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박상현
  • 조회 수 2981
  • 댓글 수 15
  • 추천 수 0
2010년 4월 19일 00시 37분 등록

카메라를 들이댈 일이 많아졌다. 겨우내 편식에 시달린 시신경들이 동공을 쥐락펴락 하며 부산을 떤다. 봄의 기미들이 동면의 이부자리를 걷어내며 눈가에 자꾸 궁뎅이를 들이민다. 참다 못한 네 가족이 일요 산행에 나섰다. 집에서 15분 거리인 일원동 대모산에는 목련에, 진달래며 벚꽃이 제법 피었다. 앵모나무에는 매화와 닮은 꽃들이 팝콘처럼 열렸다. 평소 걷는 걸 싫어하는 아들놈이 오늘은 왠지 허허실실하며 유랑객 태세다. 산행의 가장 큰 목적을 어찌 알았는지, 기특한 아이에게 연신 카메라를 들이댄다. 찍다 보니 앵글의 무게중심이 어느새 하늘로 향했다. 파란색이 눈에 밟힌다. 아이의 표정을 하늘호수에 담고 싶다. 하늘은 배경인 듯 주인공인 듯 위로 뻗은 꽃가지들 사이로 곁눈질을 하곤 했다.

 

모처럼의 산행이 파랑에 대한 기억을 떠오르게 했다. 블루는 10대에서 20대초까지 내 옷의  메인 테마였다. 옷가지라고 해봐야 변변치 않았지만 파란색을 선호한 것은 사실이다. 선택의 여지가 없는 국방색의 나날들을 보내고 사회에 막 복귀했을 때 누나로부터 10만원권 수표를 받았다. 옷 사입으라고 준 거금을 들고 동방플라자에 갔다. 5월말쯤이었을거다. 스스로 내가 왜 이럴까싶었다. 골라 놓은 반팔티 색깔이 가관이었다. 팔목부근은 파랑, 몸통은 주황, 라운드넥은 초록으로 뜨거운 국민성을 가진 어느 나라의 국기같았다. 옷 뿐만이 아니었다. 검정 브랜드 마크가 찍힌 짙은 보라색계통의 운동화를 매칭시켰다. 다행인지 아닌지 속옷에 대해서는 별 충동이 일어나지 않았다.

 

훗날 컬러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후 색깔에 얽힌 나의 심리를 찬찬히 뜯어본 적이 있다. 나는 A형의 혈액형에 MBTI유형으로 INTP. 혈액형 얘기는 총각시절에 작업멘트로 활용하긴 했지만 지금은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하여간 이 정도 얘기하면 휙 지나가는 이미지. 바로 그게 나였다. 내향ㆍ조용ㆍ과묵. 조용하고 안정된 느낌을 주는 파랑이 나답다고 생각했다. 모범적인 학교생활을 하느라 자아를 돌아볼 틈이 없었던 나는 빛과 어둠이 분화되기 전의 배아기에 있었다. 헌데 온통 카키색으로 물든 세상에서 2년을 넘게 지내는 동안 억압과 결핍에 대한 반작용이 뒤늦은 색의 사춘기를 불러 왔던 것 같다. 반팔티는 일종의 무의식의 외면화였던 것이다. 단색의 경계가 일순간에 무너지자 파스텔의 시대가 왔다. 울긋불긋 꽃대궐을 옷에 그려보고 싶었다. 봇물이 터진 파동은 시간이 갈수록 안정을 찾았지만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불 같은 연애의 감정에 사로잡혔을 때 나는 꽃무늬 티셔츠로 그 기쁨을 드러냈다.

 

최근에는 4년 전 쯤의 일이 기억에 남는다. 당시 나는 팀장과 인연이 맞지 않아 힘든 회사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하루하루가 버거운 일상이었다. 그 때 구입한 짙은 보라색 남방이 있다. 보라는 빨강과 파랑의 조합이다. 색채심리학적으로 보라색은 감정의 앙양과 감정의 침체를 융화시켜 균형을 잡으려는 욕구라는데, 내가 딱 그랬다. 답답한 현실을 딛고 새로운 국면을 만들어내고 싶었던 마음이 그 옷에 고스란히 남아 있는 듯 하다. 

 

올해 다섯 살이 된 딸아이는 핑크홀릭이다. 말이 터지기 시작했을 때부터 유독 핑크를 찾는다. 아이 기호에 맞춰 속옷부터 신발, 젓가락통, 자전거에 이르기까지 온통 분홍 천지다. 주위에서 핑크를 여자의 색깔로 강조한 적이 없으니 타고난 기호색이 아닐까 추측해 본다. 핑크는 보통 행복의 에너지를 표출하는 색이라고 한다. 그럼 아이는 잘 자라고 있는건가. 색이라는 게 본능적인 감각의 영역이자 이데올로기의 영역이다 보니 컬러를 통해서 사람을 이해한다는 게 가끔 자연스럽지 않아 보일 때도 있다.

