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백산
  • 조회 수 2789
  • 댓글 수 17
  • 추천 수 0
2010년 5월 17일 19시 48분 등록

나는 이 말을 하고 싶기 때문이다.


‘너의 승리를 축하한다’
 
 
오랜 친구와 선수를 놓고 이야기가 오갔다.
 
친구 : “ 글쎄 다 좋은 데, 기술도,,, 전술도 괜찮은데... 배짱이 좀 부족하지 ?”
나 : “ 하이드만(세계챔피언으로 친구의 제자다) 의 베짱 절반만 있으면 되는데, 그렇치? ^^ ”
친구 : “하 하 하... ”
나 : “나는 고민하고 있다. 그게 밀어부쳐서 되는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렇다고 그냥 놓아 둘 수도 없고... 나에겐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친구 : “그만 하면 훌륭하다. 그 이상은 무리다. 나도 어쩔 수 없었다. ”
나 : “ 무엇이 기술에 생명을 불어 넣는가?”
친구 : “글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뛰면서 스스로 깨달아야 겠지!”
나 : “그에게는 유럽의 선수들처럼 기회가 많지 않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어.”
친구 : “ 왜? ”
나 : “ 이젠 내가 시간이 없어. ”
친구 : “그렇군...!”
나 : “그게 필요해, 두려움을 넘어 설수 있는 ‘절박함!’ 그게 필요해, ”

 
늘 고민한다.
 
무엇이 기술에 생명을 불어 넣어서 살아있게 하는가... 무엇이 그것을 그냥 몇 개의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이 아닌 그 상황과 순간의 느낌이 살아 있는 생생한 동작이 되게 하는가?
나는 그것을 선수에게 요구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것이 내가 해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가르칠 수도 없는 것이고 강요해서 되는 것도 아니다.
 
선수들이 경계에 도달하면 늘 끝없는 질문과 함께 답을 찾고 있었다.
나의 독백은 이어진다.
 
“알고있나? 야전에서 최고의 검법은 무엇인가?” “속전속결이다.”
“그럼 실제 전쟁보다 더 첨예하고 다양한 이 시합에서 이기는 최고의 검법은 무엇인가?”
“당연히 간결함과 기동성이지”
“그럼 그렇게 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지?”
“직격타를 가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는 것”
“그래, 그런데 왜 안 되는 거지? 왜 다가 가지 못하는 거지?”
“직격타를 가할 수 있지만 당할 수도 있거든!”
“그거야 당연한거지, 목숨을 걸어야지 .. 아니 그럼, 안전하게...? 안전하게 이길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알잖아?”
 
‘“너, 왜 그렇게 망설이게 되는가? 왜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서지 못하는가? 그렇게 두려운가? 그러나 네가 그 한 걸음을 좁히지 못하면 지난 십 년간의 너의 노력은 거기서 끝난다.”
 
“ 왜냐고, 그걸 질문이라고 하냐? 네가 뛰어난 만큼 상대도 뛰어나단 말야... 이건 동네 운동회가 아니라고...“
“아직 부족해서 그렇다고 그래서 더 배워야한다고, ”
“그거야 당연하지... 검을 들고 있는 한은 훈련과 수양을 계속해야 돼! 그러나 그게 기술이나 전술이 부족해서는 아니라고, 그건, 지금만으로도 충분하다. 기술은 더 이상 필요 없어,,.전술,, 지금으로도 충분해...”
“내가 바라는 것은 그 기술과 전술에 생명을 불어넣는 거야...“
“ 그게 뭐냐고... 바로 튼튼한 심장이지... brave heart 그 전사의 심장 말이다.”
“네가 그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하면 네가 가진 모든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네가 그 한 걸음을 더 내 딛지 못하면, 네가 견디고 싸워 이끌어 온 지난 10년은 의미가 없어진다.”
“그 한 걸음이 잘 차려진 밥상에 다가가는 한걸음으로 착각하지마라. 10년 세월의 무게와 고통이 담겨 있다는 것을 잊지 마라.“
“어떻게 해야되냐고... 나는 너의 답을 몰라, 다만 나의 해답은 그랬었다.”
“‘죽으면 살리라!’ 나는 늘 그렇게 싸워서 이기든지, 아니면 죽고 다시 태어났었다.”
“이해한다고,,, 알고 있다고,,, 택도 없는 소리, 그런데 왜 못하지? 내 말뜻을 진정으로 알고 있는 자는 지금 너처럼 말하지 않는다. 네가 그렇게 말하는 것은 아직 네가 모르고 있기 때문이야! ”
“ 그러나 나는 그것을 전해 줄 수 없다. 실전의 그 순간에 마치 목숨을 걸고 하듯 두려움과 만감이 교차하는 그 느낌은 가르칠 수가 없단 먈야...”
 
