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희향
 - 조회 수 339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1장.            창조적 소수의 개념
Q: 휴머니스트를 시작하게 된 동기는 무엇이고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입니까? 
u       기본적으로 좋은 사람하고 함께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u       역량이 뛰어난 사람보다, 세상 가치관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들과 ‘깊은 관계’를 맺으며 일하고 싶었다. 
u       대한 민국에 이런 출판사가 있었으면 하고 늘 바랬었고, 결국 직접 출판사를 차리게 되었다. 
u       이런 출판사가 있으면 편집자들이 즐겁게 일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었고, 기존의 구조적 모순과 현장에서의 문제 의식을 최소화하고 한 단계 앞으로 발전할 수 있는 출판사를 만들고 싶었다. 
Q: 휴머니스트를, 일반 동업의 형태와 구분 짓는 요소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u       새로운 Business를 창조하는 베이스로 우린 늘 “Friendship”을 강조한다. 
u       일방적인 지시가 아닌,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기적으로 논의하고 토론한다. 
u       구조적 도그마에 빠지지 않기 위해, 지속적으로 대화를 유지하려 노력하며, 심지어는 좋은 일을 함에 있어서도 팀원들간의 사전 동의를 얻으려 노력한다. 
u       출판계라는 곳이 도저히 일반적인 상업적 이해 관계만으로 이해되는 곳이 아니다. 가령, 저자와 편집인/출판사의 관계에선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출판사가 있더라도 그 관계의 깊이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조직과 편집자들 사이에도 이 관계는 예외가 아니다. 
u       즉, 대우나 연봉보다는 서로의 가치관이나 삶에 대한 기본 태도 등이 맞지 않으면 도저히 함께 일할 수 없는 곳이 출판계라고 볼 수 있겠다. 
Q: 휴머니스트의 경험에 미루어, 창조적 소수를 정의한다면? (예. 저희 연구소에서는 창조적 소수를 “유사한 꿈과 목표를 이루기 위한 비슷한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끼리 깊게 사귀어 멀리 가는 관계”라 하였습니다). 
u       창업 시절부터 지금까지 “Friendship에 바탕을 둔 Partnership”이라는 모토를 지니고 있다. 
u       창조적 소수라면 사회와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조직이 사회의 주인공이 아닌, 창조적 개인이 사회적 정의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u       진정한 창조적 소수들의 역량이 꽃피우기 위해선, 조직은 개인들의 역량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불필요한 개인들간의 소모전을 최소화하는 역할에 치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u       즉, 창조적 소수는 자율적인 분위기에서 개인이 지닌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5212 |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                                                                                                                                                                                                                 앤 | 2009.01.12 | 205 | 
| 5211 |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                                                                                                                                                                                                                 지희 | 2009.01.20 | 209 | 
| 5210 |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                                                                                                                                                                                                                 지희 | 2009.02.10 | 258 | 
| 5209 |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                                                                                                                                                                                                                 앤 | 2008.12.29 | 283 | 
| 5208 |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                                                                                                                                                                                                                 앤 | 2009.01.27 | 283 | 
| 5207 |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                                                                                                                                                                                                                 지희 | 2008.11.17 | 330 | 
| 5206 |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 정승훈 | 2017.09.09 | 2072 | 
| 5205 |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 모닝 | 2017.04.16 | 2077 | 
| 5204 |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 오늘 후회없이 | 2017.04.29 | 2094 | 
| 5203 |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 뚱냥이 | 2017.09.24 | 2132 | 
| 5202 |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                                                                                                                                                                                                                 해피맘CEO | 2018.04.23 | 2136 | 
| 5201 |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 아난다 | 2018.03.05 | 2167 | 
| 5200 | 
                    
                         
                        #6 역사가 있는 풍경_정수일                     |                                                                                                                                                                                                                 정수일 | 2014.05.18 | 2175 | 
| 5199 | 그땐 울어도 될 것 같구나 [7] | 유형선 | 2013.07.15 | 2176 | 
| 5198 | 엄마가 필요해 [4] | 왕참치 | 2014.12.22 | 2177 | 
| 5197 | 단상 in Mongol [3] | 차칸양 | 2013.08.20 | 2178 | 
| 5196 | 지혜의 열매 [8] | 어니언 | 2014.06.09 | 2178 | 
| 5195 | #42 엔지니어 - ing [2] | 희동이 | 2015.02.09 | 2179 | 
| 5194 | #15 등교_정수일 [10] | 정수일 | 2014.07.20 | 2180 | 
| 5193 | 그래 마음껏 바닥을 쳐보자 [6] | 녕이~ | 2014.06.02 | 218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