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효인
  • 조회 수 1159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12월 22일 11시 18분 등록

궁정식 사랑

중세 이후 서구문학의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로 자리하게 된 것은 궁정식 사랑이다. 궁정식 사랑은 우연히 ‘첫눈’에 반해 자신의 목숨까지도 기꺼이 바치려하는 남자와 도도하면서도 냉정한 귀부인과의 관계를 다룬다. 궁정식 사랑에서 나오는 기사도 정신에 대해 하우저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기사계급의 새로운 생활감정이 가장 순수하게, 또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는 것은 이 시대의 특색인 ‘기사도의 덕목’과 좁은 의미에서의 ‘귀족적인 덕목’이다. 한편으로는 패배자에 대한 관용, 약자의 보호와 부인에 대한 존경, 훌륭한 범절(courtoisie)과 여인에 대한 멋스러운 예우(galanterie) 등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오늘날 말하는 이른바 ‘신사’(gentleman)에게 남아 있는 특성들, 예컨대 너그러움, 돈이나 이해관계에 대한 초연함, 그리고 어떠한 희생이 따르더라도 경우 바르고 체면에 어긋나지 않게 행동하려는 태도 등이다.”

궁정식 사랑은 3가지의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첫째 고결하게 만드는 사랑의 힘, 둘째 귀부인의 우월적인 위치, 셋째 결코 채워질 수 없는 사랑과 영원히 증가하는 욕망이다. 이러한 3가지 특색으로 인해 궁정식 사랑은 연인들을 품위있게 만들고 사랑하는 여인을 존중하며 열정의 욕망을 끝없이 타오르게 한다.

궁정식 사랑의 3가지 특색과 더불어 궁정식 사랑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여성숭배’와 ‘사랑을 통한 고결한 품성을 갖게 되는 남자’이다. 다이앤 애커먼은 ‘천개의 사랑’에서 궁정풍 연애의 진수는 오래 지속되는 설렘, 즉 간절한 열망으로 인한 일종의 황홀한 떨림이라고 했다. 기사는 에로틱한 열정을 승화시킨 고상한 감정에 푹 빠져 고상한 감정으로 인해 도취되어 있어야만 자신의 열렬한 감정을 끈기 있게 유지하며, 더 열심히 노력하고, 더 큰 위험을 무릅쓰며, 더 고귀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궁정식 사랑의 핵심은 상대 여성으로부터 고조된 감정을 꾸준히 유지하기 위해선 인내심과 수완을 발휘해 육체적 욕망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저 조급한 섹스를 원하는 사람은 이러한 사랑의 게임에서 탈락할 수밖에 없다.

왜 궁정식 사랑에서 여성은 숭배되는 위치에 있게 되며 남성은 고결한 품성을 갖게 되는 것일까? 중세의 교회는 가부장적인 특성을 갖는다. 교회는 일련의 계시된 율법과 가르침만을 제공했는데 이는 남성적이고 이성 중심이었다. 교회가 의례와 도그마의 집단적 경험을 제공했지만 살아 있는 하나님을 개인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여지를 찾을 수는 없었다. 이러한 남성 중심적 경향은 여성성에 대한 내적 갈망을 갖게 하였다. 궁정식 사랑은 관계지향적이고 품위 있는 감정, 헌신, 영성적인 경험, 아름다움의 추구와 같은 여성성의 가치의 추구에 기반을 둔다고 할 수 있다.

IP *.10.109.22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 폴란드로 간 북한 전쟁고아들은 어떻게 됐을까? file [2] 정승훈 2020.07.22 1184
51 1주1글챌린지_아이와함께하는삶_09 [4] 굿민 2020.07.24 1038
50 마음의 평화 [2] 불씨 2020.07.26 1031
49 2019 출간 프로젝트에서 나에게 주신 조언 되새김질 [5] 콩두 2020.07.27 1368
48 공부에 대하여_칼럼 [1] 어니언 2020.07.29 1039
47 경제, 심리학, 영화로 보는 38명의 살인방관자 [2] 정승훈 2020.08.01 1059
46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2] 불씨 2020.08.02 1386
45 1주1글챌린지_아이와함께하는삶_10 [4] 굿민 2020.08.04 1038
44 소년원 독서 강의를 앞두고 [2] 정승훈 2020.08.08 1054
43 [12.11.09] 나는 걷는다 [1] 어니언 2020.08.09 1045
42 과거와 미래가 그대를 속인다면 [1] 불씨 2020.08.10 1060
41 서문_임산부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책읽기 콩두 2020.08.11 1240
40 1주1글챌린지_11 굿민 2020.08.12 1057
39 [에드와르도] 나는 어떤 사람인가? 정승훈 2020.08.13 1173
38 어쩌다 남중생 수업풍경 - 복수혈전 [3] 지그미 오 2020.08.15 1031
37 걷기예찬_걷는 시간에 관하여 [2] 어니언 2020.08.16 1054
36 지금 나는 어떤 때인가? file [3] 정승훈 2020.08.20 1061
35 어쩌다 남중생 수업풍경- 장난이 서로에게 상처로 [2] 지그미 오 2020.08.23 1161
34 실패를 다루는 방법 [3] 불씨 2020.08.23 1039
33 1주1글챌린지_12_휴일 이른아침에 file [4] 굿민 2020.08.23 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