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신진철
  • 조회 수 2235
  • 댓글 수 19
  • 추천 수 0
2010년 9월 6일 09시 42분 등록

소명

바로 지금, 내가 아니면 할 수 없는 일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그 일이 가장 최우선이 되어야 할 테니까. 하루 하루를 그리고 지금 이 순간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마지막 순간임을 잊지 않으려고 한다.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사는 것. 나에게 소명으로 주어진 내 삶을 사는 일, 신들조차도 질투나는 삶을 사는 것. 바로 지금 나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기쁨으로 받아들이는 삶. 그것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추진위원으로 10년, 사무국장을 맡아 일한 지 6년.

지난 달 말로 나의 지난 10년을 함께 해왔던 <전주의제21>을 그만두면서, 마지막으로 해야 할 일이 있다고 믿었다. 그 동안의 일을 쓰는 것이었다. 어찌 보면 단체의 실질적인 경영자로서 공식적이지 않지만 더욱 중요한 것들이 있다. 매 순간 선택의 기로에서 사명과 가치, 그리고 수많은 가능성들을 따져가며 선택해왔던 순간들. 떠나는 사람이 남은 사람들을 위해 유서를 남기듯,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이 지난날의 모든 것을 비우듯. 그렇게 함께 일구어 왔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쓰기로 했다.

잭 웰치가 GE에서 보낸 20년의 조직생활. 책을 읽는 동안은 저자의 눈이 되어, 저자처럼 생각해보고 저자처럼 느껴보고 싶었다. 잭처럼 위대하지는 않지만, 대략 내게도 조직생활의 경험이 벌써 20년이 다 되어간다. 대학시절 연극반 동아리 회장, 총학생회 임원, 학생운동조직의 핵심, 군대에 다녀온 2년을 제하고, 노동운동단체 실무책임자, 시민단체 상근활동가, 전주의제21 사무국장까지 대략 20년, 작지만 소중한 나의 승리이다. 사람을 만나는 일,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아가는 일, 벅차고 힘든 일이었지만, 결국 내가 세상을 배우고, 나를 만들어 왔던 시간들이었다.

비록 잭 웰치만큼 주목받고, 범위가 크고, 영향력 있는 경험은 아니지만. 그보다 내가 나은 것도 있다. 그에게는 과거가 남았지만, 나에게는 미래가 남아 있다. 그 가능성이 나를 여전히 흥분되게 한다. 나는 아직 살아있다. 나의 심장은 비록 지쳐있지만, 언제든 다시 폭주하는 기관차가 될 수 있음을 자신하고 있다. 그렇게 한 20년을 더 달리고 난 다음, 나는 잭 웰치보다 더 위대한 책을 쓰고 싶다. 꼭 그렇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나는 지나온 시절 사람들과 함께 해왔던 실험들의 가치를 안다. 고지식한 사람처럼 정직하게 말하고, 자신이 하는 일의 남다른 의미를 찾으려고 애썼다. 함께 일하는 사람들의 잠재력과 장점을 보았고, 그들의 꿈을 묻고, 그들의 성공을 돕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 모든 가치들이 우선 당장 세상의 관심과 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한다 할지라도 그것은 이미 정해져 있다. 나는 확신한다. 많은 미래학자들이 과거의 역사들의 흐름 속에서 미래를 읽어내듯이, 이미 수 십년간 성공적인 기업의 경영과 신화를 일구었던 사람들이 한결같이 말하는 가치들이 있다. 새로운 길을 가고자 하는 사람에게 이미 앞질러 그 길을 떠난 이들이 권하는 말들이 있다. 그 수 많은 말들 속에서 단 하나로 귀결되는 나의 일, 나의 사명이 바로 또 하나 '지난 10년의 기록' 남기는 일이다. 아니 그것은 이미 앞질러 미래를 봐 버린 사람에게는 거부할 수 없는 운명인지도 모른다. 현 세대가 동의하든 그렇지 않든 그것은 이미 중요하지 않다.

아직도 갈등과 대립의 관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들에게 ‘협치와 협력’이라는 새로운 시대의 리더십은, 전주의제21이 일구어 온 그 소중한 경험들은 한국적 토양에서 거버넌스가 어떻게 성장할 것인지를 보여주게 될 것이다. 언제나 그것은 활동가들의 몫이다. 전문가들은 항상 한 발짝 뒤에서 몇 개의 사례들이 만들어진 다음에야 일반화를 시도한다. 그래서 현장의 최일선에서 부딪히는 활동가들은 늘 외롭다. 늘 창조적이어야 한다. 늘 고민하고, 늘 선택해야 하고, 판단하는 이유를 분명히 해두어야 한다.

