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수희향
  • 조회 수 2422
  • 댓글 수 10
  • 추천 수 0
2010년 5월 19일 12시 42분 등록

박과장님, SI 전화요~”

박과장님, 인천시 전화요~”

박과장님, H~”

박과장님, 김박사님이요~”

“Alysa, can I see you now?”

 

그때가 언제였는지 정확한 연도수도 가물가물한 수년 전 이야기다.

 

인천시에서 발주한 영종도 개발 프로젝트에 우리 회사가 PM을 맡으면서 아시아 헤드쿼터인 싱가포르에서 이사님이 나오셨고, 난 연구원겸 컨소시엄 통/번역사로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외국계 회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형태는 그 때 당시 IMF 직후 유행하는 방식 중의 하나였다. 프로젝트가 끝난 후 실질적인 해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방책 중의 하나였다고 할까. 그에 따라 우리 회사가 그 때 당시로는 나름 큰 프로젝트였던 영종도 개발 프로젝트에서 PM을 맡게 되었고 (인천 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섬 개발 부분), 덕분에 나는 왼종일 컨소시엄 회사들의 끝없이 이어지는 전화와 이-메일 공격에 무차별로 노출되어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프로젝트 진행은 물론이고, 시시콜콜한 분위기 파악까지 다 해야 하는 PM을 외국인에게 맡긴다는 것이 말이 되나 싶지만, 그 땐 그랬었다. 덕분에 나는 낮에는 통, 번역 일로 허덕거렸고, 저녁이 되어서야 간신히 내 본업인 리서치 일을 하였다. 매일 새벽 5시 기상에 밤 10~ 11시까지 근무. 분당에서 광화문까지 출퇴근을 하면서 성탄절과 신정 연후에도 짱짱히 일하고, 프로젝트가 끝나면서 난 회사를 떠났다. 진저리를 치면서

 

지독한 올빼미인 나지만, 새벽 기상, 필요하면 한다. 다만 죽음이다. 그게 내 생각이었다.

그런 내가 자청해서 단군의 후예들이란 일에 뛰어들었다.

 

? 왜일까? 도대체 뭐가 나로 하여금 죽음보다 싫어하는 새벽 기상을 일상으로 끌어오게 만든 것일까..? 스스로도 궁금하다.

 

나의 동그라미 세 개:

꿈벗을 다녀 온 분들은 동그라미 세 개의 의미를 잘 알 것이다.

 

내 꿈을, 공기 중에서 낚아채 동그라미 속에 그려보는 그 순간, 난 떨렸다.

조심스레 첫 동그라미 안에 작가라고 적어 넣고, 속으로 얼마나 감격스러웠는지 

 

그 때 이후, 작가는 변함이 없지만, 나머지 두 개 안의 동그라미가 조금 더 구체화되었다.

 

하나는 컨텐츠 기획자.

또 하나는 프로그램 기획자.

 

컨텐츠 기획자는 종이책만 만드는 출판놀이에서 범위를 약간 확대시켜 보았다. 지금부터는 결코 종이책만으로 출판놀이를 할 수 없기에. 웹진 “Change 2010”이 그 시작이다.

 

프로그램 기획자. 이론을 베이스로 컨텐츠를 만든다면, 난 그걸 꼭 현실에서 적용해보고 싶다. 자기계발 분야일수록 더욱 필요한 과정이라 생각한다. 필요하다면, 강연 프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몇몇 분들에게는 호냥이 공저를 하면서 배우고 있는 것을 응용하여 언젠가는 우리만의 차별화된 Human Management Service 제공하고 싶다는 꿈을 꿔 본다. "단군의 후예들"이 그 시작이다.

 

세 개 동그라미 교집합: 문화 기획자

작가. 그 누구보다 한 시대, 한 사회의 문화적 흐름을 파악해야 하고, 기획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머지 두 가지 역시 말할 것도 없으리라. 해서 나의 동그라미 교집합은 문화 기획자이다.

 

이를 기준으로 출사표 작성을 준비해 본다.

 

제목: 100일간 실력있는 [문화기획자- 먼별 샤먼]이 되도록 수련에 수련을 거듭한다.

 

전체적인 목표:

u       자발적으로 새벽 기상을 하여, 새벽의 푸른 정기 속에서 새로운 삶을 쌓아가고 싶다.

u       실력 있는 문화기획자가 되도록 책 읽기, 글쓰기 및 기획을 매일 수련한다. 

