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이선형
  • 조회 수 2242
  • 댓글 수 13
  • 추천 수 0
2010년 6월 7일 10시 55분 등록
 꿈을 실천하는 원동력, 함께 가기


  인생이 행복하려면 두 가지가 필요하다.


  한 가지는 자신의 삶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분명한 목표가 있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것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을 즐길 줄 아는 것이다.


  죠셉 캠벨은 인생에는 목적이 없다고 했다. 적어도 목적이 있는 인생은 완전한 인생이 아니며, 중요한 것은 목적지가 아니라 여행 그 자체라고 설파했다. 그러나 자신의 천복을 찾고 또 그 길을 따라간다는 것이 절대 쉽지 않다는 것을 점차 절감하게 되었고, 나만의 문제가 아니라 주변의 많은 사람들도 자신의 천복을 찾기를 열망하면서도 시시때때로 흔들리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결국 평생 자신의 천복을 찾아 살아간다는 것이 뚜렷한 목적의식이 없이는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천복을 따라가는 여행, 그 자체가 바로 인생의 목적이 아닌가 생각하게 되었다. 최소한 내 인생의 목표는 나의 천복을 찾아 그 길을 걸으면서 깊은 행복을 누리는 것이라 믿게 되었다.

  물론 그 목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달성해야 하는 그런 목표가 아니라, 목표를 향해 걷는 한 걸음 한 걸음이 행복한 그런 목표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동안 읽었던 책들 중에서 적절하고 행복한 인간관계를 맺지 못한 영웅들에 대한 이야기가 아주 많았다. 특히 하워드 가드너는 <열정과 기질>에서 노골적으로 ‘파우스트의 계약’, 즉 가장 얻고 싶은 것을 위해서 소중한 것을 내주어야만 한다는 악마와의 계약을 이야기 한다. <열정과 기질>에서 탐구한 7명의 위인들은 그 위대한 업적들에도 불구하고 결코 작지 않은 인간적인 약점들을 가지고 있다. 작게는 주변 사람들에게 소송을 일삼는 괴짜같은 스트라빈스키도 있었고 주변인을 압박하고 지배하여 벗이 없었던 프로이트도 있었다. 평생 자신의 그림과 예술을 위해 주변의 여인들을 육체적, 정신적으로 착취하고 희생시킨 피카소 같은 인물도 있었다. 가장 편이 될 것 같은 가족과 등 돌린 위인도 상당히 많았고 불행한 시절에 탁월한 업적을 보이다가 가정을 이루고 심리적 안정을 찾자 더 이상 탁월한 글을 쓰지 못한 엘리엇도 있었다. 아인슈타인도 가정사가 행복하지 못했고, 심지어는 탁월한 자기성찰능력과 인간에 대한 능력으로 인류사에 획을 긋는 사상가가 된 간디조차 자신의 아내와 아들과는 평생 반목하였다고 한다.

  이순신 장군조차 역사 속의 위대한 영웅, 아니 성웅으로 받들어지지만 결코 행복한 ‘인간’은 아니었고 가슴 저미는 슬픔 속에서 인생을 마치었다.

  

  이런 이야기들을 읽으며, 위대한 성취 뒤에 얼마나 많은 희생이 있었는가 생각해 보게 되었다. 무언가 의미있는 일을 위해 소중한 다른 것을 희생해야 한다면 과연 어디까지가 가능한 것인가. 과연 우리는 똑같이 소중한 가치들 중에서 어떻게 선후를 나누고 경중을 나눌 수 있을까. 선택할 수 있을 것인가. 그 선택에 후회는 없을 것인가. 무거울 수밖에 없는 의문이었다.

  다행히 이번에 백범일지를 보면서 하나의 희망을 찾을 수 있었다.

  김구는 평생 자신의 개인 재산이 없었고, 부인과 네 명의 딸과 아들을 앞세웠을 뿐 아니라, 그렇게 바라던 해방된 국가에 돌아와서도 완전한 조국의 자주독립을 보지 못하고 같은 민족의 손에 암살을 당했다.

  그러나 나는 김구 선생은 행복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평생 자신의 소신과 신념을 지키며 실천하면서 살았고 그 과정에서 가족의 열렬한 지지와 도움을 받았다. 김 구 선생의 어머니는 백범이 감옥에 갇혔을 때조차 감사가 된 것보다 더 장하다고 칭찬을 하고 자신의 생일상을 차릴 돈으로 권총을 사서 일본군과 싸우라고 줄 만큼 독립을 향한 아들의 목표에 공감하였다. 비록 자서전에 자세히 나오지는 않았지만 아내도 백범이 사형을 언도받고 수감생활을 할 때도 절개를 지키며 옥바라지를 하고, 시모를 모시고 아이들을 기르며 힘들고 어려운 생활을 하면서도 남편을 믿고 또 남편의 이상을 믿었기에 그 고된 생활이 힘들지만은 않았을 것이라 믿는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들 또한 중국과 미국의 군인으로 복무하며 해방된 조국의 군인이 되기를 소망한다고 했으니, 백범의 일생은 최소한 가족의 지지를 받은 것임이 틀림없다.   


