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이선형
  • 조회 수 2271
  • 댓글 수 13
  • 추천 수 0
2010년 9월 27일 11시 51분 등록

반드시 넘어야 되는 장애를 항상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장애를 어떻게 넘을지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선택을 그만두는 것은 죽어가는 것이다.
 
-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중에서 -


  추석연휴가 까만 달력을 환하게 밝히는 황금연휴였다. 화, 수, 목! 요일도 얼마나 절묘한 배치였는지, 잘만 하면 전주 토요일부터 장장 9일에 걸친 끝내주는 휴일의 연속이다.


  재작년의 일이었다면 얼마나 환호했을까. 하긴 재작년까지 갈 것도 없이 바로 몇 주 전까지도 얼른 ‘해야 할 일’들을 하고 여유로운 연휴를 보낼 생각에 잔뜩 부풀어 있었다. 연구원 해외 연수을 가느라 제대로 가족들과 여름휴가를 보내지 못한 것이 미안하기도 해서 이번 연휴를 어떻게 하면 알차게 보낼 수 있을지 열심히 계획을 짜기 시작했다.

  보통 명절 연휴에는 전날부터 시댁의 큰 집에서 열심히 명절 음식을 만들고 차례를 지낸  후 성묘를 하고 또다시 시댁으로 이동하여 시누이들 가족들도 다 모여서 함께 저녁을 먹고, 다음 날 피곤한 몸으로 친정을 가곤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추석 전 주말에 우리 집에서 어머니 생신 겸 집들이를 하면 추석연휴에 큰 집에만 가고 따로 시집에서 모이지 않아도 되겠다는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던 것이다. 어머니 생신도 어디서든 모여야 하고 집들이도 언젠가 해야 하니 일석이조, 아니 삼조! 준비하려면 좀 힘들기는 하지만 한 번에 해치우고 추석 다음날부터 푹 쉬자는 것이 나의 주도면밀한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 멋진 계획에 심상찮은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팔을 다친 분에, 추석이라 갑자기 바빠지셨다는 분 때문에 이리저리 날짜를 조정하다보니 추석 전후로 어머니 생신은 생신대로, 집들이는 집들이대로 두 번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혹 떼려다가 혹 붙였다고나 할까.

  밑천이 얇은 한정된 요리 실력으로 메뉴를 두 번 짠다는 것이 고역이었다. 게다가 일정을 조정하다 보니 친정아버지 성묘에 빠지는 것도 얼마나 맘에 걸리던지.

  결국 몸은 고되지만 맘이 편한 길을 선택하기로 했다.
  그럼, 맘 편한 것이 최고지. 몸 편한 휴가 말고 맘 편한 연휴를 보내자.
  어머니 생신, 성묘, 큰 댁 추석, 친정, 그리고 마지막에 집들이까지. 맘을 정하니 순식간에 빨간 날마다 달력이 꽉 차버렸다.

  

  지지난주 주말에는 어머니 생신상을 열심히 차렸다. 워낙 좋아하시는 잡채를 싸드리는 것으로 한 가지 일을 끝냈다.      

  연구원 오프 수업이 잠깐의 휴식이었다. 물론 달콤한 모임의 중간에 일어나기 싫어서 끝까지 함께 하다가 다음날 성묘 가는 차 속에서 내내 괴롭긴 했지만 그래도 일상의 테두리를 벗어날 수 있어서 정말 반가웠다.

  흩뿌리는 비속에서 풀이 무성한 깊은 산에 올라가느라 아이들도 고생하긴 했지만 이곳저곳 파인 곳도 없이 무사한 아버지 산소를 보니 안심도 되고 일 년 만에 찾아뵙는 것이 죄송스럽기도 했다. 서울에는 비가 많이 왔다던데 다행히 그 정도는 아니었고 돗자리로 잠깐의 소나기를 피하기도 하며 한참을 웃었다.