 

중간 목표:

u       100일 동안 책 읽기와 글쓰기를 지속한다.

u       100일 안에 "Change 2010" 기획과 마케팅 전략 수립을 한 단계 업그레이 한다.

u       100일 안에 "단군의 후예들"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한다.

 

예상 난관과 극복 방안:

u       12시 전에는 잠이 오질 않는다- 매일 일찍 일어나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는 잠이 올 것이다.

u       밤 모임을 전부 청산할 수는 없다- 이러저러한 일들로 밤에 모이는 일이 나름 꽤 있다. 그 다음날은 도전이 될 것이다. 해결책으로는, 낮에 졸더라도 무조건 일어난다.

u       처음에는 정신이 멍할 것 같다- 처음 100일이 지나면 생체 리듬이 바뀐다고 하니, 이 역시 무조건 도전하고 볼 일이다. 나 쫌 단순, 무식하다. 크큭.

 

목표 달성시 일어날 긍정적인 변화

u       연구원 2년 차이다. 책 읽기와 글쓰기를 지속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은데, 손에서 놓지 않을 수 있을 것 같다.

u       웹진 “Change 2010” 또한 풍성해질 것을 상상하니 마음이 벅차다.

u       무엇보다, 내 스스로 단군의 후예들프로그램이 얼마나 좋은지 체험해보고 싶다. 그러면서 필요한 부분 등을 보충해나가면 멋질 것 같다.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나에게 줄 보상:

u       사람을 얻고 싶다

: 요즘 내가 행복한 건 마음을 모아 일하는 기쁨을 느끼기 때문인 것 같다. “연봉이나 성공, 혹은 결과물이 아닌, 자발적 참여에 의해 마음이 모아졌을 때의 충만함은 사회 생활을 할 때는 결코 느껴보지 못했던 일이다.

u       그래서 삶을 얻고 싶다. 그런 삶, 사랑한다..

: 단군이 킥 오프 때, 다 큰 어른들이 비 오는 월요일 밤 그 자리에 모여 함성을 지르며 마냥 천진한 웃음을 지었다. 난 그런 순수한 열정이 어린 삶을 사랑한다. 이런 삶 속에 계속 머무르고 싶다..

u       덤으로 나 역시 성장하리라..

 

하늘에 고합니다..

지난한 지난 시간들이 오늘을 위한 준비였다 하신다면

이젠 피하지 않고 돌아다 보겠습니다.

 

지금의 시간 또한 유한하니 더 열심히 살라 하신다면

가슴 깊이 새겨 듣겠습니다.

 

그래도 내일은 오늘의 연장선상이라 하신다면

이젠 마음 놓고 오늘을 즐기겠습니다. 찬란한 봄 햇살처럼..

 

언젠가 떠나온 그 별로 돌아가는 그 날까지

가슴 가득 사랑을 품고 살겠습니다. 생명주심을 감사드리며..

IP *.126.210.168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5.19 16:36:33 *.69.68.9
emoticon
프로필 이미지
2010.05.20 00:40:12 *.126.210.168
난 이밤에 선배가 남겨준 아이콘보고 웃고 있는데 선배는 지금 머할까..?
선배 고마워요. 만날 때마다 손도 꼭 잡아주고, 꼭 안아주고..
이래서 단군이 해야 해. 한밤중에 깨 있는 거 안 좋아.. ㅋ
프로필 이미지
홍스
2010.05.19 21:16:33 *.222.175.33
멋진 소풍입니다. 아름답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0.05.20 00:34:48 *.126.210.168
사실 인생이란 기쁨보단 슬픔이 더 많은 게 맞는 거 같아요.
다만, 그 슬픔들이 기쁨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거,
그래서 '인생이란 여행' 또한 아름다울 수 있다는 거. 그걸 알게되기까지 참 오랜 시간이 걸린 것 같아요.. ㅋ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5.20 07:27:36 *.45.35.54
정현아!  지금 쯤 깨어있겠지.
여기는 밤 12시 반이니까...

건강해라,  정성을 들였으니
늘 축복받을 거야,,,  그게
'지극정성' 하는 거 아니냐...

