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0년 7월 6일 13시 24분 등록

응애 18 - 통과 의례

  새로운 책을 읽을 때마다 꼭 한번씩은 속을 뒤집어보게 된다. 새로운 생각들이 속살을 파고들기 때문이다. 최근에 읽고있는 미셸 투르니에는 철학적 배경이 든든한 작가이다. 그의 소설 속에는 현존하는 철학가들과 오랜 친교로 이어온 그의 철학적 성찰까지 녹아 반짝인다. 나는 한권 또 한권 읽을 때마다 예사롭지 않은 짧은글 속에서 그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알록달록한 수수께끼를 혼자 짜맞춰본다. 여기 저기 숨어있는 지혜를 보며 나의 무지함에 통탄을 한다. 그러나 이제 사랑의 눈으로 그를 다시보기 시작하고부터는 어린아이와 같은 단순함으로도 그에게 다가갈 수 있어서 위로가 된다.

나는 요즈음 사람들이 펴낸 첫 책들을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첫 책을 준비하며 첫 책을 낸 사람들의 마음을 알아보고 싶어서이다. 지금은 필명을 날리지만 무명작가였을때 문전박대를 당하던 그 신세들이 우습기도 하고 애처롭기도 해서 기억에 남았다. 최근에 만났던 잘나가는 어느 출판사의 대표께서 "아, 그 테마 좋은데요..."라고 하기에 조금 더 진지하게 살펴보고 있다.

조셉 캠벨을 거절하고, 필립 아리에스를 거절하고, 니이체로 하여금 자비로 40권을 발간케 한 그 세월, 제임스 조이스는 원고지를 단 한장도 살아생전에 팔아보지 못했단다. 그런 두터운 장벽을 뚫고도 세상에 나온 책들에게 관심을 보이는 건 당연한 귀결이 아닐까?

미셀 투르니에는 신화와 역사와 지리를 녹여 소설을 쓴다. 그의 첫 책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은 작품을 완성하고도 그의 책상 설합에서 몇 년을 더 기다렸다. 그는 3-4년에 한권씩 책을 내고 탈고를 하고도 오래동안 책을 묵힌다. 아마 숙성되는 때를 기다려주는 것이리라.

무인도에 홀로 떠내려와서 방드르디를 만나기 전까지 로빈슨은 그가 배우고 익힌대로 인습을 따라 시간표를 만들고 규율을 정하고 그의 좌표를 설정한다. 그 섬의 총독으로 그 하늘과 땅 사이에 홀로 선 일인기업가가 되었다. 그는 몸이 이끄는대로 난파선에서 먹을 것을 가져오고 소금기를 뽑아내고 씨앗을 심고 또 가꾸고 열매를 거둔다.

그러나  토인들에게 잡혀와  산제물이 될 뻔한 인디언 흑인 혼혈아 방드르디를  빗나간 화살 덕에 구해내게 된다. 우연이 그의 인생을 뒤흔들어 대기 시작했다. 방드르디는 자연 그대로의 인간이며 미친듯이 웃어대는 문명 저편의 사람이다. 담배를 몰래 피우기 위해 저장고에 들어간 방드르디가 로빈슨의 모든 재산을 폭파하고 만다.  한 순간에  작은 불씨 하나가 모든 경계를 허물어 버렸다. 

백인이며 기독교인이며 중상류층 식자의 눈으로 보는 역사와 지리를 그는 한번 뒤집어 생각해보고 싶었나보다. 그는 소설을 쓸때는 먼저 발로 써내려간다.  꼼꼼하게 답사를 하고 몇 번이고 다시 현장에 가본다. 그래서 그의 책에는 유용한 정보 또한 가득하다. 그의 책을 읽으며 나는 작가가 되기 위한 "통과의례" 라는 것이 떠올라 그 단어에 사로잡혀 있다. 아니 통과의례를 분석하여 내게 결핍한 것을 채워보고자하는 욕망이 일어나는 것이다.

최근에는 어린이를 위한 동화와 짧은 이야기글, 콩트를 많이 쓰고있는 투르니에에게 중요한 것은 이니시에이션, 곧 성년이 되는 경계이다. 어른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만 할 위기가 그의 글에는 거의 분명한 주제로 나타난다. 나는 점점 더 이 첫 고비를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많은 젊은이들이 이 처음, 첫 경험에 부딪쳐서 길을 잃고 기운을 잃고 무너져내리기 때문이다.

