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예서
  • 조회 수 352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11월 9일 11시 46분 등록

창조적 소수 교류 원칙,  첫 번째 단계 - 대상 깊이 바라보기

챕터2장 에서 함께 가야할 창조적 소수를 어떻게 알아보는지를 읽었다면, 3장에서는 그들과 어떻게 교류해야 할 것인지를 고민해 봐야 할 차례입니다.

창조적 소수와 어떻게 교류할 것인가? 이 주제는 누군가의 마음을 얻으려고 노력해 본 지가 언제인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 저의 단속적인 관계망을 되돌아보게 했습니다. 매번 새로운 사람을 만나 다시 그들과 업무를 지속해야할 필요가 없는 단발성 업무의 특성도 있었지만, 내향적인 제 성격 탓이 더 컸습니다. 때문에 원한다면, 인적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이었으나 그들과 무엇을 도모하기 보다는 단순한 관계망에 만족해 왔습니다.

 그러던 제가 ‘관계’ 라는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커뮤니티를 열고, 구성원들의 아픔을 바라보게 된 것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울고 웃는 가장 큰 이유가 ‘관계’ 에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 것입니다. 창조적 소수의 관계와 조금 달라 보이나 궁극적으로는 같은 혜안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창조적 소수자는 어떤 사람들일까요. 저는 누구나 창조적 소수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잠재되어 있는 창의성을 발견해주는  깊은 눈의 스승과, 재능을 인정해주는 동료들 사이에서 자기다움의 결과물을 낼 수 있다면, 그가 바로 창조적 소수자이겠지요. 다만 거기에 이르기까지 몰입된 열정을 지속할 수 있는지의 개인차가 결국은 창조적 소수자이냐 아니냐를 가름하게 될 것입니다.

어떻게 창조적 소수자와 교류할 것인가의 첫 단계는 그 대상을 ‘깊이 들여다보기’입니다. 막연한 끌림의 친목도모가 아니라, 창조적 소수로 최상의 시너지를 내며 함께 가려면, 그에 대한 모든 것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제갈공명과 유비의 관계는 창조적교류의 대표적 예입니다. 유비가 세상을 떠날때  제갈량에게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그대의 재주는 조비보다 열 배는 월등하니 반드시 천하를 안정시키고 나라를 세운 후 마침내 대사를 이룰 것이다. 참으로 짐은 그대와 서로 잘 아는 까닭에 거침없이 말하노라. 그대는 앞으로 태자가 도울 만하면 돕되, 그럴만한 재덕이 없거든 그대가 성도의 주인이 되라.’ 『사람에게 구하라』 중에서

 제갈량에 대한 유비의 대단한 신뢰의 장면이 아닐 수 없습니다.  재능을 알아보고 삼고초려를 해 제갈공명을 얻은 유비는 생의 마지막 장면에 나라를 부탁하는 유언을 남길 수 있을만큼 제갈량을 알게 되었습니다.

유비가 말하는 ‘안다’ 는 말에 우리는 주목해야 합니다. 이제 막 관계맺기를 시작하려면 무엇보다 그에 대해 알아야합니다. 시간이 필요한 '앎'은 교류를 하면서 차차로 알게 되겠지만,  먼저 그 대상의 가족관계, 개인적인 기호식품, 취미생활에 이르기까지 그에 관한 모든 것에 누구보다 큰 눈을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첫 번째 단계에서 대상에 대한 연구서 10장 정도를 기록할 수 있을  정도로 시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관계맺기는 이상속의 인물이 아닌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일상을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또한 관계를 맺겠다는 것은 시간을 나누겠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유비가 제갈공명을 안다고 말하는 기쁨의 순간을 맞이하려면 먼저  대상의 내, 외부 환경을 아는 것, 그를 제대로 이해하는 첫 걸음입니다.
당신 곁에 지금 반짝이는 창조성을 가진 매력적인 이를 발견 했다면 그에 관한 모든 것을 기록하고, 관찰하십시오. 첫 단계의 ‘대상 깊이 바라보기’ 는 그들과의 즐거운 작업을 위한 탐구의 시작입니다.


추신: 제가 창조적 소수자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으니 작업이 더 막막합니다. 
그러나 기획 의도대로 창조적 소수자중 한 사람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풀어 나가볼 생각입니다.
 어려운 숙제를 함께 풀게 될 사자 프로젝트팀, 그중 3장을 함께 고민할 혜향과 흥미롭고 즐거운 여행길이 될 수 있도록 즐겨 보겠습니다. 함께 하게 되어 반갑습니다.

IP *.71.76.25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7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51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1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90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8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800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6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