프로필 이미지
2010.05.20 09:48:53 *.126.210.211
히히. 늘 멀리있는 오빠야한테 응원받네. 헤헤.. ^^
잉. 나 밥 잘묵고, 튼튼히 잘 지내니께롱
오빠도 건강하고. 갈비뼈는 우찌됬남?
무튼 오늘도 홧팅이야. 무조건^^
프로필 이미지
병곤
2010.05.21 02:43:06 *.154.234.32
나 그대가 샤먼보다
경기도지사로 나오면 더 잘 될꺼라는 생각이 드네.ㅋ 제발...
프로필 이미지
2010.05.21 16:33:24 *.119.66.58
선배, 선거철마다 나타나는 울화병 증세? 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0.05.22 08:39:20 *.40.227.17
단군 언니~ ^^

잘 하고 있어여?
뭐... 알면서여.. 잘 인나고 있냐는 거이져.. ㅋ
아적.. 스타트 안했는데.. 얘가 뭔 소리야.. 하구 있져..
저는.. 단군이가.. 젤 먼저.. 미리.. 모범을 보여야 헌다는 거이져.. ㅍㅎ 

언니~, 24일이 출산데.. 드가믄?.. 그때는.. 어케여?
너나 잘 하라구여.. 전.. ??? ===333=3=3=3..

글쓰기.. 체인지 2010.. 단군이.. 글구.. ???
행복한 언니의 길.. 그리고 그 참지 몬하는 열정을.. 언제나.. 응원해여.. ^^ 
프로필 이미지
2010.05.22 10:50:44 *.119.66.135
그니까. 시작은 24일인데 즐~대 예행연습할 내가 아니지 ㅋㅋ
막판 올빼미 생활을 한껏 만끽하고 있는디~
모범이라.. 음..흠..쿨럭쿨럭.. 갑자기 뒷목이 시려버서리.. ㅋㅋ

드가서는 부족장한테 새벽 문자 날리기로 했어^^

참지 몬하는 나.
언젠가 내 책에 꼭 쓰고마, 니가 쓰라켔다는 말꺼정 붙여서 ㅋㅋ
잘 지내고, 곧 보자. 마니 보고싶어...^^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52 군대간 아들에게 쓰는 편지 file [4] 소은 2010.05.23 17648
1651 라뽀(rapport) 12 - 부부의 날의 단상 [6] 書元 2010.05.22 3128
1650 [킹핀] 3. 두 번의 죽음 [6] 송창용 2010.05.22 2658
1649 #5. 훌륭한 자기계발 메시지의 5가지 조건 (1) [1] 이희석 2010.05.21 2990
1648 칼럼 11. 자로형 만나다. 외식업과 기질. file [9] 맑은 김인건 2010.05.21 3103
1647 감성플러스(+) 14호 - 진정한 변화는 자기성찰에서 시작된다 file [11] 자산 오병곤 2010.05.20 4082
1646 소심인으로 사는 3단계 방법 (5) - 1단계 [3] 차칸양 2010.05.20 3345
1645 골세앙바드레1. 일어날 거야 [12] 뽕공주 2010.05.19 2997
1644 죽돌이 [4] 홍스 2010.05.19 2650
» [먼별2] 필살기 수련5 <단군의 후예들: 출사표를 준비하며..> [10] 수희향 2010.05.19 2422
1642 컬럼2-6: IT와 친해지기 [10] 희산 2010.05.19 2491
1641 심스홈 이야기 3 - 봄날의 발견, 나의 집 그리기 file [5] 불확 2010.05.19 3825
1640 응애 11 - 스승을 기리며 [12] 범해 좌경숙 2010.05.18 2519
1639 쓰고 싶은 글감이 생겼다 [18] 홍스 2010.05.17 2568
1638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14 : 나는 이 말을 하고 싶기 때문이다. [17] 백산 2010.05.17 2788
1637 [컬럼] 의료란 무엇인가? [7] 우성 2010.05.17 2875
1636 칼럼 10. 꿈 없는 제자와 꿈 많은 선생 [10] 낭만 연주 2010.05.17 2491
1635 컬럼 10. 말풍선 놀이로 소통을 바라보다 [9] 박상현 2010.05.17 2760
1634 나를 찾아가는 여행 [17] 이은주 2010.05.17 2652
1633 <꿈을 실천하는 힘 4> 일보다 사람중심, 재능보다 성실 [8] 이선형 2010.05.17 3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