나는 늘 그런 순간에 할 수 있는 유일한 처방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선택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영혼을 잃고 심장의 고동소리를 기억하지 못하는 삶을 살겠는가? 내가 알기로 생명을 연장하는 것이 삶은 아니다. 분명히 기억하라, 지금 하지 못하면 영원히 하지 못한다. 모든 순간은 언제나 단 한 번 뿐이다. ”
 
늘 마치 지옥이라도 맞닿아 있는 듯 죽을 것만 같은 그 두려움, 그 순간 앞에서 늘 그렇게 말한다.
 
“언제나 기회는 단 한 번뿐이다. 망설이고 머뭇거리다가 도망치듯 밀리다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지는 거,,, 내게 그건 말야,,, 일생을 두고 기억 할 때마다 후회하는 그런 고통스러운 일이다. 기회를 두고 두려움 앞에서 망설이다가 어쩌지도 못하고 스스로 패배한 그 수치스런 기억.... 그 기억 머리 속에서 지울 수가 없다. 그건 물릴 수도 없고 되돌릴 수도 없다고... 생각이 날 때마다 굴욕스럽고 수치스럽다. 나는 네가 절대로 그렇게 살지 않기를 바란다.“

때때로 많이 안다는 것이 사람을 더욱 두렵게 한다. ‘무식한 놈이 용감하다’고 초보자 수준에서는 신나고 용감했는데, ‘아는 게 병’이라고 중급을 넘고 나면 그래서 뭘 좀 알게 되면 아주 어려운 고비를 이어진다. 도저히 방법이 없는 것이다. 이리가도 막히고 저리가도 막히고, 기다려도 안되고 도망가도 안 되고 진퇴양난이다. 어설프게 달려들면 개죽음이다. 머뭇거리다 구석에 몰리면 낭떨어지다. 본인의 수준으로 상대는 그야말로 철옹성이고 완벽한 신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선수들이 이 한 고비를 넘기는데 몇 년이 걸린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앞에 두고 그 한 걸음을 위해 광야를 40여년을 헤매어야 했던 것처럼 말이다. 그 평범함에서 비범함으로 가는 길목... 수없이 많은 선수들이 도중하차하고 쓸쓸하게 이름없이 사라져간다.
 
“괜찮아,,, 다음에 잘 하지 뭐...”
내가 가장 싫어하는 말이다. 오늘 잘 안되는 데 다음에 잘 할 수 있나, 천만에 말씀 만만에 콩떡이다. 나는 그 무책임한 말을 가장 싫어한다. 나는 그렇게 말했었다.
“ 오늘 여기까지... 마음이 아프면 죽여라, 그 썩고 허약한 정신은 죽여서 없애버려, 본인도 힘들지만 곁에서 바라보는 사람도 힘들다. 죽고 다시 태어나라! 몸이 살아 있는 한 우리는 몇 번이고 다시 태어날 수 있다. ”
 
이것이 내가 두려움을 느끼는 한계에 도전하는 방법이다. 내가 아는 한 거기에는 적절한 방법이 없는 것 같다. 그렇게 까지 해야 되느냐고 누군가가 내게 묻는다면 나는 분명하게 말하고 싶다. 나는 그들의 고통을 보았고 그들의 눈물을 보았고 그리고 그들의 열망을 보았다. 그 꿈을 사랑하기 때문에 끝없이 자신과 전쟁을 해야 하는 그들을 보았기 때문이다. 당신도 그들을 볼 수 있다면 사랑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사랑하기 때문에 전쟁을 한다.
 
