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0년 8월 2일 12시 09분 등록

응애 27 - 이스탄불, 도시 그리고 추억

  <이스탄불>은 2006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 오르한 파묵(1952~)의 자전적 에세이의 제목이다. 이글은 2003년에 출판되었다. 이미 7편의 장편소설을 완성한 뒤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밝히기 위해 쓴 글이다. 앞날이 환한 작가가 허위나 가식이 없이 자신의 삶과 추억, 은폐하고 싶은 어두운 열등함과 피폐와 심연의 도시인 고향 이스탄불을 잔잔하게 그려내고 있다. 사람들은 앞길이 창창한 위대한 작가의 때이른 회상록을 염려하기도 한다. 사라져가는 고향의 풍경, 변방 이스탄불에 대한 비애가 바탕에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이스탄불의 영욕의 역사가 그의 50인생과 닮아있다고 생각했다.

“나는 이스탄불을 순수하기 때문이 아니라 복잡하고 불완전하며 폐허가 된 건물들의 더미이기 때문에 좋아한다.” -오르한 파묵

오르한 파묵은 지금도 이스탄불에 살고 있다. 국제화, 세계화의 시대에 항상 같은 곳에 , 더욱이 50년간 항상 같은 집에 사는 것에 대하여 그는 어머니를 떠올린다. 그의 어머니는 슬픈 표정으로 항상 “밖에 좀 나가렴, 다른 곳으로 가렴, 여행을 떠나거라”라고 말하곤 했단다. 그러나 그는 항상 같은 집, 거리, 풍경 그리고 도시에 매여 살며 바로 이 이스탄불에 대한 예속감에서 도시의 운명도 사람의 성격이 된다고 말한다.

그가 태어난 1952년, 이스탄불은 나약하고 가난하고 변방이자 오스만 제국의 몰락의 정서와 가난과  폐허가 부여한 슬픔에 둘러싸여 있었고 그의 생애 또한 도시의 운명과 같이 우울한 것이었다. 그는 자라나 대학에서 건축을 공부하다가 중도에 그만 두고 작가가 되었다. 그는 조국 터키와 이스탄불이라는 시공간이 어떻게 그에게 작용했는지 악착스럽고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독자와 소통하고자 한다. 불행하고 모순적인 가족의 이야기, 아스라한 첫사랑의 추억, 열등감을 불러 일으키는 형과의 싸움들을 회상하면서 자신의 지식과 감정을 마구 헤집고 들춰가면서 글을 썼다.

우리의 삶은 다른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들으며 시작되고 시간이 흐른 후에는 그렇게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이해한 삶의 경험들이 나의 생각으로 변하게 되며, 나중에는 중요한 기억으로 저장되어 다시 나의 말이 되어 세상으로 나아간다고 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오르한과 이스탄불에 대하여 설명했던 것을 그의 기억처럼 받아들여서 이렇게 말하고 싶어한다.

“나는 한때 그림을 그렸고, 이스탄불에서 태어났고, 이스탄불에서 자랐으며, 그럭저럭 호기심 많은 아이였고, 그후 스물두 살에 어떤 이유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표현에는 자신의 목소리와 꿈이 담겨져 있지 않다. 따라서 위험하지도 않고 매력도 없다..

그는 이 자전적 에세이를 거리를 둔 미화된 이야기체가 아니라 자신의 자아에서 느껴지는 치열함과 엄중함에 드높은 자존심을 뒤섞어서 빽빽하고 깨알같은 글씨로 엮어 놓았다. 이 묵직한 책에서 그의 유년기 청소년기 청년기 그리고 현재까지의 자신을 아프게, 때로는 행복하게 서술하고 있다. 영혼에서 일어난 것들을 많은 세월이 흐른 후 기억하여 그것들을 의미있고 즐거운 이야기로 쓰려고 하는 쉰 살 먹은 작가의 말이다. 유명한 터키 사진작가의 이 도시에 대한 갖가지 사진 200여점, 스스로 찍은 사진 , 흑백사진 속의 이스탄불 변천사 또한 같이 담고 있다.