  큰댁에 일이 생겨서 이번 추석에는 차례를 안 지내기로 했다는 갑작스런 소식에 솟아날 구멍은 있구나 싶었다. 시부모님께 양해를 구하고 친정에 갔다. 엄마와 마주앉아 차례음식을 준비하며 그동안 혼자 음식을 만드셨을 엄마생각에 맘 한 구석이 짠하기도 하고 아직 장가 안간 남동생이 밉기도 했다. 결혼 십 년 만에 친정에서 차례를 지내고 내친 김에 친정식구 집들이까지 해버렸다. 추석날 문을 연 피자가 유일한 메뉴인 초간단 집들이였지만 시댁에서 돌아온 언니네 가족과 얼결에 들린 사촌언니 가족까지 시끌시끌했다.

  

  드디어 결전의 날이다. 토요일 아침부터 장을 보고 대청소를 하고 음식 밑준비를 끝내놓은 덕에 일요일 아침은 비교적 편안하게 맞을 수 있었다. 14명의 시댁 식구들 모두 열심히 준비한 성의를 한자락 깔고 맛있게 먹었고 동양화 감상까지 모두 끝내고 놀이터 순례를 하고 돌아온 아이들과 함께 기분좋게 돌아갔다. 

  바쁜 연휴를 보내고 나니 참 편안하다. 레시피를 보며 준비한 서툰 요리도 뿌듯했지만 무엇보다도 끝까지 웃는 얼굴로 기분좋고 즐겁게 보낸 스스로가 대견하다. 
  관계를 위한 필수적인 일들이 있다. 그 형식에 짜증내기 보다 그것들을 대하는 내 맘을 어떻게 가지는지, 그 선택이 나의 행복을 좌우한다는 것을 이번 황금연휴에 다시금 배웠다. 
      
    

     

IP *.230.26.16

프로필 이미지
2010.09.27 12:45:26 *.186.58.39
헐...칼럼보다..사진에 눈이 팔려부렀다... 공주님들이 엄마 안닮아서 예쁘담...참 다행이네..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0.09.28 12:38:13 *.230.26.16
뭐, 자식이 더 예쁘다는데 화낼 사람은 없지용 ㅎㅎㅎ
그래도 조금 닮아서도 아니고 안닮아서라니 흐흐흥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9.27 15:35:25 *.236.3.241
남자 입장에서도 '누구를 위하여 명절은 존재하는가'라는 의문에 사로잡힐 때가 있다.
먹고 차리는 일의 비중이 너무 커지고, 간간이 갈등도 벌어지고, 서로 힘들어하니까
보는 사람도 편치 않고. 모았다가 한번에 쏟아내게 되서 그런 것 같다.

과식은 뭐든 좋지 않은갑다~~ 올해 추석 선방한 거 무지 축하혀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0.09.28 12:42:04 *.230.26.16
그러게요, 전 선방했는데, 왠지 오빠의 글에는 약간의 씁쓸함이 묻어나네요.
하긴 제가 저 결론이 이르기까지 혼자 씩씩댄거 울 신랑도 옆에서 다 봤으니까요 ^^;;

이제 우리도 평소에 먹을만큼 먹고 사는데 먹는 일에 대한 비중 좀 줄였으면 좋겠어요.
아님 정말 한가지씩 들고와서 나누어 먹는 파티, 이름이 뭐라더라 ???
어쭙잖은 서열과 겉치레로 피곤한 모임이 아니라,
모처럼 시간내어 반갑게 만나게 되는 그런 명절을 꿈꾼다면 아직도 제가 너무 어리숙한 거지요? ^________^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9.27 16:46:07 *.10.44.47
난 언니같은 아내가 있었음 좋겠어요~!!  
참 누가 뭐래두 이 시대 보기드문 엄마, 며느리, 딸. 아내.

