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0년 4월 9일 08시 34분 등록
첫 줄,  
글의 운명은 이미 여기서 결정된다.   승부처다.

첫 줄이 될 만한 모든 문장을 채집해 두어라. 
책을 읽다가, 거리를 걷다가.  똥을 누다가,  
산에 오르다가, 밥을 먹다가,  우울한 날 술을 퍼마시다,  
어디든 좋다.  그대가 머무는 모든 곳에서,
좋아하는 것을 수집하듯 
첫 줄을 수렵해라.  
그리고 빼곡하게 비밀의 장부에 걸어두고 모아 두어라.   

두 번째 컬럼부터는 첫 문장을 볼 것이다.   
밋밋한 글, 맛 없는 술이다.   
읽는 이의 시간을 낭비하게 하지마라.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은미
2010.04.09 08:40:50 *.109.61.147
'첫 문장을 채집해 나만의 비밀장부 만들기 '즐거운 놀이~~ 시작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긍정 은주
2010.04.09 13:47:15 *.219.109.113
더 많이 더 깊이 생각에 생각을 거듭해 보겠습니다. 휴우 ~~~
프로필 이미지
된다 우성
2010.04.09 15:53:24 *.30.254.28
알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0.04.09 17:53:17 *.67.223.107

*죽음이 주제로 잡힌 후 ,  길 위에서 알려주신 " 최고의 첫 문장" 입니다.

나는 죽음 담당이다.

죽음이 내 생업의 기반이다.  내 직업적인 명성의 기반도 죽음이다.
나는 장의사처럼 정확하고 열정적으로 죽음을 다룬다. ..................
나는 죽음과 어느정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죽음을 다루는 비결이라고 옛날부터 생각했다. 그것이 법칙이다. 죽음의 숨결이 얼굴에 닿을 만큼 죽음이 가까이 오게하면 안 된다.

                    * 마이클 코넬리 의 <시인-  자살 노트를 쓰는 살인자>> 에서*
프로필 이미지
재엽`
2010.04.12 10:19:28 *.216.38.10
펜싱 마에스트로 = 죽임 마에스트로(?) 
정말 아이러니 하네요. 말씀하신것과 같이 공개적으로 하는 죽임... 죽임에 관한 연구.

펜싱 마에스트로. '죽음'과 '죽임'의 또 다른 미학의 탄생.  
프로필 이미지
2010.04.12 19:55:23 *.67.223.107
그러니 백산은 죽임에 대한 책을  쓰고
왕누니믄 칼을 써야된다니깐요.....ㅋㅋ

백산이 지구를 횡단하며 써놓는 댓글이 너무 재미있당
자주 봅시다.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4.09 21:14:38 *.75.22.184

나도 죽음을 다룬다.
나는 살아있는 죽음을 다룬다.
더 정확하게 나는 '죽임'을  다룬다.
그것도 모든 사람이 보고 있는 앞에서 공개적으로  하는 죽임,,,
나는 거의 30년동안 죽임을 연구했다.^^ 

흐흐흐~~
나는 '펜싱마에스트로' 다.
프로필 이미지
물렁 범
2010.04.09 20:12:00 *.67.223.107
ㅋㅋ 겁먹기는요....

이 사람은 죽음 담당 형사예요.
첫문장을 보는 순간 홀딱 반해서 빨려들어가는 대표적인 표현이라고......

프로필 이미지
재엽
2010.04.09 18:11:53 *.216.38.10
소름이 쫘악~~~
프로필 이미지
병곤
2010.04.09 21:58:44 *.34.156.47
쥑이는 문구이는 하지만
좌샘하고는 잘 매칭이 안되어, 음..
발랄한 죽음(? 이게 맞는 표현인지?)이 느껴져서
여하튼 죽음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는 사람일수록
인생의 깊이과 내공이 분명하다는 것은 나이 먹을수록 더 피부로 느낍니다.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4.09 19:06:45 *.129.207.200
박남준 시인의 에로시를 들으며, 
시詩에도 어느 정도 형식이 있지않나 싶었습니다.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꺼내는 공식 같은 것.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2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7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51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2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90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8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801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6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