | 書元 이승호 | 2009.09.14 | 3070 |
1200 | 나는 지금 여기에 있다. 9월 off 수업 [12] | 백산 | 2009.09.13 | 3171 |
1199 | 9월 오프 수업을 마치고 [6] | 수희향 | 2009.09.13 | 2982 |
1198 | 칼럼 21 - 9월 오프 - 미래의 회고 [10] | 범해 좌경숙 | 2009.09.13 | 3638 |
1197 | [사자2] 매력이라는 것 [4] | 한명석 | 2009.09.12 | 3146 |
1196 |
걸어서 하늘까지 ![]() | 백산 | 2009.09.12 | 3272 |
1195 |
Wishing bell ![]() | 백산 | 2009.09.12 | 3620 |
1194 |
[여행기] 배추벌레, 나비를 꿈꾸다.6 ![]() | 춘희 | 2009.09.10 | 4360 |
1193 |
[여행기] 배추벌레, 나비를 꿈꾸다.5 ![]() | 춘희 | 2009.09.10 | 37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