추석 고생하셨습니다. 보람찬 표정이 느껴집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0.09.28 12:45:07 *.230.26.16
묙아, 절대 그런말 마라, 난 너 같은 남편 싫다 ㅋㅋㅋ

그리고 나 정말 솔직히 좋은 며느리는 아니다. 이미 좋은 딸도 아닌 듯하구 --;;
우선 좋은 엄마와 좋은 아내가 되고 싶은 맘은 있지만 실천의 길을 요원하구...
정말 보기드문 ooooo 이라면 이런 게 칼럼거리가 되지도 않겠지 ^^
암튼, 우리 모두 추석 수고했다!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9.27 21:57:10 *.42.252.67

가족경영에 맞는 글이 터지게 시작했네.

글을 갑자기 어디서 퍼 오겠어.

먼저 내 주변에서 가장 많이 부딪히는 것들을

풀어내며 글 쓰기 연습을 한 후, 어느 날 그것이

쌓여 다른 글로 이어지겠지.

암튼 금도 비싼 요즘에 황금으로 연휴를 도배했으니

분명 잘 지낸 것 같다.

가족 사진이 개 사진보다 보기 좋다.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0.09.28 12:48:20 *.230.26.16
'가족경영'이라니 참 낯설어요.
우선 제 관심사와 제 고민거리, 그리고 시도들을 차츰 적어가다 보면 좋은 단어도 얻으리라 생각해요.
언니도 아이디어 떠오르면 꼭 주세요!
사례발굴에 대한 엄청난 부담도 격려해 주신것 땡큐~
프로필 이미지
낭만
2010.09.28 11:46:01 *.203.200.146
"형식에 짜증내기 보다 그것들을 대하는 내 맘을 어떻게 가지는지, 그 선택이 나의 행복을 좌우한다" 
형식과 내용의 조화란 정말 힘들지만...전 형식이전에 알맞은 내용이 전제가 되어야 그 내용에 맞는 형식도 다듬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자신의 선택에 따라 자신의 마음이 결정되는 것이고 그것이 행복을 결정하는 카드임에는 틀림없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쁜 딸래미들과의 사진에 눈길이 한동안 머물었어요.
저도 우리반 애들과 저렇게 사진찍은 것을 보면 흐믓하던데 자식은 더 하겠죠?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0.09.28 12:59:48 *.230.26.16
내용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 맞는 말이겠지,
근데 또 살다보면 가끔 형식이 먼저 요구되는 경우도 있긴 하더라.
왜 아름다운 그릇이 있으면 그 안에 예쁘게 무언가를 담고 싶은 맘도 들잖아.
깨끗이 청소된 집은 더 잘 사용하듯이.
인간관계도 그런 경우가 종종 있지. (대표적인 경우가 네가 결혼하면 시작될 복잡한 관계들 ㅎㅎㅎ)
나도 첨엔 맘에도 없는 말 하기 참 싫다 싶었는데
요즘은 조금씩 다른 생각도 들어.
회사나 학교도 마찬가지 경우가 있겠지.

그 적절한 형식과 알찬 내용을 일치해 가는 것이 가장 현명한 것일테구 ^^
연주야 워낙 똑부러지니까 잘하고 있겠지! 아닌감? ^^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9.28 12:46:08 *.8.230.182

삶은 위대하지만,  삶속의 일상은 위대하지 않다.
그리고 그러한 평범의 얼굴을 하고 있는 소중한 일상이 우연히 이루어지 않는다는 것을 선형의 글을 보면 느낄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의 로망 같은 삶을 살았던 나에게는 선형의 가장 평범한 일상이 새롭다.
나는 생존과 승리를 위해서 전쟁을 하듯 경쟁하며 살아왔다. 
그런데 그 지난 세월의 꿈을 위대함이 아니라, 평범한 일상이었다.
난 선형의 이야기를 통해서  나의 꿈에 이르는 길을 어렴풋이 발견한다.

전설 같은 기록을 세우며 살얼음판 같은 불가능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매일의 훈련과 일념에 찬 집중력이었다.
 