 

분명한 것은 오늘 대모산의 하늘이 잊었던 무엇인가를 발굴했다는 것이다. 그것은 20여 년 전의 블루와는 또 다른 것이었다. 아직은 거시기로 밖에 표현할 수 없는 안타까운 마음을 칸딘스키의 한마디로 갈음한다.

 

파랑은 깊어질수록 우리를 무한한 것으로 이끌며, 순수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초감각적인 것에 대한 그리움을 일깨운다.”

IP *.236.3.241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4.19 07:23:03 *.227.177.59
무라카미 류의 '투명에 가까운 블루'가 생각나네요. 이 책은 무라카미 류가 대학시절에 썼습니다. 영롱하고 아름답지요. 색을 언어로 결정화하려는 노력이 젊음인 것 같아요. 색 뿐만 아니라, 잡히지 않는 것을 잡을려는 노력. 

나이 들어서, 그런 노력을 체념하지요. 세속화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고요. 근데 형은 여전히 잡히지 않는 색에 대한 갈망이 있으시네요. 

제가 보기에, 상현형은 브라운이 어울려 보여요. 듬직하면서도, 구수한, 정감어린, 

파란색은 저와 어울릴 것 같네요. 차갑지요, 하지만 전 빨간색을 지향합니다. 뜨겁고 싶지요. 형의 바라는 색은 무슨 색인가요?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19 10:07:29 *.236.3.241
파란색만큼 퇴폐적인 색도 없을 걸 ㅎㅎㅎ 밖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끝을 모르게 침잠해 들어가는 욕망의
아우성이라고 할까. 네 표정이 차갑다고 하지만, 초롱초롱한 눈매가 일순간 흔들리면 그건 빨간색 루즈보다
훨씬 강렬하지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재엽
2010.04.19 08:00:47 *.216.38.10
하늘을 바라 볼 수 있는 여유, 그리고 하늘을 통해 바라본 빛깔에 대한 통찰, 잘 읽었습니다. 다만, 글이 좀 서둘러 끝난것 같아서 좀 아쉽네요. 글을 통해 더 많이 알아갔으면 하는 바램이 있어요. 상현님은 블루도, 퍼플도, 그리고 인건님께서 추천하신대로 브라운도 다 어울리세요. 어떤 색이든 세상을 향한 따뜻한 시선이 느껴지네요. 앞으로의 칼럼, 기대할께요!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19 10:11:42 *.236.3.241
관심가지고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연재중이신 컬럼 재밌게 읽고 있습니다.
저도 불문학 전공인데 왕년에 재엽 선배와 같은 열정을 가져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제 코가 석자인지라 무심했습니다. 열심히 읽고 댓글 올리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4.19 09:28:25 *.219.109.113
 내향ㆍ조용ㆍ과묵. 조용하고 안정된 느낌을 주는 파랑이 나답다고 생각했다.

아직은 잘 모르지만, 내가 본 상현은 노랑, 주황, 분홍이 더 어울리는 사람인 것 같은데......

타고난 성품은 유모와 재치 그리고 눈에 장난끼가 숨어져 있는데

그걸 짙은 파랑으로 덮어버리고 밑에 숨은 연한 색을 감추려고 하는 것 같아.

그래 이 컬럼이 바로 너다워~ 아마 너의 공주님이 분홍을 사랑하는 이유는

너의 잠재된 유전자의 나타남인 것 같은데..... 너의 모습을 딸에게서 찾아봐!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19 10:19:38 *.236.3.241
사실 그 이상을 봐 주셔서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

있는 걸로 따지면 불 같은 성질의 빨강도 감추어져 있지요ㅎㅎ
하여간 색을 단정지어 볼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사물에는
양면이 있기 마련이니까요~
프로필 이미지
2010.04.19 11:41:12 *.106.7.10
'보라는 빨강과 파랑의 조합이다. 색채심리학적으로 보라색은 감정의 앙양과 감정의 침체를 융화시켜 균형을 잡으려는 욕구라는데, 내가 딱 그랬다. 답답한 현실을 딛고 새로운 국면을 만들어내고 싶었던 마음이 그 옷에 고스란히 남아 있는 듯 하다.'

그런거예요? 나 보라색 아주 좋아하는데... ^^
옛날(?)에 파란색 좋아하다가 그닥 어울리지 않는 것도 같고 붉은 색은 좀 강하고 어울리지도 않는 듯하고.
언제부터인가 보라색을 좋아하게 되었어요. 보라색도 다양한 색감이 있지요. 파랑에 가까운 청보라색도 있고 분홍에 가까운 라일락 색도 있고, 자주도 있고.
전 자주색쪽 보다는 청보라색과 퍼플 쪽을 좋아해요.