지나 온 시간들 속에서 중요했던 순간순간의 간이역에서 다음 행선지를 선택해야 했고, 함께 했던 많은 사람들의 숨겨진 이야기들. 바로 내가 쓰지 않는다면, 그것은 그냥 흘러가는 모든 것들과 함께 잊혀지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진정 의미있는 미래로, 가치있는 추억으로 만들어 가기 위해 나는 하루 네 시간 이상씩을 써가기로 했다.

시간을 거슬러 과거를 미래에도 영속하게 하는 일, 한 때 인간은 이런 영속적인 삶이 신들에게만 가능한 일이라고 믿었다. 개개인의 육체적 생명은 저마다 시간이 정해져 있고, 태어난 모든 것들은 반드시 죽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은 신의 피조물이면서, 신이 정해준 에덴동산에만 머물기를 스스로 거부했다. 선과 악의 기준을 스스로 정하려 했고, 그렇게 한 입을 베어 먹은 사과가 인류의 삶을 바꾸어 놓고야 말았다. 이성의 힘을 가지게 되었고, 흐르는 시간을 개념화 할 줄도 알게 되었으며, 자신의 모습을 닮은 신의 존재를 깨닫기 시작했다. 종국에는 그러한 신이 자신의 안에 존재함을 알게 되었으며, 신과 더불어 춤추는 삶을 살기 시작했다.

기록을 남겨 후대에 전하는 일, 사람이 하늘을 나는 일, 사진을 통해 과거의 한 장면을 미래에까지도 영속시키는 일. 이미 그들은 타임머신을 갖고 있고, 시간과 공간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 모든 것들을 신들에게서 배웠다. 수많은 영웅들의 삶을 통해 인류는 인식 밖에 있었던 세계들을 알기 시작했으며, 이미 그 세계와 더불어 살아왔다.

이제 새로운 계약을 맺을 시간이 되었다. 예수의 마지막 만찬에 담긴 오래된 카니발리즘의 은유를 읽어내야 한다. 두려움을 앞세운 명령과 복종이 아닌 더불어 함께 춤을 추는 관계로. 내 안의 신을 만나는 신명나는 삶으로, 바람과 함께 자유로운 삶을 향해 절벽에서 뛰어내릴 시간이 되었다. Free as the wind...

IP *.186.57.54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0.09.06 09:43:48 *.186.57.54
아뵤... 진철이 밤샜삼... 유끼들 이번 주부텀 다시 홧팅..
Have a 홀가분 day!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9.06 12:20:12 *.10.44.47
오빠!! 포도밭은 백수들끼리 가요~!!
아무래도 넘 혼자 있었더니 자학의 메커니즘이 날로 심화되는 듯!!
상호구제가 필요하다구요!!
프로필 이미지
2010.09.06 11:34:08 *.230.26.16
이제 백수된 오빠가 가까이 있으면 대낮에 백수의 즐거움을 즐겨볼텐데 아쉽당~ ㅋㅋㅋ
백수 모두 모여라~~~
프로필 이미지
2010.09.06 09:53:44 *.186.57.54
캬..오랜만에 짝궁 목소리들으니..학교 올 맘 난다.. 와...신나는 개강이다.
우리 포도밭 가서 개강파티 안하남? 과대표는 뭐하남? 당진에 날라진 지붕 아직 못찾아왔나?
프로필 이미지
선 ^^
2010.09.06 09:48:14 *.230.26.16
ㅋㅋㅋ, 저도 정말 간만에 새벽까지 숙제했네요 ^^
이제 다시 홧팅입니다.
홀가분하겠지만 그 가벼움이 지나친 똘창에 빠지지 않도록 지금의 맘 잊지 마시길,
꼭 하루 네 시간 이상을 새로운 소명에 쏟아 부으시길!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9.06 13:04:21 *.131.127.50

값진 기록이 되겠군...
기대가 되네!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0.09.06 21:41:06 *.186.57.45
네.. 강단지게 맘묵고 써볼랍니다. 성님.. 미뤄둔 술 애껴두쇼..
가을 밤 깊어지면..글발도 깊어지겄지요. 술익어가는 맘에..설레면서 함 써볼랍니다.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9.06 16:49:59 *.42.252.67
포도도 과대표가 있어야 맛이 나는겨?
날아간 지붕 겨우 어제까지 채워 넣었더니 또 태풍이 온다네.
'멀리 있어도 마음이 있으면 가까운 것이요.
가까이 있어도 마음이 없으면 멀리 있는 것이다.'
이말 그냥 내가 쓴 건데 혹시 누가 먼저 썼던 건가 모르겠네.
왜 맨날 빼냐고 묻고 싶지?
난 내가 책임지지 못 할 말에는 대답을 잘 안해. 그런데 내가 책임질만한 상황이 되면
그냥 바로 날아가지 그러니 걱정마삼.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9.07 08:21:09 *.42.252.67
포도 비가 많이 와서 댓다 싱거워.
그래서 어제 다 갈아마셨어.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0.09.06 21:42:16 *.186.57.45
부담갖기는..포도밭 못가믄..포도주 먹음 되고,
포도사다 먹어도 될 일을.. 안 근감?
당진 포도가 맛있다는 소문은 못들은겨?
오리오가 그런 말은 안혀?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9.06 21:17:16 *.236.3.241
댓글로 백수 선언을 아무렇지도 않은 듯 하는 진철아^~
고거이 내가 아직 부족한 부분이다.