나는 그런 그들에게 이 말이 하고 싶기 때문이다.
 
‘ 너의 승리를 축하한다 !’
 
이 말은 곧 자신만의 삶의 의미를 모두 앞에 증명한 삶을 존중한다는 말이다.
 
 

IP *.46.234.81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5.17 23:42:20 *.36.210.197
죽어야 할 때 죽는 것보다 더 적절한 것은 없다. 생사를 초월하여 마땅히 죽을  힘을 다하는 오롯함! 그것만이 진실한 적절함이다. ^^

변경에 두 명의 작은 스승이야기가 5월을 더욱 아름답고 푸르게 한다. 오누이 같은 이들의 이야기가 흐믓하다.

한 이는 낭만적으로, 한 이는 온몸에 핏발과 힘줄을 곤두세우며 뜨거운 열정으로 사부를 뒤따르는 참 스승의 참된 모습이여. 그대들의 앞날에도 사부님과 같은 축복 있으라. ^-^*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5.20 08:05:08 *.45.35.54

나는 스승님을 닮고 싶어 !
잘 안되지만  열심히 해야지, 몸으로 떼우는 것이라도...^^
프로필 이미지
홍스
2010.05.19 21:22:37 *.222.175.33
형님... 글 읽어 내려가면서 숨차 죽을뻔 했어요.
숨쉴겨를 도 주지 않는 박진감..^)^
"두려움을 넘어설 수 있는 절박함"
형에 목소리가 들려~~~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5.20 08:06:20 *.45.35.54
한동안 글을 볼 수 없어서
좀 서운했었제...
탁구는 계속하고 있것제^^

프로필 이미지
2010.05.20 00:16:49 *.67.223.107
마에스트로  100 ,
당분간 글 올리는 비밀번호를 따로 정해서 알려줘봐요.
그럼 이상하게 따라나온 문자들을 지워볼께.

아름다운 글들이 ..... 좀 방해받고 있어서 안타까워...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5.20 13:00:35 *.219.168.69
<!--[if !supportEmptyParas]--> <!--[endif]-->

나는 이것이 이 글을 생성하게 된 영감과 주문의 원천이라고 생각하느데, 지워버리면 싱거워.
일방적으로 생살 도륙을 가하는 느낌.^^

그것 만이 백산, 그것 만이 제 세상 아니었던가? 편집자 만나고 난 후에 해도 늦지 않을 것을... . ^-^*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5.21 00:57:22 *.45.35.213
제가 새시로 아래 한글 오피스를 깔고
거그서 쳐가지고 올리고 있는디요...

저는  이상한 거 안 보인디,,,
거그서는 보인갑소 잉,,, 
어째야 쓰끄라우...  
프로필 이미지
백써
2010.05.20 21:24:47 *.67.223.107
나는 안 괜찮은디....
잘못은 안 됐스끄라우만, 좀 어지러버리버리해서리......

재동이 관리하는 비번말고, 백산이 글쓸때마다 쓰는 비번 말이죠.
고거로 글 수정 드가서 <If.....> 만 지우믄 조케꾸만
산니 언니가 말리시네

 백써와  산니께서는 if 에서 영감이 나오시나 봅니당.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5.20 08:08:11 *.45.35.54
좌선생님 저는 괜찮은디... 
뭐가 잘못 됐스끄라우? 
제 패스워드는 재동이 알아요.^^
프로필 이미지
소은
2010.05.20 20:17:46 *.70.61.217
모든 순간은 언제나 단 한 번 뿐이다!

