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한명석
  • 조회 수 3071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09년 10월 11일 11시 43분 등록
 전에 나는 사람들의 단점을 잘 소화해 내지 못했다. 콘도자랑을 하는 대학동창을 속물이라고 생각하고, 자기 이익을 잘 챙기는 동료원장을 탐욕스럽다고 생각했다. 내가 마음을 준 사람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니 작은 단점을 그 사람 인격의 전체적인 문제로 확대해석하여 등을 돌리곤 했다.  그러다보니 주변에 사람이 없다.


아직은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것에  위기의식을 느끼지는 않는다. 아직도 의례적인 모임보다는 혼자 노는 것이 낫다. 사람들이 나누는 친밀감의 위력에 대해 내가 잘 모르나 보다. 그래도 나이가 들면서 조금씩 달라지는 것을 느낀다. 사람들 사이에 속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강한 인간은 없다는 것을 서서히 깨닫고 있는 것이다.


그러던 차에 정혜신의 그림에세이를 보다가 정신이 번쩍 들었다. 정혜신은 그림에세이 ‘책 한 권 한 줄’에서 자기 주변의 다독가를 소개하며 글을 시작한다. 그는 일단 눈에 들어온 책은 크게 가리지 않고 구입하고 본다고 했다. 씀씀이가 헤퍼서가 아니라 “책 한 권에서 한 줄만 건지면 성공한 것인데 무얼 그리 따지냐, 이것저것 따질 시간에 책을 한 권 더 읽는 것이 낫다‘는 소신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란다.


이어서 정혜신은 ‘책 한 권 한 줄’ 정신을 사람에게도 적용시키고 있었다. 그저 술 한 잔 할 사람을 선택하면서 배우자 고르듯이 하거나, 카풀할 사람을 고르면서 평생지기를 고르듯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한 사람에게서 바람직한 점 한 가지만 있으면 서로 어울릴만하다는 말에 접하며 아차! 싶었다. 나의 과도한 의미중심이 철퇴를 맞는 기분이었다. 딱 내가 그랬다. 좋고 싫은 것이 너무 분명하다 보니, 모든 것을 all or nothing으로 나누곤 했다. 그야말로 어쩌다 술 한 잔을 하는 사이에도 평생지기를 기대한 꼴이었다.


정신분석학자 융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우리 마음속에 감추어진 채로 남아있는 인격을 ‘그림자’라고 불렀다. 융에 의하면 그림자는 ‘감추어지고 억압되는 동시에 열등한, 죄 많은 인격으로서 그 가장 밑바닥 단계는 동물의 충동성과 더 이상 구별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림자는 의식될 기회를 잃었으므로 다분히 원시적인 심리적 특징들이다. 때로 미숙하고 열등하고 부도덕하다는 인상을 주기도 해서 자아가 자기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기를 꺼리게 된다. 하지만 융은 그림자를 상실하는 것은 인간 존재의 구체적인 현실이 상실된 동시에 삶을 인식하는 데 있어 전체성이 파괴된 상태를 뜻한다고 하였다. 영화나 책에 등장하는 ‘그림자 없는 사람’이 유령에 불과한 것처럼, 그림자는 인간의 존재조건인 셈이다. 


그러니 누군가의 단점을 수용하지 못하는 것은, 그의 실제 모습을 보지 못하고 내가 보고 싶은 모습만 보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림자가 없는 인간이 없는데 그림자를 부정하는 것은 그 사람의 진짜 모습이 아닌 나의 희망이 투사된 허구를 보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단점과 그림자를 동일시하는 것은 논리의 비약일 수도 있지만, 단점이 억압된 인격 즉 그림자에서 촉발되는 결핍을 드러낸다고 생각하면 그다지 다른 말도 아닐 것 같다.


누구나 사랑을 시작할 수는 있지만, 성숙한 사람만이 사랑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 말이 비로소 이해가 되었다. 한 사람의 그림자까지 껴안는 일은 환상이 아닌 실제로 나아가는 길이니, 성숙한 사람의 표상이기도 했던 것이다. 전에는 어떤 사람의 예기치 않은 측면에 접하면 “어떻게 그럴 수가 있지?” 하고 팔팔 뛰다가 마음을 거두어 들였다면, 앞으로는 “그럴 수도 있지”하고 넘어갈 수 있을 것 같다. 그야말로 한 사람에게서 바람직한 점 한 가지만 발견하면 기꺼이 어울릴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정치적으로 능숙한 사람은 누구에게서나 흥미로운 점을 발견한다고 한다. ^^