어쩌면 비애의 정서가 담겨있는 풍경과 글이어서 더욱 애틋하고 이름다운지 모르겠다. 그리고 사람들이 말해주었고 기억하는 삶이 기록된 후에는 또 다른 삶, 새로운 두번째 삶이 준비되어 있을지 모른다.

작가는 독자에게 부탁한다.

나와 같은 사람들이 살 수 있는 두 번째 삶은 당신이 손에 들고 있는 책 뿐이다.

아, 독자여. 이는 당신의 집중에 달려있다.
나는 당신에게 진솔함을 보여줄테니, 당신도 나에게 인정을 베풀어 주기를!

IP *.67.223.107

프로필 이미지
더위먹은 범
2010.08.02 12:19:45 *.67.223.107
희뿌연 날씨를 주먹으로 한대 쥐어박고 싶습니다.
50쪽 미스토리를 쓰던 작년 이맘때의 날씨는  도무지 기억이 나지 않아요.
연수 떠나기 직전에 퀵서비스로 숙제 보내고 여권도 까먹고 공항으로 나갔었지요.
아찔했습니다. 그때...

혼을 두고 다니면 큰일납니다.

6끼 모두 몸과 맘을 잘 추스리기를 바랍니다.
떠나거나 남아있거나 상황은 모두 비슷할 것입니다.
50쪽 그대의 인생도 그대의 두번째 삶의 앞길을 밝히는 등불이 되기를  바랍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0.08.02 12:34:25 *.126.210.26
저는 <하얀 성>을 통해서 오르한 파묵을 알게 되었습니다.
처음 접하는 작가가 신비롭기도 하고, 잡힐듯 잡히지 않는 것도 같고..

선생님 잘 계시지요..? 더위에 혹 건강이 지치지는 않으셨을까 염려됩니다.
그리스 다녀오시는 걸로 들었습니다.
올해도 바다가에서 커다란 밀집 모자를 쓰고 수영을 하시겠지요..? ^^
너무 멀리 가시지는 마시고요..

소녀처럼 밝은 미소의 선생님 사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함께 가지 못해 많이 아쉽지만, 대신 사진과 이야기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기다림의 묘미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ㅋ

샘, 그럼 건강히 잘 다녀오시기 바랍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0.08.03 23:22:47 *.70.142.131
네. 샘.. 이번에 누군가 제 삶에 들어오시면, 마음을 다해 아끼고 존중하겠습니다..
소중한 말씀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붉은실 찾는범
2010.08.03 17:58:06 *.67.223.107
정혀나,
오른쪽 엄지 발가락을 잘 보고 있어라......
그대가 태어날때 내가 그 실을 묶어놨었걸랑.
팽팽하게 댕겨지거든, 얼른 마늘 뱉어내고 따라나서랑.... 테세우스가 기다린다.
프로필 이미지
2010.08.03 01:23:42 *.70.142.110
ㅎㅎ 샘께서 조곤조곤 문체로 저를 염려해주시니 마음이 따듯해지는데요..^^
근데요, 샘. 저도 그런 행복 부러운데 좋아해주시는 분이 안 계셔서 쫌 슬퍼요 ㅋㅋ
사람의 인연만큼은 하늘의 뜻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제겐 그런 행복이 허락되지 않는건가 싶기도 하고요..젤로 어려운 부분인 것 같아요^^:::

무튼, 샘. 염려해주시는 마음은 따듯하게 전해졌어요. 감사해요..^^
프로필 이미지
바람분다 범
2010.08.02 23:22:03 *.67.223.107
수희향이 동굴을 잘 지키고 있는동안 잠깐 다녀올께.
이책 377쪽을 좀 읽어줄께 들어봐,