오빤~ 음,
파랑색은 너무 차가워서 오빠 색은 아닌 것 같아요. 무언가 좀더 깊은 색이 더 들어가야 할 것 같아요.
오빠가 찾아가는 오빠의 색이 나도 궁금해지네 ^^
지난 번 시기별 좋아했던 색상에 대한 칼럼 이후 색에 대한 두번째 글 잘 읽었슴다 ^^ 
프로필 이미지
2010.04.19 12:19:17 *.106.7.10
ㅎㅎㅎ, 우리 다 자진해서 코가 빠진 사람들!
근데 오빠가 쓰는 컬러 연재 재밌을것 같아요, 애독자 한 명 예약이요!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19 11:53:38 *.236.3.241
상황과 연관지어 보면 그렇다는 것이고, 나두 보라색 좋아혀. 자주도 좋고, 청보라도 좋고 ^^

내 자신이 컬러에 대해서 별로 보수적이지 않아서 좋아.

컬러를 소재로 컬럼을 함 연재해 볼까....내 코가 석자이긴 한데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4.19 18:23:29 *.30.254.28
브라운, 레드, 블루...등등.
지금은 그대가 무지개색으로 보이니,

좀 더 그대를 알게 되면, 
딱 맞는 컬러를 붙여줄께..^*^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4.19 19:47:08 *.219.109.113
색깔이 없는 무색 박상현. ㅋㅎㅎ

그중에 제일은 최우성 ㅎㅎㅎ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19 18:51:00 *.236.3.241
제 안에서 이 색 저 색이 두서없이 아우성치고 있는 거 보이세요 ㅎㅎ

그 중에 제일은 최우성이라고 하네요. 슈~웅. 돌 날라오는 소리.....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4.19 20:12:53 *.236.70.202
내가 보기엔 열정의 색 빨강도, 도전의 색 파랑도, 창의의 색 초록도 다 잘 어울려요.
ㅋㅋ
눈치채셨나?
오빠 결국은 빛의 옷을 입게 되실 것 같다구 말할 참 맞아요!   ^^

적청녹은 빛의 삼원색!!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4.20 13:12:45 *.236.70.202
이 세가지 색의 조합으로 세상의 모든 색들이 피고 진다는 의미였구만..
그래도 주리를 틀으셔야겠담 기꺼이...emoticon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20 09:10:51 *.236.3.241
빨파녹이 합쳐지면 흰색이라고 들었다^^

흰색옷을 입게 될 것이라는 얘기는......

그니까 시방 나보고  빨리 죽으라는 얘기렷다~~_._

고연 것, 심히 주리를 틀어라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52 칼럼6. 아마추어, 꿈을 이루다! [9] 낭만 연주 2010.04.19 2998
1551 [컬럼] 탐험가, 최우성 [10] 최우성 2010.04.19 3079
1550 <꿈을 실천하는 힘 1> '칼럼'쓰기 [8] 이선형 2010.04.19 2929
1549 응애 5 - 죽음의 미학 ( Ars moriendi ) [5] [1] 범해 좌경숙 2010.04.19 3598
1548 칼럼6. 기록을 기록하다. [10] 맑은 김인건 2010.04.19 2370
» <컬럼6-2> 당신의 하늘은 어떠했습니까 [15] 박상현 2010.04.19 2981
1546 라뽀(rapport) 10 - 서른명의 무써운(?) 할머니들 [3] [3] 書元 2010.04.18 2917
1545 도반 [13] 이은주 2010.04.18 3653
1544 [먼별해석1] <캠벨의 구석기 Vs 신석기 신화비교> [1] 수희향 2010.04.17 3230
1543 < 오만한 예술가의 초상 - 샤를르 보들레르 > 4. [10] [1] 정재엽 2010.04.17 4340
1542 [사자 17] <창조적 소수의 만남: 목표지향 Vs 사람먼저> [1] 수희향 2010.04.17 3112
1541 응애 4 - 무슨 말을 하면 좋을까? [6] 범해 좌경숙 2010.04.16 3050
1540 [패러독스경영 #1] 내 삶의 거울 [8] 송창용 2010.04.16 3009
1539 컬럼2-1: 정과실천(定課實踐) [3] 희산 2010.04.16 2962
1538 감성플러스(+) 감탄에 대하여 file [2] 자산 오병곤 2010.04.16 3713
1537 응애 3 - 바람이 불어와 [6] 범해 좌경숙 2010.04.14 3230
1536 < 오만한 예술가의 초상 - 샤를르 보들레르 > 3. [8] 정재엽 2010.04.13 3640
1535 응애 2 - 보다 냉정하게 보다 용기있게 [13] 범해 좌경숙 2010.04.12 3375
1534 1인 1주 1 컬럼 [14] 부지깽이 2010.04.11 3183
1533 <컬럼 6> 변화 이야기(관점의 전환을 중심으로) file [6] [2] 박상현 2010.04.09 4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