그 벼랑 끝에서 ‘한 걸음 더!’와 같은 그 순간의 깨달음을 얻게 하는
그 ‘믿음’은 그렇게 매일의 하루 속에서 만들어져 전설이 되었다.
 
그러나 내가 일상으로 돌아와 깨달은 것은 거기에도 또 다른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일상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미래’와 자신의 ‘삶’에 대한
꿈과 그 꿈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렇게 일상은 누구에게나 당연히 주어져 있는 것이지만
지혜와 인내와 긍정적인 태도 없이는 행복한 일상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난 깨달았다.

프로필 이미지
2010.09.29 09:38:33 *.230.26.16
앗, 드뎌 제 칼럼에도 전설적인 백산선배님의 기~인 댓글이 ^^

늘 위대한 인물들의 전설같은 삶을 동경해왔습니다.
드라마틱하고 판타스틱한 삶의 순간들을요.
그렇게 몇 십년을 살고 보니, 제 삶이 어찌나 초라하던지요.
결국 내가 안고 있는 내 모습은 동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선배님이 말씀하신 '매일의 훈련'과 '일념에 찬 집중력'인 것을 이제야 깨닫고 있네요.

일상 속에서 '황홀함'을 찾는 훈련을 매일 하려고 합니다.
그 훈련이 저를 행복하게, 그리고 제 꿈과 제 현실을 일치시켜줄 길임을 알았으니까요.

앞으로도 많이 도와주시고 가르쳐주세요 ^^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9.28 23:15:34 *.129.207.200
바쁜 연휴를 보내셨군요. 여자분들한테 차라리 명절이 고역일것 같군요. 그래도, 누님은 힘들지만 즐겁게 보내신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엄마 닮았네요. 사진으로 느껴지는 분위기가...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32 닭 한마리의 기적 [1] 신진철 2010.10.04 2581
1931 집에서 '쉬는' 사람의 시간관리 [8] 이선형 2010.10.04 2825
1930 [컬럼] 시인과 농부 [11] 최우성 2010.10.04 2432
1929 민폐괴물 [4] 박경숙 2010.10.04 1984
1928 [칼럼] 우리 조직은 해고가 가능할까 [5] 신진철 2010.10.04 1997
1927 피드백 분석을 통한 진로 설정. [3] 맑은 김인건 2010.10.04 3721
1926 말하는 개, 오리오 [7] 이은주 2010.10.03 2679
1925 <소설>나는 트랜스 휴먼이다(2) : 초부리 산 288-1 [5] 박상현 2010.10.03 2779
1924 라뽀(rapport) 25 - 나는 오늘 희망을 보았다 [1] 書元 2010.10.03 2247
1923 하계연수 단상14 - 우리가 꿈꾸는 기적 file 書元 2010.10.03 2488
1922 하계연수 단상13 - 그들은 왜 총을 들었을까? file [5] 書元 2010.10.03 2850
1921 컬럼. 선생님, 꿈이 생겼어요! [4] 김연주 2010.10.03 2310
1920 [먼별2] <단군의 후예 12- 단군낭자 아빠: 이희청님 인터뷰> [3] 수희향 2010.10.01 2552
1919 [그림과 함께] 그림에 꿈을 담고 싶습니다 file [4] 한정화 2010.09.29 2950
1918 감성플러스(+) 25호 - 회사인간 file [4] 자산 오병곤 2010.09.28 2312
1917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 요구르트 한 병 [4] 뎀뵤 2010.09.28 2508
» 황금연휴의 선택 file [13] 이선형 2010.09.27 2271
1915 [컬럼] 좋은 경영을 위한 선택 [7] 최우성 2010.09.27 2097
1914 사랑 유급/ 실황! [2] 써니 2010.09.27 2150
1913 <소설> 나는 트랜스 휴먼이다(1) : 프롤로그 [16] 박상현 2010.09.27 3097