"저녁에 길을 걸을때나 창밖을 볼 때 오렌지색 불빛이 감도는 집안을 창을 통해 주시하는 것을 나는 여전히 좋아한다. 작고 소박한 어떤 1층집에서 우리집처럼 오렌지 불빛아래서 모두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저녁을 먹는 가족을 보면, 그저 그모습만으로 그들이 행복하다는 순진한 결론을 내리곤 했다. 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 그 외관뿐 아니라 도시에 있는 집 내부와 그 실내풍경이라는 것을 외국인 여행자들은 이스탄불에서 가장 많이 잊어버리게 된다."
프로필 이미지
소은
2010.08.02 14:19:50 *.70.61.213
주말 여행을 오가는 차안에서도 책을 열심히 읽더니
오늘 한 편의 글이 올라오는군요.
그냥 닥치는 시간을 온전히 즐기자, 는 맘 밖에는 먹지 않은 사람과,
글 한 편을 올리자, 고 맘을 먹은 사람의 길이 이렇게 다르군요.
암튼 뒤늦게 고요하게 피어오르는 좌샘을 열정을 가까이 느낄 수 있어 좋습니다.

허리가 휘어지도록 웃은 여행 후에는
어떤 사람의 고뇌가 내 마음에 가득 고여서 오전 내내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함께 한 여행은 참으로 즐거웠습니다. 
경부고속도로 죽전에서 나를 픽업하지 못해 일어난 에피소드마저
감정대로 반응하지 않는 성숙한 사람들이 내 친구인 것을 보게 하는
아름다운 한 풍광으로 내게 남았습니다.

다만 즐기자고 마음 먹은 덕택에
더 많은 것이 눈에 들어온 여행입니다.
가방에 들어있는 박남준 시인의 <적막>이란 시집에 더 눈길을 줄 수 있었던 것도 고마운 일입니다.
일상이 어떻게 아름다운 시가 되는지,
시인의 삶에서 배웁니다.
나도 시인이 되고 싶다는 마음이 슬그머니 올라옵니다.

이스탄불을 여행하기 전
그곳에서 삶을 오롯이 바친 파묵의 글을 읽는 좌샘이 아름답습니다.
그 눈으로 남보다 더 보게 되는 것을
나중에 글로 만나기를 기대해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졸린눈비비며답글다는범
2010.08.02 23:41:24 *.67.223.107
로이스 오늘은 우리가 같은 생각을 하며 얘기를 많이 나눈 날이었어요.

이젠,425쪽을 읽어줄게요.
음흠..흠

"길을 가면서 아버지는 사람이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대로 행동하는 것이 인생에서 가장 좋다는것, 돈은 목적이 아니라 필요할 때 사용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 한때 우리를 떠나 파리에 있는 호텔방에서 머물며 시를 썼던 것, 발레리의 시를 터키어로 번역했던 것, 세월이 흐른 후 미국 여행을 갔다가 시와 번역물로 가득찬 가방을 도둑에게 뺏겼던 것을 신나게 설명해주곤 했다."
프로필 이미지
희랍어알파벳더듬거리는 범
2010.08.03 17:54:01 *.67.223.107
P가 ㄹ이고 ^ 이 엘이고...
입술은 움직이는데 소리는 안나오는 절망...오이디푸스처럼 피눈물나겠어요. 까막눈이가 되어서...

게다가 프렌치. 잉글리쉬 다 데려오라고라고라....
오르한 파묵의 아부지는 귄디즈 파묵,  <이스탄불>은 그의 아부지에게 헌정 된 책이에요.
프로필 이미지
소은
2010.08.03 11:17:15 *.70.61.213
아버지를 빌어 세상에 온 아들은 또 그렇게 아버지에 의해 작가로 만들어지고 있던 거였군요.
발레리와 블레이크를 여행에서는 읊어주세요.  **^^
프로필 이미지
도서관아이스께끼
2010.08.03 06:56:01 *.223.38.131

샘..

이스탄불 이라는 도시는 ..
복잡하고 불완전하고 폐허더미 이기 때문에 ... 오히려 순수한 곳은 아닐까.. 상상해 봅니다.
사람살이 .. 가.. 그러 하듯이 ..말입니다.

건강히 .. 영혼으로 감응하시는 여행길 되시길 두 손 모읍니다..