  결국 행복하기 위해서는 분명한 목표가 있어야 하며, 그 과정을 즐길 줄 알아야 한다는 절대 명제에 덧붙여, 그 목표가 나 혼자만의 것이 아니고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갈 수 있는 우리의 목표여야 하며, 그 목표를 한 단계, 한 단계 실천해가는 과정을 함께 가는 사람들과 같이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혼자서 행복할 수 없으며, 가족과 함께, 또 뜻이 맞는 동반자들과 함께 가는 길은 그 자체가 행복이기 때문이다.
 

IP *.106.7.10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6.07 11:36:23 *.219.109.113
맞아. 김구섬생님도 자기를 믿고 따르는 동지가 없었다면 또 자기를 지지해주는 가족이나

동반자가 없었으면 그는 지금 세상에 아무런 존재도 아니겠지!.

마음이 맞으니 죽음으로 가는 길도 행복하게 가는 모습이 참 가슴 아팠지.

행복을 꿈꾸며 목표를 세우고 살아가는 선형이의 모습이 행복하게 다가온다.
프로필 이미지
2010.06.09 06:37:48 *.106.7.10
同志, 참 멋있는 말 같아요.
동반자도 멋있구요, 언니가 지난번에 얘기하신 '도반'도 같은 의미겠지요.
내 뜻이 명확해야 동지와 동반자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결국 나의 길을 가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6.07 11:53:48 *.236.3.241
목표를 이루었을지라도 함께 나눌 사람이 없는 것만큼 허무한 인생이 없겠지 ^^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살 수 밖에 없는 인간이 무언가에 특출나려면 선택과 집중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들이 많을 것 같다.

그런 면에서 성공이 꼭 장밋빛 미래를 보장하는 건 아닌 듯 하다~ 위에 열거된 위인들도
평범한 인생을 축복이라 그리워 한 때가 아마도 있었겠지....
프로필 이미지
2010.06.09 06:40:07 *.106.7.10
꿈과 열정과 즐거움이 있는 인생이라면 누가 그 인생을 평범하다고 할 수 있겠어요.
성공은 결국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결정될 뿐이겠지요.
그러고 보면 지금까지 배우는 과정이 결국 나의 가치관을 확인하는 길인가 봅니다.
네, 저도 결과를 바라보기 보다 과정을 즐기는 그런 행복을 누리고 싶어요.
- 근데 쉽지는 않네요 ^^;;-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6.07 12:47:52 *.53.82.120
김구선생님이 7명의 거장보다 행복해 보이는 이유는
아마도 가까운 사람, 즉 가족들과의 소통에 성공했기 때문이었던 것 같아요.
시간과 자원을 공유하지는 못했지만 삶의 이유, 목표를 공유할 수 있었으니까요.
김구선생님의 경우 어머님께서 그 소통의 매개역할을 너무 잘 해주셨던 것 같아요.

김구선생님이 이순신장군님보다 행복해 보이는 이유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즐거움을 찾아내는 재주를 갖고 계셨기 때문인 것 같아요.
어차피 가기로 한 길이라면 즐겁게 가야한다는 것을..
그리고 그 즐거움은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찾아내야 한다는 것을
알고 계신 분이셨던 것 같아요. 
역시 틈만나면 좌절하시던 이순신장군을 뵙는 시간보다
어려운 중에도 짬짬이 풍류를 즐기고 자연을 즐기고 사람을 즐기는 김구선생님을 뵙는 시간이
즐거웠던 것도 사실이구요.    ^^

언니글을 읽으니 지난 일주일 우리의 머릿속이 비슷한 화제로 바빴다는 것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도 점점 기준이 잡혀가는 것이 코스웍이 끝날 무렵쯤엔 훨씬 괜찮은 우리가 되어 있을 것 듯한
강렬한 예감이 들지 않으세요?   ^^
프로필 이미지
2010.06.09 06:41:20 *.106.7.10
그래, 우리 매일, 또 매주 훨씬 괜찮은 우리가 될 것 같지?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낭만연주
2010.06.07 19:24:36 *.171.205.225
언니 말처럼 정말 우리의 눈에 성공했다고 하는 삶을 살았던 사람들이 과연 행복했는지는 참 의문이에요.
그런데 저도 김구샘은 행복한 사람이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자신에게 가장 가까운 가족의 지지를 얻고 함께하는 동료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
헌데 이런 사람이 될 수 있는 기본전제는...자기자신을 지지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 우선이란 생각이 들어요
김구샘도 자신의 신념에 대한 믿음이 있었기에 자신에게 떳떳했고...그것을 주변 사람들이 함께 공감하고 인정해주었기에 가능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요즘 제 화두는....자기사랑...자기확신...나에게 무한한 지지를 보내는 것...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0.06.09 06:45:01 *.106.7.10
그래, 우리 모두 김구 선생이 행복한 사람이었다는데 동의하네 ^^
결국 모두 함께 가는 삶이야말로 진정 행복의 조건이라고 생각한다는 거지.

