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백산
  • 조회 수 2667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0년 7월 4일 09시 44분 등록
사랑하는가?

‘신체변화는 정서경험에 필요 조건이다. 그러나 신체변화가 정서경험의 충분조건은 아니며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는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인지적 요인에 달려있다.’
                                               - Schachter의 정서이론 중에서-

이 이야기는 화가나서 성질이 난거냐,  성질이 나서 열받은거냐 그 말이다.  더 쉽게 웃을 일이어서 웃는 것이냐  아니면 웃어서 웃을 일이 된거냐 이말이다.

왜 짐승들은 자극에 대해서 일대일의 반응을 하는데, 인간은 달리 복잡하게 반응하는가?
왜 한 대 맞으면 어떤 아이는 울고 어떤 아이는 화내고 어떤 아이는 무표정하고 어떤 아이는 웃는가?

어린아이가 머리를 한 대 ‘콩’하고 맞았을 때, 아이들은 달리 반응한다. 한 대 맞아서 아프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지면 울고, 억울하게 맞았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지면 화를 내고, 맞는 것에 익숙한 아이는 무감각하다. 때린사람이 자기를 아끼는 애정표현이라고 생각하는 아이들은 웃을 수도 있다.  
학자들은 이러한 자극에 대한(신체변화) 정서경험은 그 상황속에서 인지적인 판단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는 데 이를 인지평가이론이라고 한다.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은 초기에는 신체변화를 통해서 정서적인 반응을 일으키지만  후에는 인지가 정서변화를 야기한다.   갓난 아이는 화를 내는 표정을 지어도 웃는다. 그러나 맞고 나면 울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경험이 반복되면  화나 때리려는 표정을 보고 울게 된다.

설명이 복잡하고 중언부언하는 것 같지만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여러 가지 예를 드는 것이 더 복잡해질수도 있지만  이해를 가능케하는 더 다양한 단서들을 제시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좋겠다.
통찰은 순차적으로 오는 것이 아니라 어느 순간에 우연한 단서에 의해서 '아~ ' 하고 일어나기 때문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극에 대한 반응이 반드시 절대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살다가 내가 맞닥뜨리는 어떤 일이 도저히 참을 수 없는 일이며 용납될 수 없는 일이 아니라 단지 나의 정서상 수용이 안되는 일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절대라고 맹세하지 말라’고 했는지 모른다.
나는 개인적으로 ‘어쩔 수 없이’ 라는 말을 참 싫어하는데,  이 또한 같은 개념으로 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이러한 오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장 바꿔 놓고’ 생각하기를 권한다. 왜 그랬을까? 곧 상황과 그 상황에 대한 평가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려는 시도다.
이렇게 조금 더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과정없이 상대를 이해하려는 것은 상당한 스트레스를 갖는다. 가족이기 때문에, 아내이기 때문에, 남편이기 때문에, 직업이기 때문에, 자식이기 때문에, 부하직원이기 때문에, 선수이기 때문에...  참으려 하면   우리는 늘  ‘도저히, 더 이상은...’ ‘ 그래도 그렇지...’ ‘도대체 어떻하란 말야...’ 가 된다.
 우리의 인내심은 늘 한계로 치닫고  그 역치를 넘는 순간 분노로 폭발한다.

그렇지 않은가? ^^

 위태위태한 삶속에서 끝없이 도전해야만 했던 시간들속에서...
늘 한계 끝에 서 있어야 했고,  막다른 골목으로 몰리게 되곤 했다. 
“선수가 잘못해서 내가 화를 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잘못을 내가 화를 낼만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정말 그런가?” 라고 스스로에게 물으며 길을 찾곤 했다.

창조적으로 생각하지 못하고  또 어느 순간에 새로운 생각이  습관으로 길들여지고 나면, 그렇게 범사가 되고나면  소중함과 성실함이라는 감사를 잊게 된다. 습관이 되고나면 자극에 대한 반응은 당연한 귀결이 된다. 그러면  나의 운명은 예정될 것이 아니라 결정된 것이 된다.    그렇게되면  주어진 삶에 스스로 갇히게 되는 것이다.

