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야
  • 조회 수 315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11월 30일 10시 45분 등록

 

<창조적 소수를 얻는 법>이라는 주제로 진행 사자 프로젝트 세미나가 두 번 있었다. 창조적 소수의 요건으로 동료로서의 전문성, 친구 같은 끈끈함 그리고 꿈과 가치관이 중요하며 타고난 재능. 기질도 중요하다는 정의가 나왔다. 이 정의에 이의를 제기하기 전에 목차 구성 2장에 제기된 나는 과연 창조적 소수인가? 창조적 소수를 어떻게 알아볼 것인가?’ 라는 질문이 더 문제로 다가왔다.

 

그런 고민을 아셨는지 스승님은 모든 질문과 이의를 잠재울 수 있는 말씀을 했다. 현재 창조적 소수의 사례를 연구하라는 것이다. 책의 구성이 관념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객관적이고 살아있는 사례와 연구로 내용을 구성시킨다는 것이다. 이 방법이라면 일단 사례가 풍부해야 한다. 풍부한 사례연구가 있어야 필요한 테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우리는 각자 관심 있는 분야의 창조적 소수의 사례를 찾기로 했다. 나는 아직 결정하지는 못했지만 아이들 관련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고 있다.

 

새로운 방향 제시로 걱정거리가 사라진 것은 아니라 새로운 걱정거리가 생겼다. 사례 연구분석에서는 기초 자료를 모으는 자료 수집단계가 매우 중요한데 생전 인터뷰는 해보지 않는 내가 인터뷰는 할 수 있을까? 좋은 정보를 이끌어 낼 수 있을까?

 

적절한 연구 대상을 선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선정된 창조적 소수 집단에 대해 원하는 정보 습득할 수 있는 조사방법이 더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 방법에 대해 다음 세미나 시간에 논의 하지만 세미나에 참석하기 앞서 사자 프로젝트에 맞는 조사방법은 어떤 것이 적당한지 미리 생각해 본다. 아무리 인터뷰 대상이 좋다 하더라도 효과적이지 못한 조사는 시간 낭비와 같기 때문이다. 또한 기초적인 기본데이터가 탄탄해야 좋은 데이터를 축출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작업에 많은 정성을 쏟아야 할 것이다.

 

자료를 위한 조사방법에는 조사방법으로 현존하는 자료 분석법, 직접 대면해서 인터뷰하는 면접법, 워크샵 형식의 포커스 그룹 조사법, 지면을 이용한 설문조사법이 있다. 조사의 목적. 기간. 대상, 예산 등을 고려하여 방법을 달리 해야겠지만 우리 프로젝트에는 자료 분석법과 인터뷰, 그리고 설문조사법이 적당해 보인다. 한가지 방법으로 전체 내용을 파악하기는 어려우며 대상에 따라 방법이 달라야 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조사방법을 통합적으로 활용 할 때 분석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각 방법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지면을 통한 설문조사의 경우 설문 목적을 명확히 제시하고 효과적인 문항 작성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면하는 인터뷰 형식에는 많은 정성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자 프로젝트 성격상 심층적이고 살아있는 자료를 수집을 위하여 인터뷰조사는 꼭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인터뷰가 직업인 저널리스트들은 훌륭한 인터뷰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빈틈없는 사전준비가 필요하며, 주의 깊게 들어야 하며 무엇보다 상대의 마음을 열어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다. 여기에 적극적인 자세와 호기심, 배짱과 끈기가 있어야 훌륭한 인터뷰어라고 말한다.

 

또한 성공적인 인터뷰는 인터뷰 가이드 작성과 비례한다. 먼저 인터뷰의 목적을 정리하여 내용을 숙지해야 한다. 인터뷰가 익숙하도록 상세한 질문표를 만들어 질문 중요도와 답이 쉬운 순서로 되어있는지 체크 해야 한다. 실재 인터뷰에서는 질문표 대로 진행되지 않기에 중요 질문을 요약해 두는 것이 편리하다. 인터뷰 가이드가 적당한지 팀 내 테스트를 거쳐야 하며 동시에 인터뷰 대상자에 대한 정보수집을 하며 발생 가능한 문제에 대처하는 방법 또한 강구해 두어야 한다.

 

인터뷰 수행 팀 구성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각자 조사 대상을 가지지만 효율적인 인터뷰 수행을 위해서 21조의 팀 구성이 좋을 것 같다. 한 명은 인터뷰 진행자로써 질문하고 대화를 의도하는 방향대로 이끄는 역할을 하고, 또 한 사람은 인터뷰 기록자로서 인터뷰 중에 일어난 일을 기록하며 보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21조로 인터뷰를 수행할 경우 각자의 담당 역할에 충실할 수 있기에 보다 정확하고 명확한 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실 나는 인터뷰 사례조사가 두렵다. 우리는 창조적 소수의 깊은 관계 형성 과정에 일어난 갈등과 그 갈등해소 방법까지 구체적이고 그야말로 심층적인 인터뷰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더 철저히 빈틈 없이 사전준비를 해야 할 것이며 어떻게 좋은 분위기를 형성하고 깊은 마음을 소통할지 고민해야 한다. 그것이 두려움까지 떨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또한 전문 인터뷰어는 아닐지라도 프로다운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IP *.11.176.203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