삶이 우리에게 준 숙제는 없다는 말도 있어.
자신을 너무 몰아가지 마.
 
휴 정말 숨차네.. 이태리에서도 이러고 살고 있는 겨?
그대 그 백만불짜리 꼬리표는 아까워서 이태리까지  달고 간 겨?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5.21 00:54:45 *.45.35.213
으 하 하 하 하 !
소은 !

한국에 있는게 아이고
이태리에 있는게 아이고  길 위에 있는 겨

그 길이 쪼개 기네.. 잉
그 길 양옆에 아름다운 풍광이 있는데
칼품고 숨어 있는 인간들이 좀 있네 그랴~

쉴 때는 주막에 들러...
'변경' 이라고 알랑가 모르거써....
거기 주인장이랑 단골들을 잘 알거덩.^^


프로필 이미지
2010.05.21 11:08:38 *.46.234.81
언뜻 언뜻 제 이름이 왜 나왔나 해서 보았더만...
<if....> 없애 보았습니다.
더 깔끔하기는 하네요.. ^-^
프로필 이미지
봄범
2010.05.22 07:21:32 *.67.223.154
마에스트로 100 ~
글이 참 좋구만요.

“영혼을 잃고 심장의 고동소리를 기억하지 못하는 삶을 살겠는가? 내가 알기로 생명을 연장하는 것이 삶은 아니다. 분명히 기억하라, 지금 하지 못하면 영원히 하지 못한다. 모든 순간은 언제나 단 한 번 뿐이다. ”

이 문장은  외웠다가.....폼나게 좀 써먹어야겠어요.   우히힛

재동씨 글을 아주 환하게 만들어놓았네요.   백산 대신 감사드려요.
프로필 이미지
2010.05.22 07:41:23 *.40.227.17
백산 오라버니~ ^^

굿모닝~이에여.. 여그 기준으로여.. ㅋㅋㅋ
아마.. 오라버니께서는.. 주무시고 계시겠지라잉~ ㅎㅎㅎ

역쉬.. 좌샘의 조언과 재동선배님의 활약으로.. 읽기가 한결 수월해졌는데여..
실은.. 오라버니.. 화면을 통해서는 안보일 거라.. 짐작은 했었지만여.. 헤헤^^

근데여.. 오라버니.. 어카져?
'괜찮아.. 다음에 잘 하지.. 뭐' 저는.. 이거이를..
'이번엔.. 음.. 흠.. 뭐.. 다음에 더 잘하자..' 며 아그들한테.. 무쟈게 써먹고 있는데여.. ㅎ
요즘 아그들은.. 이케 안하믄.. 아예.. 수업에 안나와여.. ㅇㅎㅎㅎ
저도.. 기런 마음.. 무쟈게 경험했고..
지금도.. 특히 숙제를 몬했을때.. (앗, 무쟈게 찔려여..) 헤헤^^
깊이.. 반성해여.. 다음에 잘 헐 생각말고.. 오늘.. 열씨미 해야겠어여..^^

오라버니.. 땅큐해여.. ^^
오라버니와 그들의 승리를 위해.. 아짜! 화이팅!  밥 마이 드세여~ ^^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5.23 17:10:41 *.180.122.206
예쁜 혜향아! 
니 말이 맞아,
그말을 들으면 위안이 되고 덜 서럽지.. 뭐,,
그래도 바뀐 것은 아무것도 없다.

내말은  일등이 되고 시픈 사람들한테 해당한기여,,,
재미 삼아 해 보는 사람들은 니 말이 더 맞지  ... 암사...

어떻게 모든 일에 목숨걸고 살긋냐...
누구 죽일일 있냐...^^ 

놀래지 말그래이.... 
프로필 이미지
cartier sunglasses
2010.10.20 12:58:24 *.43.232.63
happy every day
프로필 이미지
oem software
2010.11.03 11:10:17 *.43.234.169
oem software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6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9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0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9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7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9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5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