내게 있어서 변화란 주어진 세계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반복되어지는 인과관계, 그 습관적 행동의 틀을 부수고 새로운 인과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변화를 이끌어주는 창조는 그래서 늘 연관되지 않는 것들의 연관성을 통해서 나타난다.
변화를 시작하는 것, 곧 새 출발이란 주어진 세계와의 단절이 아니라 좀 더 깊이 있는 통찰에 의해서 새로운 질서를 찾는 것이다. 새로운 질서를 발견함으로서 새로운 세계로의 길을 발견한다. 그것은 습관적 인과관계의 고리를 끊는 것이며 곧 새로운 인과관계를 위한 출발이 된다. 변화의 시작이다.

도저히 용납이 안 될 때, 더 이상 길이 없을 때, 실낱같은 희망마저 보이지 않을 때
그 한계 끝에서 나는 변화를 향한 적절한 나의 대처를 위해서 묻는다.

“사랑하는가? ”

그것은 주술사 ‘돈환’이 내게 묻는 말과 같다.

‘이 길에 마음을 담았느냐?“

***    ***  

마음을 담은 길

어떠한 길도 하나의 길에 불과한 것이며,
너의 마음이 원치 않는다면 그 길을 버리는 것은
너에게나 다른 이에게 무례한 일이 아니다. ....

모든 길을 가까이, 세밀하게 보아라
네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몇 번이고 해보아라
그리고 오직 너 자신에게만 한 가지를  물어 보아라

이 길이 마음을 담았느냐? 그렇다면 그 길은 좋은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그 길은 소용 없는 것이다.
                                         카를로스 카스타네다 <<돈환의 가르침>>

 
IP *.131.127.50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7.04 16:24:26 *.197.63.9
좋다. "마음을 담았느냐?" 는 물음.

'진정한 떨림'을 말씀하시는 사부님의 지론과 다르지 않네. 아울러 진상이거나 경박이 아닌 '적절함'이어야 하겠지만. 
알 수 있다고, 분명 자신만은 알 수 있을 거라고 하셨지. ㅎ~ ^-^*


p.s. 설명 진부하지 않음. 다양한 부류의 일반인 들에게 도움이 됨. 노력과 검열이나 통제는 다른 것 같아. 후자에 너무 신경 쓰다보면 주장이나 글의 생기를 잃을 우려가 있다고 생각함. 아직 그런 여유는 부려도 괜찮지 않을까용. 쪽 팔림을 감수할 수 있는 용기!!! 도 사랑해 주기. ^^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7.05 08:26:51 *.131.127.50
난 스승님의 글을 좋아해,,,
그러나 나는 스승님처럼 글을 쓸수도 없고 쓰고 싶지도 않다.
스승에게 배워서 자신의 생각을 보태서 스스로의 이름으로 서는 것...
그것이 내가 스승님에게서 배운 것이다.

스승님은 경영에 인문학을 통합하셨지만
난 행동과학으로 무장한 기계적인 인간 아니면 본능적인 짐승같은 인간과
희망, 꿈 미래 라는 비현실적인 비합리적인 모순의 인간을  통합해보고 싶은 거야,