첫사랑의 맛은 라일락 꽃잎처럼 씁쓸하다. 그러나 남는 맛이 오묘하다. 첫사랑은 또한 초라하기도 하다. 눈이 멀어야 시작을 할 수 있다. 때로는 운명의 힘에 떠밀려 쓸쓸하게 길을나서기도 한다. 그러나 소설 속의 용감한 왕자는 무지의 베일을 걷어내고 그의 때가 이르렀음을 알아 자기 발로 힘차게 나아간다. 그 끝은 죽음일 수도 있지만 착한 소설에서는 아름다운 공주를 구출해서 마침내 영웅이 되는 것으로 끝이난다.

사람들이 가고 또 갔던 그 통과의례들이 지금 내앞에 성스러운 두루마리 처럼 펼쳐져 내리고 있다.

IP *.67.223.154

프로필 이미지
소은
2010.07.09 12:55:03 *.70.138.17
좋은 주제예요.
글 속에 고민을 치열하게 하고 있는 '작가'로서의 좌샘의 고뇌가 보여요.
남들이 떠난 운동장에 고집스럽게 남아있는 좌샘의 모습도 보여요.
찾고자 하는 것을 어두워지기 전에 찾겠다는 각오 대신
내일 날이 밝으면 또 다시 와서 찾겠다고 마음을 바꾼 사람의 모습도 보이네요.
아무튼 길을 계속 걷고 있는 그대를 꼭 안아드립니다. 
그대는 참 훌륭하게 나이를 채우고 있어 내게 본이 됩니다, 라고 말해드리고 싶네요. ^^**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0.07.12 20:56:02 *.142.204.124
나는 소은에게 빚을 많이지고 있어요.
아니 빚이라기 보다는 고마운 마음이 많이 쌓여있는 것이지요.
언제나 좀 힘이들다는 생각이 날땐 항상 로이스가 먼저 위로하고 격려해주기 때문이지요.

연구원이 되기 전부터 그대의 글에 이끌렸고
꿈벗 모임에서 모닝페이지 강연 들으며 감탄했었고
또 홀로 제주의 바닷길을 걷고 있을 때 글칭찬해준 것이 내겐 얼마나 큰 선물이었는지....

그리고 로이스는 앞으로도 애정어린 관심으로 어리숭한 나의 글을 읽어줄테니.... 
그대를  생각하며 오늘보다 나은 글을 쓰도록 노력할게요.  
로이스 고마워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52 응애 21 -태어나고 죽는 철학자들 범해 좌경숙 2010.07.09 2473
1751 응애 20 - 희랍인에게 이 말을 [2] 범해 좌경숙 2010.07.08 2647
1750 <칼럼> 나 자신이 되어간다는 것 [9] 이선형 2010.07.08 2627
1749 응애 19 - 무지한 스승 [6] 범해 좌경숙 2010.07.07 2768
» 응애 18 - 통과 의례 [2] 범해 좌경숙 2010.07.06 2309
1747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8 보이지 않는 길 5 묵은지와 겉저리 [5] 백산 2010.07.06 2380
1746 칼럼. 함께 느끼기, 共感. [16] 낭만 연주 2010.07.05 2592
1745 [컬럼] 강점경영, 행복한 경영전략 [12] 최우성 2010.07.05 3355
1744 강점은 타고난 것인가? - 사주로 비교한 나의 5대 강점 이야기 [27] 박경숙 2010.07.05 7742
1743 [칼럼 18] 변하는 사랑을 하자 [13] 신진철 2010.07.05 2630
1742 문제는 역할이다 [17] 박상현 2010.07.05 2533
1741 라뽀(rapport) 16 - 신화(神話)의 힘 書元 2010.07.04 2248
1740 위대한 개의 발견 & 장점 분석 file [15] 이은주 2010.07.04 4375
1739 응애 17 - 얼어붙은 심장 [1] 범해 좌경숙 2010.07.04 3372
1738 18. 영상칼럼, 6기 강점이야기. [20] 맑은 김인건 2010.07.04 2920
1737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7 보이지 않는 길 4 사랑하는가 [7] 백산 2010.07.04 2668
1736 응애 16 - 내 님의 사랑은..... [1] 범해 좌경숙 2010.07.02 2630
1735 6월은 가고 [4] 백산 2010.07.02 2441
1734 [먼별2] <단군의 후예 9 - 조용한 새벽영웅: 김경인님 인터뷰> [4] 수희향 2010.07.02 2431
1733 응애 15 - 무제 [8] 범해 좌경숙 2010.07.01 2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