나는 절대로 그렇게 못할 거다.

나와 세상이 만나는 연결고리, 그거를 나는 찾으려 한다.
나는 노회하지만 소갈머리에 난 흰머리를 용납하지 못하는 40대이며,
설레는 추억 보다는 당도하지 않은 내일에 희망을 거는 생활인이다. 

스스로에게 가장 어울리는 이름을 가질 날이 꼭 오기를.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0.09.06 21:44:54 *.186.57.45
나.. 보험들어놨다..
인자부텀 지역사회가 먹여살리지 않건남?
아마 한달간은 여그저그서.. 밥산다. 술산다. 커피 뭘로 사다주랴...귀찮다..야..
한달 넘기고 나면, 그도저도 조용해지겄지? ㅋㅋ

별거 있냐.. 백수라고.. 전업까지는 아니지만, 가사노동도 당당한 노동여...
프로필 이미지
낭만
2010.09.06 21:29:54 *.228.87.198
10년,20년을 한 우물을 판 오빠의 역사가 부러워요
저도 20년이 지났을 즈음에 쿨하게 떠날 수 있을까요.
하루에 4시간 이상의 글쓰기를 통해 오빠가 새로이 맺게 될 계약이 참으로 기대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0.09.06 21:46:43 *.186.57.45
홧팅..낭만.. 이번 중간고사 1등했데? 역쉬.. 좋드라.. 좋은 일 생길겨..
나도 연주랑 백년가약 맺을 넘이 궁금혀..ㅎㅎ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9.07 00:06:14 *.129.207.200
비장한 결심을 하셨군요. 20년 후에 더 위대한 책을 쓰실겁니다. 

저도 잭웰치 읽으며 정리를 했습니다. 책쓰기 보다는, 성공 경험을 하는 것이 순서라는 것. 머리속에 무언가 많이 있기는 하지만, 정작 제 이야기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작가로서 잭웰치는 좋은 표본이에요. 성공하고, 그 내용을 책으로 쓰고, 강연하고, 질문을 다시 책으로 쓰고.....이런 모델이 마음에 듭니다.  

또 하나는 '사랑하는 일'에 관한 것인데, 제 조건에 맞아야 사랑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요. 그 조건에  맞는 일을 찾고자했고요. 찾지 못해서 공허했지요. 지금 하는 일을 사랑하는 것이 옳다는 생각입니다. 

안동은 잘 다녀오셨어요? 뒷풀이에서 뵙지 못해 아쉬웠습니다. 겉보기와 달리, 형에게는 힘이 느껴져요. 강함은 육체가 아니라, 정신과 마음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형에게서 봅니다. 

새로운 환경과 일과가 시작되니 그 각오도 새로우시겠군요. 더불어, 저도 이 오밤중에 각오를 다시 다져요.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0.09.07 08:51:59 *.186.57.45
도대체 인건이는 언제 자니? 인건이 칼은 예사롭지 않다. 점점 더 날이 서가는
네 칼끝이 정곡을 찔러간다..그러면서도 너에게는 잘 드러나지 않는 따뜻함이 베어난다.
그런 네 모습이 좋다.
안동? 음..참 좋더라.. 나중에 글쓴다고 핑계삼아 사람 뜸한 시절에 한달쯤 민박집을 빌려
들어앉아도 좋을만한 곳이드라.

. 강대회(안동 100827) 075.jpg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9.07 09:30:18 *.236.3.241

지난 10년을 보니 참 잘 살았구나 ^^

소명에 대한 첫 물음-매우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지난 10년에 대한 정리가 잘 되었으니, 다가올 10년에
무엇을 할 지도 조만간 정리가 될 것으로 믿는다.

이 대목에서 어린 순이 거대한 대나무로 성장하는 그림이
실감나게 그려지누나 ^~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9.07 09:51:09 *.30.254.28
토닥, 토닥..
애썼다..
오랜 기간, 많이 애썼다..
등 두드리는 소리 들리니?

하나의 문이 닫혔구나..
축하한다..

그리고 새로운 문이 열렸네
다시 시작이구나.
그치?  ^*^
프로필 이미지
이헌
2010.09.08 05:36:14 *.123.0.200
현장의 최일선에서 부딪히는 활동가들은 늘 외롭다. 늘 창조적이어야 한다.라고 하신 말씀 마음에 팍팍 와 닿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0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6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9
5201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79
5200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9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7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8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3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감사하는 마음 [3] 정산...^^ 2014.06.17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