행동 과학과 신화의 통합이랄까?
너무 거창한가,  아니면 말도 안되는가?
그렇다면 더욱 좋군,
그래야  그 솔루션이 가치있을테니까...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7.05 23:49:16 *.197.63.9
난, 이뿌게 보고 있는 뎅. 괜찮아. emoticon경박이 아니고 감금되었다 풀려난 열 뻗친 활력 같구만. ㅋㅋㅋ
'다름'과 '차이'가 있은 께로 책 없는 나는 평정을 못허고, 그렇다고 의리 백이 예쁜 두 여자(?)를 위해 희생하며 편들 것 같지도 않고. 뒤로야 찝찌름한 냉코피 정도는 사줄 수도 있겠지만. 그것 얻어나 먹고 억울 한 속 달래보자. 유치와 경박은 왠지 친밀해 그치? 그렇잖으면 뭐가 웃을 일이 있겠어. 진하게 한 잔!!!    하하하.  ^-^*
프로필 이미지
자폭 갱수기
2010.07.05 18:12:33 *.145.204.123
글씨 그 행동땜씨 항상 피본다니께요
나 오늘부텀 차카게 살라요~ 잘 봐주십쇼 행님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7.05 17:56:25 *.197.63.9
너무 앞서 나가믄 다쳐. 갱의 행동과학과 철의 허벌난 신화통합을 말함이야^^ 우덜은. 덥다고 자폭하기는. 갱박이 아니고 갱수기. ㅋㅋ
프로필 이미지
갱수기
2010.07.05 14:38:23 *.145.204.123
그러고 보니 " 매우 조심함 " 이 경박으로 보였겠군요
여론을 염려하다보니 오히려 여론의 지탄을 받는군요
앞으론 "매우 매우 매우 조심" 하겠심다
여론 걱정도 안하겠심다
데모판 구경하다 고함한번지르고 닭장차에 태워진 신세가 된 듯하이
내 평생 데모판은 근처도 안갔는데.....
갈길도 천린데 닭장차가 왠 신세 
이젠 숙제만 해야겠심다ㅎㅎ ^ & ^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7.05 11:14:35 *.197.63.9
그건 세상이 다 아는 이야기지. 사부님 앞에만 서면 예쁜 딸아이같이 변하잖아.^^

갱수기와 진쩔이 딱이네.^^ 나이도 들었는데 몸 조심해. 이들이 영 만만치가 않을 걸. 묙은 지가 붙여달라니까 불러다 심판 보라고 하공. 갸가 다리는 쪼까 무거워도 머리가 날쌔거덩. 보탬이 될꺼여요. ㅎ~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52 응애 21 -태어나고 죽는 철학자들 범해 좌경숙 2010.07.09 2472
1751 응애 20 - 희랍인에게 이 말을 [2] 범해 좌경숙 2010.07.08 2646
1750 <칼럼> 나 자신이 되어간다는 것 [9] 이선형 2010.07.08 2627
1749 응애 19 - 무지한 스승 [6] 범해 좌경숙 2010.07.07 2768
1748 응애 18 - 통과 의례 [2] 범해 좌경숙 2010.07.06 2309
1747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8 보이지 않는 길 5 묵은지와 겉저리 [5] 백산 2010.07.06 2380
1746 칼럼. 함께 느끼기, 共感. [16] 낭만 연주 2010.07.05 2591
1745 [컬럼] 강점경영, 행복한 경영전략 [12] 최우성 2010.07.05 3354
1744 강점은 타고난 것인가? - 사주로 비교한 나의 5대 강점 이야기 [27] 박경숙 2010.07.05 7741
1743 [칼럼 18] 변하는 사랑을 하자 [13] 신진철 2010.07.05 2629
1742 문제는 역할이다 [17] 박상현 2010.07.05 2532
1741 라뽀(rapport) 16 - 신화(神話)의 힘 書元 2010.07.04 2247
1740 위대한 개의 발견 & 장점 분석 file [15] 이은주 2010.07.04 4374
1739 응애 17 - 얼어붙은 심장 [1] 범해 좌경숙 2010.07.04 3372
1738 18. 영상칼럼, 6기 강점이야기. [20] 맑은 김인건 2010.07.04 2919
»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7 보이지 않는 길 4 사랑하는가 [7] 백산 2010.07.04 2667
1736 응애 16 - 내 님의 사랑은..... [1] 범해 좌경숙 2010.07.02 2629
1735 6월은 가고 [4] 백산 2010.07.02 2440
1734 [먼별2] <단군의 후예 9 - 조용한 새벽영웅: 김경인님 인터뷰> [4] 수희향 2010.07.02 2430
1733 응애 15 - 무제 [8] 범해 좌경숙 2010.07.01 2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