부럽..솹니당 ~ emoticon
프로필 이미지
더위사냥고래사냥헷갈리는범
2010.08.03 17:37:26 *.67.223.107
ㅎㅋㅋ 우껴죽겠는답글을다는도서관아이스께끼가추억을만들어주고있군요.그림또한 웃껴요.

오르한 파묵이 길을가다가 눈에띄는 간판을 모두 붙여서 써놓았더군요.
나도 따라해 봤어요.
금요일 홍대앞에 올수있지요? 하늬샘도 같이 데불고와요.
여행객들은 10시에 공항에서 만나기로 했으니 두시간은 얘기할 수 있겠죠?.animated/animate_emoticon (35).gif
프로필 이미지
낭만연주
2010.08.03 16:03:35 *.65.86.7
좌샘~ 그리스-터키 여행에 함께 하기로 하셨군요.
혹 안가시면 함께 맛난 식사와 시원한 차 한잔 하고 싶었는데 다음을 기약해야겠어요.
이번 여행 함께 하지는 못하지만 기회가 되면..샘과 우리나라 아름다운 산천을 함께 밟을 영광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운 여름날 50페이지 Me-story 쓰는 일이 잊지 못할 추억이 될 것같습니다.
저에게 펼쳐질 새로운 인생의 밝은 등불이 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겠지요~
다녀오시면 이스탄불에서의 멋진 추억들 나눠주세요^^
프로필 이미지
대청소하다가
2010.08.03 17:43:42 *.67.223.107
연주, 나는 여행짐을 싸아할 무렵이면
꼭 여태까지 미루어오던 대청소를 하거든.
그래서 거의 밤을 새고 여행 첫날밤을 시작하지롱....

케케묵은 레포트 들여다보며 재채기하는 중... 먼지 알러지라서....
미스토리 안쓸때도 제정신이 아니지?
이번 여행은 딸라빚 내서 가는거이어서...소문안나게 가야하는디....에궁 클났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12 승우는 여행중~ [3] 낭만연주 2010.08.02 2785
» 응애 27 - 이스탄불, 도시 그리고 추억 [14] 범해 좌경숙 2010.08.02 3015
3410 [먼별2] <단군의 후예 10 - 올빼미에서 수탉으로: 이호금님 인터뷰> [3] 수희향 2010.08.03 2724
3409 [그림과 함께] 기다림, 혹은 고독, 혹은 걷기 file [2] 한정화 2010.08.04 3368
3408 심스홈 이야기 9 - 제대로 된 홈 드레싱, 가구부터 골라라 file 불확 2010.08.06 2716
3407 감성플러스(+) 21호 - 일과 개인생활의 조화 file [4] 자산 오병곤 2010.08.11 2783
3406 심스홈 이야기 10 - 다재다능한 패브릭 file [2] 불확 2010.08.13 2598
3405 사랑스런 나의 아테네.. [4] [3] 신진철 2010.08.15 2309
3404 떠나는 일탈과 돌아오는 일상 신진철 2010.08.17 2294
3403 신화를 찾아 떠난 여행 [4] 신진철 2010.08.18 2256
3402 그리스 ㆍ터키 여행에 대한 소감을 물으신다면 [15] 박상현 2010.08.19 2777
3401 전설이 된다 [5] 백산 2010.08.20 2776
3400 그들은 목숨을 걸고 살았다 file [3] 신진철 2010.08.21 2663
3399 하계연수 단상1 - 우리는 함께 떠난다 file [3] 書元 2010.08.22 2421
3398 하계연수 단상2 - 동반자 file [6] 書元 2010.08.22 2434
3397 라뽀(rapport) 20 - 당신의 손길이 필요한 이가 있을때 만나십시오 [2] 書元 2010.08.22 2466
3396 '수니온'에 다녀오던 길 file [15] 신진철 2010.08.22 2700
3395 그리스에서 만난 팔자 좋은 친구들 file [19] 이은주 2010.08.22 2774
3394 초심지키기 [16] 박경숙 2010.08.23 2411
3393 접속의 종말 [15] 맑은 김인건 2010.08.23 2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