참고도서: 고영건 안창일, 심리학적인 연금술,  시그마프레스 2007

IP *.108.48.236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09.10.11 23:04:43 *.131.127.100
글을 올리고 나서 한 선생님의 글을 읽게 되었는데 ^^ 
'우연'하게도 비슷한 내용이네요, 
선생님 글이 훨씬 좋아서 솔직히 부끄럽네요 
그래도 선생님 글로 인해 배움이 있어서 좋습니다. 고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09.10.12 08:23:06 *.108.48.236
정말 비슷한 내용이더라구요.
하지만 내 글이 더 좋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글 쓴 사람이 드러나야 진솔하고 따뜻한 글이 될 텐데
나는 요즈음 '나'를 드러내는 글을 쓰는 방법을 잊어버린 것 같아요.^^
많이 쓰기도 했구요.
프로필 이미지
혁산
2009.10.12 02:31:24 *.126.231.221
잠이 잘 안와서 좀 일찍 일어나
선생님 글을 새벽에 접하게 되었네요.
정신 버쩍 듭니다. 졸음이 싹~
한 사람의 그림자까지 안아줄 수 있다면
그런 사람이 주변에 가까이 있다면
행복한 사람이라고 불러도 좋겠네요.
그림자에 영감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09.10.12 08:27:06 *.108.48.236
나도 '그림자'라는 개념이 흥미로워요.
내가 주로 지니고 살아온 정체성이 더 이상 힘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싫증이 날 때
그림자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하나 취해라~~
이렇게 말하는가 하면

이 생에 내가 타고난 소명이 무엇인지 애써 찾을 때- 아마 중년이겠지요-
그림자의 원시적이고 신비적인 힘을 복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더라구요~~
프로필 이미지
혁산
2009.10.12 20:08:15 *.126.231.221
최근에 융을 읽다보니까 내 안에 다른 내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아니 느껴지네요.
원래의 나와 이 사회속에 익숙해진 나
중요한건 원래의 내가 사회속의 나를 움직이느냐
사회속의 내가 원래의 나를 움직이느냐 인것죠.
예전에 웃기는 소리로 치부했던 이야기들이
자세히 들여다보려 하니 이해가 되곤 합니다.
그 그림자 더 자세히 살펴봐야 겠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2 [칼럼 23] 한 놈만 팬다. file [1] 송창용 2007.09.10 2979
1251 [사자 3- 관계: 과연 난 창조적 소수인가?] [6] 수희향 2009.10.26 2979
1250 [칼럼16] 불편이 우리에게 주는 혜택 [8] 余海 송창용 2007.06.29 2980
1249 [16] 나도 무엇이 되고 싶다. [8] 써니 2007.07.02 2980
1248 (39) 할 일을 다하기까지는 죽지 않는다. [11] 박승오 2008.01.07 2980
1247 [26] 욕심과 선택 [3] 2008.10.26 2980
1246 [사자 13] <휴머니스트 인터뷰 2- 1장:창조적 소수의 개념> 수희향 2010.02.15 2980
1245 자연으로... [1] 희산 2009.08.02 2981
1244 고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러피언 드림화 그리고... [1] 書元 이승호 2009.08.02 2981
1243 [23] 최선이 아닌 최선의 선택 [7] 최지환 2008.10.12 2982
1242 또 다른 자신의 모습 - 아바타 [1] 정야 2010.01.25 2984
1241 '놓아버림'이 전환을 줄수 있을까? [5] 박경숙 2010.10.31 2987
1240 웬만한 과일나무 다 있다 [2] 정야 2013.09.12 2987
1239 쌀과자_#34 개구리동영상 [2] 서연 2012.12.24 2989
1238 (27) 젊은이의 특별한 권리 [6] 박승오 2007.10.09 2990
1237 웅변학원의 변천사 - 스피치 전성시대 file [1] 샐리올리브 2012.12.31 2991
1236 [15] 두 눈에 흐르는 이 눈물의 의미는 무얼까? [9] 정야 2009.07.20 2993
1235 [2-19] 첫 명절 풍경 [1] 콩두 2013.10.13 2993
1234 걸어서 하늘까지 file 백산 2009.09.12 2995
1233 [칼럼023] 러너스 하이, 그 '뽕맛'을 위하여 [4] 香山 신종윤 2007.10.01 2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