연주 말처럼 그러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믿고 떳떳할 수 있어야 하는 것도 기본 전제.
매일 노력하고 실천하고 그러다가도 한번씩 회의에 빠지고 흔들리고
그게 바로 우리 인간인 것 같아.
그래도 다시 시작할 수 있으니까 우리는 작으면서 큰 존재가 아닐까?
화두 잘 파고들어가길 ^6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6.08 23:13:55 *.34.224.87
함께 간다는 것,
자신의 목표를 이루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
프로필 이미지
2010.06.09 06:45:38 *.106.7.10
결국 함께 간다는 것을 목표안에 넣어야만 하는 것 ^^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6.09 00:14:22 *.129.207.200
어려운 문제에요. 자기 혼자만의 꿈과 목표를 설정하는 것도 쉽지 않은데

김구는 운이 좋았던 사람이 아니었을까요? 저희 어머니라면, 김구 어머니처럼 못했을 것 같아요. 
선형 누님의 분명한 목표란 무엇인가요? 제가 상대적이라서 그럴까요? 세상이 수시로 지각변동하는데,  어떻게 나의 좌표를 찾고 유지할 수 있을까? 고민합니다.

쌓여가는 책에 따라서, 칼럼의 내용도 풍부해지는 것 같습니다. 덕분에 좋은 공부 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6.09 11:51:38 *.30.254.28
너의 목표 좋구나..
너에게...잘 어울린다..
벤치마킹 해야겠다.. ..ㅎㅎ 응원할께...
프로필 이미지
2010.06.09 06:53:20 *.106.7.10
나의 목표

내 일로서 세상에 기여하자.
 - 한 사람이라도 나로 인해 좀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자
내 존재로서 성장의 증거가 되자.
 - 끊임없이 배우고 생각하고 성장하자.
내 사랑과 행복으로 주변을 밝히자.
 - 행복한 가정과 쉼터를 만들자.  

요즘 생각하는 목표들.
인건 덕에 다시 한번 써보고 적어보게 되네. 땡큐 ^^
지금의 시간이 지나면 좀더 명확하고 아름답게 가다듬어지길 기대하고 있어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92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2 은혜로운 이에게 묻습니다. [6] 백산 2010.06.08 2507
1691 새벽 기상 [3] 書元 2010.06.08 4078
1690 [컬럼] 배움, 즐거운 전문가의 길! [12] 최우성 2010.06.07 2536
» <꿈을 실천하는 힘7> 함께 가기 [13] 이선형 2010.06.07 2242
1688 칼럼 14. 2년전 나에게 말하다. [17] 맑은 김인건 2010.06.07 2494
1687 컬럼 13. 백범 김구, 자기 해방의 키워드 [14] 박상현 2010.06.07 2690
1686 제 친구들과 인사 하실래요? file [12] 이은주 2010.06.06 4687
1685 칼럼 13. 리틀 김구, 예준. [11] 낭만연주 2010.06.06 2602
1684 라뽀(rapport) 13 - 당신도 털어놓고 싶으신가요 書元 2010.06.06 2346
1683 감성플러스(+)-15호 Happy rebirth to you! file [7] 자산 오병곤 2010.06.05 2501
1682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1 절대라고 맹세하지 말라 [1] 백산 2010.06.05 2572
1681 [킹핀] 4. 모든 것은 그것과 비슷한 것이 아니라 상반된 것을 필요로 한다. [4] 송창용 2010.06.04 2524
1680 응애 12 - 나는 너를 세상의 중심에 두었다 [16] 범해 좌경숙 2010.06.03 2928
1679 심스홈 이야기 5 - 집 꾸밈에 필요한 '품' 3가지 (2) file [1] 불확 2010.06.03 2860
1678 [진심] 우리의 두뇌는 수렵기에 머물러 있다 file [1] 박승오 2010.06.03 10028
1677 그림 한점과의 망중한(忙中閑) [2] 書元 2010.06.03 2638
1676 칼럼12. 내가 좋아하는 아이스크림...설레임 !! [1] 낭만연주 2010.06.02 2998
1675 [먼별2] 필살기 수련6 <단군의 후예들 1주차 이야기> [2] 수희향 2010.06.02 2423
1674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0 내가 묻고 있는 것은 가능성이 아니라 확신이다. [4] [2] 백산 2010.06.01 2708
1673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19 그 사랑이 끝나면 [6] 백산 2010.06.01 3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